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세분류 토지피복지도 분류체계 개선방안 연구 -환경부 토지피복지도를 중심으로-

        관영 ( Kwan Young Oh ),이명진 ( Moung Jin Lee ),노우영 ( Woo Young No ) 대한원격탐사학회 2016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2 No.2

        본 연구는 현재 환경부에서 제공하는 토지피복지도 중 세분류 토지피복지도의 분류체계를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첫째, 해외 토지피복지도 분류 항목을 중점 검토하였다. 둘째, 기존 세분류 분류체계를 적용하여 구축된 항목 당 면적비율을 분석하였다. 셋째, 실제 세분류 토지피복지도를 사용하는 사용자(전문가 및 일반인)을 대상으로 분류체계 개선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넷째, 최종적으로 기존41개 분류체계를 33개 항목으로 개선하는 분류체계를 설정하였다. 다섯째, 설정된 토지피복 분류항목을 시범 적용하였으며, 기존 분류체계와 개선안에 따른 토지피복 분류 결과를 비교하였다. 연구대상지는 시가화지역, 농경지등 다양한 지표특성을 지니고, 지형지물이 비교적 골고루 분포되어 있는 고양시 일산 지역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기본 영상은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촬영하고 있는 0.25 m 급 정사항공영상이며, 관련 참조자료는 수치지형도, 정밀 임상도, 지적도, 행정구역도 등을 사용하였다. 개선된 분류체계를 시범지역에 적용한 결과 문화체육·휴양시설이 1.84 km2으로 분류되었으며, 이는 기존 분류체계 면적대비 약 2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기타 교통통신시설 및 교육행정시설 등은 분류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세분류 토지피복지지도 구축과 갱신의 효율성과 실질적인 사용자 수요를 반영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sub-divided land cover map among the land cover maps provid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o accomplish the purpose, first, the overseas country land cover map classification items were examined in priority. Second, the area ratio of each item established by applying the previous sub-divided classification system was analyzed. Third, the survey on the improvement of classification system targeting the users (experts and general public) who actually used the sub-divided land cover map was carried out. Fourth, a new classification system which improved the previous system by reclassifying 41 classification items into 33 items was finally established. Fifth, the established land cover classification items were applied on study area, and the land cover classification result according to the improvement method was compared with the previous classification system. Ilsan area in Goyang city where there are diverse geographic features with various land surface characteristics such as the urbanization area and agricultural land were distributed evenly were selected as the study area. The basic images used in this study were 0.25 m aerial ortho-photographs captured by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NGII), and digital topographic map, detailed stock map plan, land registration map and administrative area map were used as the relevant reference data. As a result of applying the improved classification system into the study area, the area of culturesports, leisure facilities was 1.84 km2 which was approximately more than twice larger in comparison to the previous classification system. Other areas such as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 and educational administration facilities were not classified. The result of this study has meaningful significance that it reflects the efficiency for the establishment and renewal of sub-divided land cover map in the future and actual users’ needs.

      • KCI등재

        Microwave radiometer를 이용한 안동지역의 수액량 및 증우가능량 추정

        관영 ( Kwan Young Chung ),김효경 ( Hyo Kyung Kim ),이선기 ( Seon Ki Lee ),정영선 ( Young Sun Jung ) 大韓遠隔探査學會 1998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14 No.2

        구름 속의 수액량 분포와 인공강우에 의한 잠재적 증우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1997년 3월부터 1998년 2월까지 이중채널 마이크로웨이브 레디오메타를 사용하여 안동 지방에서 관측을 실시하였다. 안동 지방의 수액량은 대부분의 시간대에서 0.1mm 이하로 매우 작은 값을 보였다. 계절적 특성을 살펴보면 여름철에 수액량이 가장 풍부하였으며, 봄, 가을, 겨울 순이었다. 수액량의 일변화 양상은 여름철을 제외한 계절에서 12시부터 17시까지 비교적 높은 수액량을 보였으며, 강수량이 많은 여름철에는 수액량의 시간 변동이 심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풍향에 따른 수액량의 분포는 소백산맥을 넘어오는 기류인 서풍과 남서풍 계열의 바람에서 수액이 풍부하게 존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수평 수액량 플럭스와 연직 강수량의 비인 잠재적 증우 가능량(Pen)은 대부분 0.5 이하였으며, 계절적으로는 봄철에 0.5, 여름과 가을철에 0.2, 그리고 겨울철에 0.1 이었다. 결과적으로 안동지역에서 인공강우에 의한 최대 증우 가능성은 봄철 서풍계열의 바람에서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The observation of liquid water content(LWC) and the estimation of precipitation enhancement by cloud seeding were made over the Andong in Korea from March 1997 through Feb 1998. A dual-channel microwave radiometer was used to measure the liquid water content and water vapor. It was shown that the 90% of observational period had the amount of less than 0.1 mm in LWC, and that the amount of precipitation was proportionally increased to liquid water content. The amount of LWC has maximum in summer and minimum in winter. The content of liquid cloud water was showed higher value from the time of 12 to the time of 17 except for summer season in which it extremely fluctuated with a large precipitation. The majority of liquid water content over the area occurred with westerly and southwesterly wind which were flowed from the Sobaek mountain. The ratio of horizontal LWC flux and vertical precipitation flux, P(en) is almost ranked in the interval of 0.0~0.5 with maximum of 0.5 in spring, 0.2 in summer and fall, and 0.1 in winter. Accordingly, it is estimated that the potential enhancement of precipitation over Andong area by cloud seeding has high value in spring with westerly wind.

