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표준 발음법"의 구성 체계 검토 -[붙임]과 "다만"을 중심으로-

        이규범 ( Kyu Bum Lee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1 한국어문교육 Vol.9 No.-

        본고는 어문 규범인 ``표준 발음법(문교부 고시 제88-2호, ``표준어 규정`` 제2부)``에서 사용되는 말머리인 [붙임]과 ``다만``의 성격을 살펴 보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표준 발음법``의 [붙임]과 ``다만``을 재구성 하였다. 본격적인 검토와 수정에 앞서 본고에서는 우선적으로 [붙임]과 ``다만``의 성격을 명확히 하고자 1933년 ``한글 마춤법 통일안``과 이를 수정한 1948년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통하여 이들 사용의 역사를 살펴보았다. 나아가 북한 규정에서의 쓰임을 알아보기 위하여 1987년 공포된 「조선어규범집」의 ``문화어 발음법``에서의 쓰임 양상을 분석하여 보았다. 마지막으로 어문 규범 일러두기의 언급, 『표준국어대사전』의 정의를 살펴보았다. 일련의 검토와 확인 작업을 바탕으로 확인한 남한의 [붙임]과 ``다만`` 그리고 북한의 【붙임】과 ``그러나``의 성격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남북한의 [붙임]과 ``다만``의 성격 ㄱ. 남한- a. [붙임]: 1933년 ``한글 마춤법 통일안``의 [附記]에 대응하는 것으로 해당 조항이 규정하고 있는 것의 부가적인 사항에 관한 기술 b. ``다만``: 1933년 ``한글 마춤법 통일안``의 ``但``에 대응하는 것으로 해당 조항 또는 바로 위에서 언급된 [붙임]이 규정하고 있는 것의 예외적인 사항에 관한 기술 ㄴ. 북한- a. 【붙임】: ① 해당 조항과 동일한 사항이 나타나는 다른 경우를 기술 ② 해당 조항의 예외적인 사항이 허용 발음이 되는 경우를 기술 b. ``그러나``: 해당 조항의 예외적인 사항이 원칙 발음이 되는 경우를 기술 이 중 ㄱ을 주로 하여, [붙임] 사용의 오류가 보이는 제4항과 제12항을 수정하였다. 즉, 말머리로 [붙임] 대신에 ``다만``을 사용하였다. 다음 ``다만``의 오류가 보이는 제24항과 제26항을 검토하고, ``다만``을 별도의 항으로 제정하거나 삭제하는 방법을 수정안으로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붙임]과 ``다만``이 함께 사용된 제6, 7, 15, 20, 27, 29항 중 문제점이 보이는 제20항, 제29항을 점검하고 그 해결책으로 [붙임]과 ``다만``의 위치를 조정하는 등의 수정을 가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eculiarity of an exceptive clauses and supplements, which are used introductory remarks in ``Korean Standard Pronunciation`` and readjusts an exceptive clauses and supplements of ``Korean Standard Pronunciation``. Before full-scale investigation and correction, this study examines history of them, through the Korean Orthography(1933) and the Korean Orthography(1948) to clarify the nature. Furthermore, to know using of North-Korea, this analyzes ``Standard Pronunciation`` of 「the Standard North-Korean Language」. And then this examines reference of preface and dictionary definitions in South-Korea. Based on this, defines the peculiarity of an exceptive clauses and supplements, as follow. the peculiarity of an exceptive clauses and supplements ㄱ. South-Korea- a. the supplements: descript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the relevant provision b. the exceptive clauses: description of exceptive information about the relevant provision or the supplements above it ㄴ. North-Korea- a. the supplements: ① description of other circumstance that the relevant provision ② description of case that exceptional circumstances becomes pronunciation accepted b. the exceptive clauses: description of exceptive information about the relevant provision, but it is standard pronunciation Based on this, 4 and 12 that mistakes of supplements are found out, 24 and 26 that mistakes of exceptive clauses are found out, revise. And then 20, 29 examine.

      • KCI등재

        딥러닝 영상처리를 통한 비탈면의 지반 특성화 영역 자동 분류에 관한 연구

        이규범(Kyu Beom Lee),신휴성(Hyu-Soung Shin),김승현(Seung Hyeon Kim),하대목(Dae Mok Ha),최이수(Isu Choi) 한국암반공학회 2019 터널과지하공간 Vol.29 No.6

