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키틀러의 반해석학적 문학사 – 『기록시스템 1800·1900』

        이경진 한국독어독문학회 2019 獨逸文學 Vol.60 No.1

        Kittlers Habilitationsschrift Aufschreibesysteme 1800·1900 ist als eines der wichtigsten Ereignisse in der Geschichte der Germanistik der 2. Hälfte des 20. Jahrhunderts zu beleuchten, welches über die auf der Hermeneutik gegründeten Germanistik ein Todesurteil fällte. In diesem provokanten Buch werden fundamentale Begriffe der Hermeneutik wie Geist, Werk, Autorschaft, Innerlichkeit, Präsenz, etc. als Phantasiekonstrukte entlarvt, die durch das Aufschreibesystem 1800, d. h. durch einen Komplex der materiellen und technischen Bedingungen für die Produktion, Konsumtion und Verteilung der Daten ermöglicht werden. Kittler weist in Anlehnung an Foucault darauf hin, dass die sogenannte Geschichte des Geistes durch den historischen Wandel der Aufschreibesysteme bedingt ist und dieser wiederum als antihumanistisch und diskontinuierlich aufzufassen ist. Dieses Projekt einer materiellen Literaturgeschichte geht grundsätzlich von der Kritik an der Geistesgeschichte aus, einer der wichtigsten Hauptströmungen der Literaturgeschichte, und vor allem am damit eng verbundenen Konzept der Überlieferung, das in jüngerer Zeit von Gadamer und Jauß erneuert worden ist. Kittlers Aufschreibesysteme ist als ein ziemlich erfolgreicher Versuch zu bewerten, die Autorität der hermeneutischen Literaturwissenschaft zu untergraben. Seine Radikalität ist jedoch hinsichtlich des seinerzeitigen wissenschaftsgeschichtlichen Kontexts zu relativieren, da sie zum Teil auf das Krisenbewusstsein des Autors gegenüber der restaurativen Tendenz der deutschen Geisteswissenschaft zurückzuführen ist, sich wieder an die Hermeneutik anzulehnen. 키틀러의 교수자격취득논문 기록시스템 1800 · 1900 출간은 해석학 중심의 독문학에 사망선고를 내린, 전후 독문학사에서 가장 중대한 사건들 가운데 하나다. 프랑스 포스트구조주의 이론들로 무장한 이 책은 독문학의 성립 이래 뿌리 깊은 영향력을 행사했던 해석학의 여러 전제들을 비판하며 조롱한다. 정신, 작품, 저자성, 내면성, 현전과 같은 해석학의 근본 개념들은 1800년경의 기록시스템, 즉 데이터의 생산, 소비, 유통의 물적·기술적 토대에 의해 만들어진 환상임이 드러난다. 이러한 작업은 키틀러가 1800년경의 정신과학에서 보편 개념으로 등극한 인간, 역사, 정신이란 삼위일체를 몰아내고자 했던 프로젝트의 연장선상에 있다. 그는 푸코의 영향을 받아 정신의 역사는 기록시스템의변동이 추동하며, 이 변동의 역사는 반인간적이고 불연속적인 것으로 파악되어야 한다고보았다. 이런 물질적 문학사 서술은 근본적으로는 문학사 서술의 주된 흐름이었던 정신사에 대한 비판을, 특히 가다머와 야우스에 의해 갱신된 ‘전통의 전승’ 개념에 대한 비판을 전제한다. 기록시스템은 해석학적 문학연구의 자명성에 도전하여 실제로 상당한성공을 거두었으나, 이 책의 급진성은 부분적으로는 당대 독일 정신과학이 해석학으로재정비되려는 움직임에 대한 저자의 대응이라는 지성사적 맥락 속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 KCI등재

        정신장애인을 위한 회복프로그램

        이경진,송순인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08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30 No.-

