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력볼트 길이에 따른 체결 특성 평가

        이강민,김강석,나환선,이현주,오경환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11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15 No.6

        고력볼트 길이-직경비가 5d 이상인 경우, 시험을 통한 결과를 활용하여 현장에서 볼트 체결을 하도록 권고하고 있을뿐 길이-직경비에 따른 별도의 규정 및 지침은 없다. 국내에서는 고력볼트 체결법으로 너트회전법이 아닌 토크관리법이 적용하고 있고 최근에는 KS B 2819의 ‘구조물용 토크-전단형 고장력 볼트’(이하, TS 고력볼트)가 주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길이 인자에 따른 규정이 국외 기준에 비해 미비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TS 고력볼트의 길이인자에 따른 적정 축력 도입을 위한 소요 너트회전각 및 토크를 분석하여 길이변수에 따른 특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실험결과의 분석에서는 통계분석 프로그램 Minitab을 활용하여 길이변수에 대한 유효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했다.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length parameter of high strength bolts results in the variance in tensile loads. The required turn of nut for each length is specified in AISC RCSC specification. There is no specific regulation datum about the bolt length in the two national codes and specifications in Korea.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evaluating influence of the clamping torque subjected to length parameter of high strength bolts. Two types of high strength bolt specimens were manufactured and tested; High Strength Hexagon bolt specified in ASTM A490 and Torque Shear Bolt in KS B 2819. The length parameter ranged from 60mm(3d) to 140mm(7d). The torque, turn of nut, and the clamping force were analyzed to review whether length parameter affects on the required tensile strength.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length parameter on the torque and turn of nut for the required strength and clamping force, statistical analysis was also carried out.

      • KCI등재

        1912年刊 『局員須知 日鮮會話』와 近代 日本語

        이강민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7 비교일본학 Vol.41 No.-

        본 논문은 1912년 2월에 일본에서 간행된 『局員須知 日鮮會話』의 내용을 살펴봄과 동시에 근대 일본어, 특히 메이지(明治)후기 일본어의 연구 자료로서 본서가 가지고 있는 가치를 생각해 보고자 한 것이다. 조선총독부 토지조사국에서 발간한 본서는 메이지기 일본에서 간행된 여타의 한국어 학습서와는 달리 특정 행정 담당자들(局員)의 공무집행을 위한 학습서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개화기에 도입된 행정용어들이 등장한다는 점에서 한국어에 도입된 일본한자어 연구에 귀중한 정보를 제공해줄 것으로 판단된다. 조사의 결과, 본서의 일본어에는 동사의 활용형, 당위표현, 가능표현 등에서 근대일본어의 과도기적인 언어현상이 반영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서에 보이는 「カバン」과 같은 한국어 대역어에는 근대 어휘사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흥미 있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thesis aims to look into the contents of Kyokuinshuchi Nissenkaiwa(局員須知 日鮮會話) published in February, 1912 in Japan and to take its value into consideration as a research material for Japanese language of the late Meiji period. This book was published by the Land Survey Bureau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Unlike other Korean study materials published during the Meiji period in Japan, it was originally made as a study material for the people who needed to execute official duties. For this reason, this book contains administrative terminology that were used during the time of enlightenment in Korea.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this book will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for the study of Japanese Kanji that influenced Korean language. Through the research, it was found that this book taught the use of verbs, appropriate expressions and ‘can/able’ expressions in Japanese language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for Modern Japanese. In addition, this book contains many interesting Korean translated terms such as kaban(カバン), which also can be used in the research of modern vocabulary history.