        비탈면의 붕괴로 인해 재산피해뿐만 아니라 인명피해 또한 발생할 수 있으므로 안정성 평가를 통해 비탈면의 붕괴여부 예측 및 보강을 진행해야 한다. 본 논문은 비탈면 영상에서 암반 절리군, 암반 단층, 토양, 비탈면 누수영역 등 비탈면 붕괴와 관련하여 특성화 시킬 수 있는 지반 영역들을 정의하고 이를 딥러닝 기법을 통해 자동으로 분류해 낼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에 따라 딥러닝 객체 영역분할(Instance segmentation)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영상에 보여지는 다른 특성을 갖는 지반영역의 정확한 형상을 인식하고 자동 분할 할 수 있음을 보였으며, 향후 비탈면 안정성 평가를 위해 시행되는 비탈면 매핑 작업을 지원하고, 비탈면 보강 대책 등 의사결정에 필요한 비탈면의 지반특성 정보를 자동으로 산출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 Because of the slope failure, not only property damage but also human damage can occur, slope stability analysis should be conducted to predict and reinforce of the slope. This paper, defines the ground areas that can be characterized in terms of slope failure such as Rockmass jointset, Rockmass fault, Soil, Leakage water and Crush zone in sloped images. As a result, it was shown that the deep learning instance segmentation network can be used to recognize and automatically segment the precise shape of the ground region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shown in the image. It showed the possibility of supporting the slope mapping work and automatically calculating the ground characteristics information of slopes necessary for decision making such as slope reinforcement.

      • KCI등재

        열-기계적 피로하중을 받는 균열시편 제작시간 단축에 관한 연구

        이규범,최주호,안대환,이보영,Lee, Gyu-Beom,Choi, Joo-Ho,An, Dae-Hwan,Lee, Bo-Young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8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Vol.21 No.1

        In the nuclear power plant, early detection of fatigue crack by non-destructive test (NDT) equipment due to the thermal cyclic load is very important in terms of strict safety regulation. To this end, many efforts are exerted to the fabrication of artificial cracked specimen for practicing engineers in the NDT company. The crack of this kind, however, cannot be made by conventional machining, but should be made under thermal cyclic load that is close to the in-situ condition, which takes tremendous time due to the repetition. In this study, thermal loading condition is investigated to minimize the time for fabricating the cracked specimen using simulation technique which predicts the crack initiation and propagation behavior. Simulation and experiment are conducted under an initial assumed condition for validation purpose. A number of simulations are conducted next under a variety of heating and cooling conditions, from which the best solution to achieve minimum time for crack with wanted size is found. In the simulation, general purpose software ANSYS is used for the stress analysis, MATLAB is used to compute crack initiation life, and ZENCRACK, which is special purpose software for crack growth prediction, is used to compute crack propagation lif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time for the crack to reach the size of 1mm is predicted from the 418 hours at the initial condition to the 319 hours at the optimum condition, which is about 24% reduction. 원자력발전소에서는 열교환 파이프에서 발생하는 열피로 균열을 비파괴 탐상장비를 이용하여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안전을 위해 매우 필요하며, 따라서 이를 모사한 인공균열시편 제작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균열은 일반 기계가공으로 제작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실제 조건과 유사한 열 반복하중 하에서 제작될 수밖에 없는데, 이를 위해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본 연구에서는 크랙성장 시뮬레이션 기법을 이용하여 이러한 균열 제작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최적의 열하중 조건을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임의조건에서 시뮬레이션 및 열피로균열 발생 기초실험을 수행하여 균열 초기수명과 진전수명을 검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가열 및 냉각시간을 시뮬레이션 함으로써 제작시간을 최소화하는 열하중 조건을 구하였다. 시뮬레이션에서는 응력해석을 위해 상용 소프트웨어 ANSYS를 초기균열수명 계산을 위해 수치계산용 소프트웨어 ZENCRACK을 이용하여 코딩을 균열진전수명 평가를 위해 ZENCRACK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 1mm 균열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은 초기의 418시간에서 319시간으로 24% 단축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 KCI등재

        한국한자의 형성 원리와 국조자의 유형

        이규범 ( Lee Kyubum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21 한국어문교육 Vol.36 No.-

        본고는 한국한자의 형성 원리를 살펴보고, 형성 원리에 따라 국조자의 유형을 정리하였다. 훈민정음 창제 이전 선조들은 이두, 구결, 한국한자 등을 만들었는데, 각각 바꿈과 뺌, 더함의 원리를 적용한 문자 생활이라 할 수 있다. 이중 한국한자, 특히 국조자는 기존 한자의 변형이 아닌 창조의 과정으로, 한자 형성의 원리인 상형, 회의, 형성 외에 합음이라는 새로운 원리가 작용하였다. 합음자는 다시 종성 합음과 자질 합음으로 나뉘는데, 이는 한국어 말소리에 대한 선조들의 인식과 창의적 문자 생활을 보여 준다. This study has examined the principles of creating Chinese characters in Korean and classified Chinese characters made in Korea according to them. Before Hangeul was created, Korean ancestors created Idu, Gugyeol, and Chinese characters of Korea. Each had principles of creation as follows: Idu was created by "changing" the meaning and sound of existing Chinese characters, Gugyeol by "deleting" some parts of existing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characters of Korean by "adding" something to existing Chinese characters. Especially, the Chinese characters made by Koreans were a process of creation, not deformation of already-exiting Chinese characters. They were created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adding sound as well as liushu. The addition of sound includes the addition of final consonant and feature. These show Korean ancestors’ perception of Korean sound and their creative writing life.