      • KCI등재

        모자이크 영상의 정량적 품질평가 방법

        관영 ( Kwan Young Oh ),정형섭 ( Hyung Sup Jung ),이광재 ( Kwang Jae Lee ),이하성 ( Ha Seong Lee ) 대한원격탐사학회 2014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최신 상용 소프트웨어에서 지원하고 있는 영상 모자이크 기법을 비교 분석하고, 제작된 모자이크 영상들의 정량적인 품질평가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상대적으로 뛰어난 성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모자이크 기법을 계절적 특성이 서로 다른 7장의 KOMPSAT-2 위성영상에 적용하였고, 각각의 결과를 시각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제작된 모자이크 영상의 성능을 비교 할 수 있는 정량적 평가지수를 제안하고, 시각적 결과와 비교 검증을 수행함으로써 제안된 품질평가 지수의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 compact overview of the state-of-art image mosaic algorithms in commercial softwares and to propose objective assessment method of that. Among them, several algorithms, widely used and high quality, result in the mosaic image by applying to seven different kinds of seasons of KOMPSAT-2 images and then consequently each result is analyzed visually. Moreover, quality index is suggested to assess the similarity with colors regarding adjacency images and then it is perform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visual and quantitative results. Consequently, we found out the suggested quality index is feasible.

      • KCI등재
      • KCI등재

        오존을 이용한 유기물 및 세균의 제거 특성에 관한 연구

        이관영 ( Kwan-young Lee ),박상현 ( Sang-hyun Park ) 한국산업융합학회 2007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Vol.10 No.1

        The aim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removal characteristics of organic matter and bacteria with the use of ozone to reduce the problems caused by bacteria and organic matter which appear in sea-water is summer season. When the total input of ozone was 1.4mg/ℓO3, the removal rate of bacteria and E-coli from sea-water proved to be 100%. With the same input of ozone, on the other hand, the removal rate of COD turned to be relatively low, 50%, which was to the fact that sea-water consists of salt matter which is a kind of COD matter. This result supports the idea that we can keep using ozone steadily in the future to remove organic matters and bacteria from sea-water because ozone destructs relatively less salt matter in sea-water. Also, the treatment effect rate of SS, turbidity and organic matters such as NH<sub>3</sub>-N, NO<sub>3</sub>-N etc, was very high. As a result, we assume that the treatment of organic matter in sea-water with ozone is very effective.

      • KCI등재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환경공간정보 연구 동향 분석

        관영 ( Kwan-young Oh ),이명진 ( Moung-jin Lee ),박보영 ( Bo-young Park ),이정호 ( Jung-ho Lee ),윤정호 ( Jung-ho Yoon ) 한국지리정보학회 2017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2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빅데이터 분석 기법 중 하나인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환경 분야의 환경공간정보 활용 연구 동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에 활용된 자료는 NDSL (National Digital Science Library)을 통하여 획득한 국내 논문으로 총 869편을 대상으로 하였다. 논문에서 추출된 단어들은 "환경일반", "기후", "대기", 등 환경 분야 10개, "위성영상", "수치지도", "재난재해"등 환경공간정보 20개로 설정된 분류체계에 따라 재분류 되었다. 재분류된 분류 키워드를 통해, 논문에서 해당 키워드의 출현 빈도 및 시계열 변화를 파악하였으며, 상호 간 연관분석을 수행하였다. 첫째, 빈도 분석 결과 환경 분야에서는 "환경일반"(40.85%)이 환경공간정보에서는 "위성영상" (24.87%)이 가장 높은 활용 빈도를 나타냈다. 둘째, 환경 분야에 대한 시계열 분석 결과 1996년부터 2000년까지는 "기후"에 대한 연구 비중이 높았으나, 2001년부터는 "환경일반"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였다. 환경공간정보에서는 "위성영상"에 대한 수요가 전 기간에 걸쳐 가장 높았으며, 활용 비율 또한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었다. 셋째, 환경 분야와 환경공간정보에 대한 연관분석 결과 총 80개의 연관 규칙이 생성되었으며, 환경 분야 중 "환경일반"이 "위성영상", "전자지도" 등 총 17개의 환경공간정보와 가장 많은 수의 연관 규칙을 생성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trends in environmental research that utilize environmental geospatial information through text mining, one of the big data analysis technologies. The analysis was conducted on a total of 869 papers published in the Republic of Korea, which were collected from the National Digital Science Library (NDSL). On the basis of the classification scheme, the keywords extracted from the papers were recategorized into 10 environmental fields including "general environment", "climate", "air quality", and 20 environmental geospatial information fields including "satellite image", "numerical map", and "disaster". With the recategorized keywords, their frequency levels and time series changes in the collected papers were analyzed, as well as the association rules between keywords. First, the results of frequency analysis showed that "general environment"(40.85%) and "satellite image"(24.87%) had the highest frequency levels among environmental fields and environmental geospatial information fields, respectively. Second, the results of the time series analysis on environmental fields showed that the share of "climate" between 1996 and 2000 was high, but since 2001, that of "general environment" has increased. In terms of environmental geospatial information fields, the demand for "satellite image" was highest throughout the period analyzed, and its utilization share has also gradually increased. Third, a total of 80 correlation rules were generated for environmental fields and environmental geospatial information fields. Among environmental fields, "general environment" generated the highest number of correlation rules (17) with environmental geospatial information fields such as "satellite image" and "digital ma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