      • SAS를 이용한 arbutine의 미세입자 제조

        이강민,최성우,신문삼,김화용 한국화학공학회 2007 화학공학의이론과응용 Vol.10 No.2

        초임계 유체를 사용하는 기술은 친환경적이면서 경제적인 공정을 개발 및 개선을 하기 위해 노력하는 기술자들이 최근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는 기술들중의 하나이다. 이 기술은extraction, polymerization, particle formation, coating, impregnation 그리고 cleaning에 이르기까지 넓은 범위에 응용되어지고 있고 더욱더 그 범위를 확장해가고 있다. SAS(supercritical anti-solvent) 공정은 용질이 용매에는 높은 용해도를 갖고 초임계 유체에 대한 용해도가 매우 낮으며 용매는 초임계 유체에 대한 용해도가 높은 경우에 사용되는 기술이다. 원하는 입자가 녹아있는 용액에 역용매로서 초임계 유체를 사용하므로서 용매의 용해력을 급격히 저하시켜 용액 안에 녹아 있는 원하는 미세 입자를 석출시키는 원리를 이용한 공정이다. 이 공정의 장점은 비교적 낮은 온도와 압력의 조건하에서 진행되기 때문에 열에 민감한 물질들을 미세화하는 데에 매우 유용하다. 본 실험에서 침상 및 판상 모양의 수 ㎛에서 수십㎛의 arbutine 입자를 여러 가지 실험 조건에서 얻었고 이를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y)으로 분석하였다.

      • KCI등재

        성폭력범죄 처벌규정의 체계적 정비방안

        이강민 梨花女子大學校 法學硏究所 2017 法學論集 Vol.21 No.4

        현재 성폭력범죄에 대한 처벌규정은 형법뿐 아니라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성폭력처벌법),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청소년성보호법) 등 특별법에 산재되어 있고, 구성요건의 유사・중복 등 비효율성, 결합범의 양산에 따른 죄수의 불명확성과 형벌의 불균형 등 형법이론적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성폭력처벌법의 경우 제3조(특수강도강간 등)는 불법과 책임과 상응하지 않는 법정형이 규정되어 있고 하나의 조문에 40여 개에 이르는 범죄유형을 규정함으로써 입법방식에 문제가 있다. 제5조(친족관계에 의한 강간 등)는 제3조, 제4조에 비추어 법정형의 불균형이 존재한다. 제7조는 13세 미만자에 대한 위계・위력 간음 등을 폭행・협박에 의한 것과 동일하게 취급하면서도 동의에 의한 간음 등을 규정하고 있지 않아 형법(제305조)의 태도와 배치된다. 제8조(강간 등 상해・치상)는 기본행위의 불법이나 책임이 전혀 고려되지 않아 과잉처벌의 문제가 있다. 제9조(강간 등 살인・치사) 는 형법상 강간 등 살인・치사(제301조의2)의 법정형과 동일하며, 동조 제3항은 과실에 의해 사망에 이르게 한 범죄에 사형을 규정하여 책임원칙에 반할 우려가 있다. 청소년성보호법의 성폭력범죄 처벌규정 역시 제7조는 아동・청소년에 대한 위계나 위력에 의한 성폭력범죄를 폭행・협박에 의한 것과 동일하게 처벌하고 있다. 제9조(강간 등 상해・치상)와 제10조는 형법의 강간 등 상해・치상죄의 법정형과 비교하여 큰 차이가 없다. 이에 반해 제10조 제2항에 있어서 과실에 의해 사망을 초래한 경우사형이 적절한 법정형인지는 의문이다. 이들 구성요건을 형법으로 편입함에 있어서 첫째, 형법의 ‘강간과 추행의 죄’의 규정체계와 정합성을 유지할 필요가 있고, 둘째 일반 국민이 알기 쉬워야 할 뿐 아니라 수사기관이나 법원도 적용규정을 어려움 없이 확정할 수 있어야 하며, 셋째 헌법상 원칙인 책임원칙에 반하지 않아야 한다는 점을 토대로 하여야 한다. 이러한 기본방향에서 현행 제297조(강간)를 동조 제1항으로 하고, 친족관계에 있는 사람에 대한 강간을 제2항, 아동・청소년에 대한 강간을 제3항, 장애인에 대한 강간을 제4항, 13세 미만의 사람에 대한 강간을 제5항으로 규정한다. 이와 같이 행위태양과 행위객체를 기준으로 제297조의2(유사강간)와 제298조(강제추행) 및 제299조(준강간・준유사강간・준강제추행)의 경우에도 강간죄와 동일하게 객체에 따라 제1항부터 제5항으로 나누어 규정한다. 또한 행위방법의 위험성으로 인하여 가중되는 가중적 구성요건인 특수강간(성폭력처벌법 제4조 제1항)을 제297조의3, 특수유사강간(성폭력처벌법에는 처벌규정 없음)을 제297조의4, 특수강제추행(성폭력처벌법 제4조 제 2항)을 강제추행죄 다음인 제298조의2, 특수준강간・준유사강간・준강제추행(성폭력처벌법 제4조 제3항)을 제299조의2로 신설하여야 한다. 그 밖에도 성폭력처벌법에 규정되어 있는 변형구성요건인 업무상위력 등에 의한 추행, 피구금자추행, 공중밀집장소에서의 추행, 통신매체이용음란, 카메라 등 이용촬영 및 반포와 정보통신망이용 영리목적 촬영물 유포를 형법의 규정 체계에 맞춰 신설하여야 한다. 다만 성폭력처벌법 제3조는 형벌과 책임 간의 비례성원칙에 위반될 뿐 아니라 다른 범죄와의 관계에서 형벌의 체계정당성에 어긋나고 평등원칙에 위반될 여지가 있으므로 삭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결과적 가중범인 성폭력처벌법 제8조와 제9조 그리고 청소년성보호법 제9조와 제10조는 각각 형법 제301조와 제301조의2의 법정형과 큰 차이가 없다는 점에서 역시 삭제하는 것이 타당하다. In Korea the provisions of punishing sexual crimes are not only in Criminal Act but also in many special criminal laws, such as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the punishment, etc. of sexual crimes”(hereinafter referred as ‘ASCSC’), “Act on the protection of children and juveniles against sexual abuse”(hereinafter referred as ‘APCJ’) etc. This situation causes many theoretical problems, i.e. similarity of penal clauses and inequality of punishment. So we must keep the following principles when including into Criminal Act: Firstly to maintain systematic congruity with ‘crimes concerning rape and infamous conduct(chapter 32 of Criminal Act).’ Secondly it’s easy to be understood. And thirdly it’s not contradictive to responsibility principle as constitutional principle. In this basic directions, it is appropriate to reorganize article 297 (Rape), 298 (indecent act by compulsion) and 299 (quasi-rape, quasi-indecent act by compulsion) of Criminal Act. Also article 4 of ASCSC have to be included into Criminal Act in which there is no punishment provision as it in ASCSC. In addition, altered crimes such as article 10, 11, 13 and 14 in ASCSC have to be enrolled into Criminal Act. On the other hands, article 3, 9 and 10 of ASCSC not only violates the liability principle on the object of punishment, namely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guaranteed by Korean Constitution but also systematic congruity with crimes concerning. So it should be deleted.