      • 프로그램에 대한 복잡도 측정인자 분석

        이규범 ( Kyu-boem Lee ),송정영 ( Jeong-young Song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02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3 No.4

        객체지향 프로그램에 대한 복잡도 측정에 관한 방법으로서 기존의 객체지향 패러다임 특성이라 할 수 있는 객체, 메시지, 클래스, 캡슐화 및 상속성등에 관한 연구는 이미 보고된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측정인자로서 Halstead의 Program Volume, Program Level, Program Impurity, Macabe의 Cyclomatic Number, Handerson-Sellers의 응집도 결핍척도, Sullivan`s의 PVG측정 방법 등을 선택하였다, 시뮬레이션으로는 객체지향 프로그램의 대표적인 언어인 JAVA Program을 Design & Coding할 때 도움을 주는 척도에 대해서 JAVA Sample Program을 준비하여 프로그램 복잡도 면에서 측정인자들을 각각 비교·분석 하였다. Measurement of the objects, messages, classes, capsulation, inheritance, etc. that are conventional object-oriented paradigm characteristics as a method of measurement of the complexity of object-oriented programs has been reported. In this paper, the measures that are helpful to designing and coding of JAVA program, which is the representative language of object-oriented programs, are applied to six measures(i.e., Halstead`s Program Volume, Program Level, Program Impurity, Macabe`s Cyclomatic Number, Handerson-Seller`s lack of cohesion in method and Sullivan`s PVG.) suggested in the present study by referring to several actual programs as example for comparative analysis.

      • KCI등재

        공공안전 분야의 빅데이터 연구동향 분석

        이규범(Lee, Gyu Peom),김도우(Kim, Do Woo) 한국범죄심리학회 2017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공공안전 분야의 빅데이터 연구동향을 다각적으로 파악하여 향후 빅데이터 관련 정책과 연구가 지향해야 할 방향과 시사점을 제안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공공안전 분야의 빅데이터 연구 75편을 대상으로 연구동향을 분석하 였다. 분석결과, 첫째, 공공안전 분야의 빅데이터 연구는 최근 5년 동안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증가추세는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전망되었다. 둘째, 공공안전 분야의 빅데이터 연구의 목적이 대부분 초기 연구단계에 머물러 연구범위가 제한적이었으나, 2015년부터 일부 분야에서 빅데이터 정보가 공개되면서 기술적 연구와 설명적 연구의 비중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방법별로는 문헌분석의 비율이 7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실증(통계)분석은 20% 내외로 저조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문분야별로는 법학 및 사회과학을 중심으로 한 이론적 논의가 주를 이루고 있었고, 아직까지 다양한 학문적 분화는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연구주제는 빅데이터 정책 도입에 따른 개인정보보호와 기본권 침해 문제와 정책제언이 주로 이루어고 있었으며 실제 빅데이터를 활용한 분석은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 다. 마지막으로 언어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핵심 키워드의 중심성을 분석한 결과, 빅데이터 공개로 인한 개인정보의 침해 우려와 규제 및 개선방안에 대한 논의가 많았고, “범죄예방”, “범죄예측”, “범죄패턴”, “프로파일링” 등의 범죄학과 관련된 핵심 키워드들도 상대적으로 높은 빈도수를 나타내고 있었다. 빅데이터 도입에 따른 개인정보의 보호와 규제는 짧은 기간동안 비교적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하위개념들을 파생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범죄예방과 범죄예측과 관련된 빅데이터 연구는 아직까지 활용빈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direction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big data policy and research.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research trends of 75 big data studies in public safety fiel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big data research in public safety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over the past five years, and this trend is expected to continue for the foreseeable future. Second, the purpose of the big data research in the field of public safety is mostly in the early research stage, and the research scope is limited. However, since big data information has been released in some fields since 2015, the proportion of technical research and explanatory research is gradually increasing appear. Third, the ratio of literature analysis is higher than 70% by the method of research, but the statistical analysis is about 20%. Fourth, theoretical discussions centered on the legal and social sciences were the main subjects of the discipline, and various academic differentiations did not occur yet. Fifth, the research topic was mainly about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infringement of basic rights, and policy suggestions due to introduction of big data policy, and analysis using real big data was poor. Final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entrality of key keywords by using language network analysis method, there were many discussions about the threat of infringement of personal information due to the disclosure of big data and regulation and improvement measures. There were many cases of prevention of crime , Crime pattern , profiling , etc., were also relatively frequent. Although the protection and regul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due to the adoption of Big Data has been conducted in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and has led to the development of sub-concepts, big data studies related to crime prevention and crime prediction have not yet been used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