        본 사례연구는 정신보건사회복지사 교환 수련 과정 중 수련정신보건사회복지사에 의해 진행된 프로그램으로 정신장애인 스스로가 질병 또는 환경과의 관계에서 단순히 수동적인 존재가 아니라는 것을 깨닫고, 자신의 병으로부터 회복하는데 주체적인 존재임을 인식하여 회복의 정도를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전체 회기(총 6회기)를 구성하였다. 각 회기별 내용에는 오리엔테이션을 시작으로 장애를 극복한 사람들의 사례를 통해 회복의 개념을 설명과 회복의 7가지 과정과 회복의 8가지 요소를 통해 프로그램 구성원들의 각자 경험에 대한 자기보고를 하는 시간을 가졌다. 또한 회복에 대한 약속과 서명을 통해 회복을 위한 자신의 노력을 다짐하고, 프로그램 통해 변화된 점을 살펴볼 수 있도록 하였다. 프로그램을 평가하는 도구로는 Young(1999)의 정신건강회복척도를 사용하여 사전․사후를 객관적으로 평가 하고, 각 회기 마다 client의 참여도 및 평가에 따라 수련사회복지사가 주관적으로 평가 하고 보조진행자와 회의를 통해 회기별 평가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총 6회기 동안의 회복프로그램은 짧은 시간 안에 많은 변화를 이끌어 낼 수 는 없었지만 스스로 회복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는 중요한 매개체가 되었으며 변화할 동기와 자기효능감을 높여주는 프로그램이었다.

      • 환경기술코너-방류수 수징 원격감시체계(TMS) 시범운영

        이경진,조재원,현문식,권봉경,최준창,Lee, Gyeong-Jin,Jo, Jae-Won,Hyeon, Mun-Sik,Gwon, Bong-Gyeong,Choe, Jun-Chang 환경보전협회 2007 환경정보 Vol.29 No.367

        최근 수질환경보전법의 개정법률(안)에 의거하여 폐.하수종말처리장에 수온, pH, 생물학적산소요구량(BOD), 화학적산소요구량(COD), 총질소(TN), 총인(TP) 및 부유물질(SS)의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는 수질자동측정기의 부착이 의무화될 예정에 있다. 그러나, 현재 전국적으로 화학적산소요구량 측정장비와 같이 일부 항목에 대한 자동측정장치는 설치.운영 중인 곳이 많이 있으나, 수질 TMS 설치 규정에 나와 있는 전 항목을 측정할 수 있는 장비가 설치되어 운영하는 곳은 극히 일부에 불과한 실정이다. 따라서, 수온, pH, 화학적산소요구량(COD), 총질소(TN), 총인(TP), 부유물질(SS) 자동측정 장치를 설치하고, 무선통신(CDMA) 방식을 이용하여 '방류수 수질 원격감시체계(TMS) 시범 운영'을 통하여, 측정 장비들에 대한 자료의 정확성, 신뢰성을 파악하여 설치될 장비들에 대한 성능을 사전에 평가하고, 수질 TMS 시스템에 대한 현장 적응 능력 및 안정성을 파악하여 실질적으로 운영되는 시점에 좀 더 정확하고 실용적인 시스템을 적용하고자 한다.

      • 방류수 수질 원격감시체계'TMS' 시범 운영

        이경진,조재원,권봉경,최준창,Lee, Gyeong-Jin,Jo, Jae-Won,Gwon, Bong-Gyeong,Choe, Jun-Chang 한국환경기술인연합회 2006 환경기술인 Vol.23 No.12

        최근 수질환경보전법의 개정법률(안)에 의거하여 폐 · 하수종말처리장에 수온, pH, 생물학적산소요구량(BOD), 화학적산소요구량(COD), 총질소(TN), 총인(TP) 및 부유물질(SS)의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는 수질 자동측정기의 부착이 의무화될 예정에 있다. 그러나, 현재 전국적으로 화학적산소요구량 측정장비와 같이 일부 항목에 대한 자동측정장치는 설치 · 운영 중인 곳이 많이 있으나, 수질 TMS 설치 규정에 나와 있는 전 항목을 측정할 수 있는 장비가 설치되어 운영하는 곳은 극히 일부에 불과한 실정이다. 따라서, 수온, ph,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총질소(TN), 총인(TP), 부유물질(SS) 자동측정 장치를 설치하고, 무선통신(CDMA)방식을 이용하여 ‘방류수 수질 원격감시체계(TMS) 시범 운영'을 통하여, 측정 장비들에 대한 자료의 정확성, 신뢰성을 파악하여 설치된 장비들에 대한 성능을 사전에 평가하고, 수질 TMS 시스템에 대한 현장 적응 능력 및 안정성을 파악하여 실질적으로 운영되는 시점에 좀 더 정확하고 실용적인 시스템의 적용하고자 한다.