      • KCI등재SCOPUS
      • KCI등재

        『실지응용(實地應用) 일한회화독습(日韓會話獨習)』의 일본어(日本語)와 한국어(韓國語)

        李康民 한국일본어문학회 2018 日本語文學 Vol.79 No.-

        本稿は、1904年、日本の大阪で刊行された韓國語學習書『實地應用日韓會話獨習』の製作背景とその內容を調査ㆍ分析し、言語史の立場から本書の持つ意味を考えてみようとしたものである。本書は、日露戰爭期に刊行された學習書の中では、軍事よりは商業の方に中心をおいた學習書として注目できる。特に、本書に收錄されている日本語と韓國語の會話文には、當時の歷史的な事實を反映する內容をもっているとともに、高い口語性を備えている点で、言語資料としての價値を有するものと思われる。調査の結果、本書の日本語には、文法と語彙面において、1904年前後の現實日本語が充實に反映されていることが確認できた。また、本書に收錄されている韓國語は、韓國語の音韻史や語彙史的な側面から貴重な資料的情報を提供し得るものであることを報告した。このような特徵を持つ『實地應用日韓會話獨習』は、韓國と日本の言語史的な立場から今後樣?な問題を提起し得る資料として活用出來るものと思われる。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ontents and the background of the book―Jitchioyo Nikkankaiwadokusyu(實地應用日韓會話獨習)―which was published in Japan in April 1904, and to consider the value of the book as a research resource for the Korean and Japanese languages.Most Korean language textbooks published during the Russo-Japanese War were created for military purposes. Being one of the few books that were created for commercial purposes, this book is of particular interest.An analysis, confirmed that the transitional phenomena of modern Japanese such as conjugations, honorific expressions, and the potential form of verbs were applied to the Japanese language in the book. In addition, phenomena that can be used in the research of modern language’s historical phonology and lexical history in the Korean language of the book was confirm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