      • KCI등재

        근대적 문학사의 한 가지 기원 - 프리드리히 슐레겔의 문학사 기획

        이경진 한국독어독문학회 2022 獨逸文學 Vol.63 No.3

        F. Schlegel zählt zu den Begründern der modernen Literaturhistoriografie, die im frühen 19. Jahrhundert die in polyhistorischer Tradition stehende ,historia litteraria‘ durch die Form einer einheitlichen Entwicklungsgeschichte der Literatur erneuert hat. Obwohl Schlegels literaturgeschichtlichen Ansätze nach kurzer Zeit von der Gervinusschen Idee der Nationalliteraturgeschichte verdrängt wurden, waren sie wichtige Versuche, den ästhetischen Standpunkt, der bei Gervinus nicht in Betracht gezogen wurde, mit dem historischen zu versöhnen. In dieser Hinsicht ist Schlegels Hinwendung zur Literaturhistorik nicht als Abbruch seiner Literaturkritik, sondern als Vertiefung bzw. Erweiterung derselben zu verstehen. Seine ersten literaturgeschichtlichen Schriften, nämlich diejenigen zu der Geschichte der griechischen Literatur, versuchen, im Anschluss an die Querelle des Anciens et des Modernes ein richtiges Maß für die Kritik der modernen Literatur durch eine historische Betrachtung der altgriechischen zu gewinnen. Die vorbildhafte Rolle der alten Literatur ist aber in seinen weiteren Projekten zu europäischer Literaturgeschichte nicht mehr zu finden. Schlegels Vorlesungen in Paris und Köln suchen indessen ihre Grundlage des historischen Überblicks über die ganze europäische Literatur in der Idee der Poesie als das ,Ganze‘. Diese Idee reicht aber nicht hin, um für die Geschichte der Poesie eine organische Kohärenz zu schaffen, weil sie definitorisch undefinierbar bleibt, daher wird sie in Schlegels nächsten großen Vorlesungen Geschichte der alten und neuen Literatur durch die Idee des Nationalgeistes ersetzt. Dadurch wird der ästhetische Gesichtspunkt zwar erheblich eingeschränkt, aber durch viele charakteristische Darstellungen ergänzt, die von seiner kritischen Hingabe an das Individuelle zeugen. In Schlegels verschiedenen literaturgeschichtlichen Projekten zeigt sich sein besonderes Interesse daran, die Spaltung zwischen dem historischen und dem ästhetischen Standpunkt, die in der Literaturhistoriografie bis heute problematisch bleibt, zu überwinden. F, 슐레겔은 19세기 초 편람 형식의 ‘히스토리아 리테라리아’를 문학의 단일한 발전사로 갱신한 근대적 문학사를 정초한 사람 중 한 명으로 꼽힌다. 그의 기획은 비록 곧바로 헤게모니를 장악한 게르비누스의 민족문학사에 밀리긴 했으나, 민족문학사에서는 배제했던 미학적 관점을 역사적 관점과 통합하려는 중요한 시도였다. 이런 점에서 슐레겔의 문학사 작업은 비평 작업의 중단이 아닌 연장과 심화로 보아야 한다. 그의 첫 문학사 작업인 그리스 문학사는 신구논쟁의 틀 안에서 고대 그리스 문학의 역사적 고찰을 통해 현대 문학 비평의 척도를 정립하려는 시도이다. 여기서 옹호되었던 그리스 문학의 전범성은 이후 파리와 쾰른에서의 유럽문학사 강의에서는 사라지고, 대신 ‘전체로서의 시’ 이념이 문학사 조망의 근거로 도입된다. 그러나 사실상 정의될 수 없는 이 시의 이념이 문학사 서술의 유기성을 담보해주지는 못하므로 이후 『신구문학사』 강의에서 문학사의 주체는 ‘민족’으로 대체된다. 여기서 미학적 관점은 이전보다 크게 위축되나, 개별자에 대한 비평적 관심을 보여주는 ‘성격론’적 묘사로 보완된다. 이러한 시도들은 오늘날까지도 문학사 서술에서 계속해서 문제적으로 남아있는 미학적 관점과 역사적 관점의 간극을 극복하려는 슐레겔의 각별한 관심사를 보여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