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중 과학기술 30년에 대한 진단과 새로운 협력 전략

        은종학 중국지역학회 2022 중국지역연구 Vol.9 No.3

        In this paper, we reflect and evaluate 30 years of S&T collabor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Also, we analyze various evolving factors that have framed the bilateral collaboration applying bibliometric analysis skills on data retrieved from the Web of Science. By synthesizing the historical and empirical analyses with relevant theoretical discussions, we suggest new strategic approaches that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consider in the future S&T collaboration with China. Although Korea-China diplomatic normalization in 1992 has facilitated bilateral collaborative projects in various S&T fields, however, not many of them were sustained to achieve fruitful results. Meanwhile, Korea has suffered from decreasing bargaining power which was possibly resulted from her heavier reliance on China than vice versa. Furthermore, two countries’ high degree of similarity in S&T research portfolio has increased competitive and substitutive pressure on each side. On the other hand, China, partially contained by the US in access to state-of-the-art technologies, might more tend to consider alternative technology strategies maximizing the utilization of available technologies and pursue disruptive and even frugal innovations. Thus, Korea should take into account those Chinese characteristic factors in designing the future collaboration strategy. Furthermore, we argue that non-S&T fields should not be neglected even in pursuit of S&T innovation and building competitive advantage over China. 본고는 한중수교 이후 지난 30년간의 과학기술 협력을 회고·반성하고, 양국간 협력의 구도를 변화시켜 온 다양한 요인들을 계량서지학적 방법으로 분석한 뒤, 그를 바탕으로 한국의 바람직한 대중국 과학기술 협력 전략을 새롭게 제안한다. 한중수교 이후 양국 정부가 기획한 공동연구는 기대만큼 활성화되지 못했다. 한중 과학기술 협력의 전체 구도를 분석해보면, 한국의 대중국 의존도가 비대칭적으로 커져 대중국 협상력이 약화하고, 과학기술 연구 포트폴리오에 있어 한중 양국의 유사성이 커져 상호 경쟁과 대체의 압력 또한 높아졌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중국은 미국을 위시한 서구의 견제를 받으면서 ‘-1 기술전략’, ‘중국식 적정기술전략’ 등을 고려할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한국은 과학기술 협력을 통한 중국과의 공공외교를 실리있게 유지하기 위해, 중국발 판을 뒤엎는 혁신(disruptive innovation) 등 중국 특색의 지점에 유념하여 과기협력 전략을 재설계해야 할 것이다. 또한 과학기술을 넘어 제도와 인프라 등비(非)과학기술 영역에도 균형 있는 관심을 기울여 진정한 대중국 경쟁우위를 구축해야할 것이다.

      • KCI등재

        중국 기업의 혁신행위 패턴분석: 私기업을 중심으로

        은종학,민성기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10 국제지역연구 Vol.19 No.4

        Since the reform and open door policy, China has successfully exploited its comparative advantage in cheap labor intensive industries and has achieved rapid economic growth. However, as China began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sustainable growth, it has recently begun to pay more attention to “innovation” as an alternative engine for economic growth and to business firms as key actors in innovation-driven economic growth.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explores Chinese firms' innovation-related behavioral patterns, with a special focus on cross-ownership type differences. From econometric analyses of 302 samples obtained from a questionnaire survey, this study found that Chinese local private firms has higher efficiency in performing innovation than state-owned firms, although their level of R&D intensity is lower than their counterparts. Our analyses indicate that the Chinese local private firms' superiority in innovation efficiency should be, at least in part,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ey invest more efforts in absorbing and assimilating imported technology and that more actively utilize the downstream knowledge source, which are the “customers.” These findings require an adjustment of a wide spread but inaccurate notion that Chinese local private firms are not even capable of trying innovation because of their low level of development. Our analyses show that Chinese local private firms might be actually keen on demand-pull innovation. These firms may even serve as a benchmark for foreign firms trying to tap into the Chinese domestic market. 개혁개방 후 중국은 풍부한 저임 노동력에 기초한 비교우위를 적극 활용함으로써 경제의 고도성장을 달성했다. 하지만 최근 중국은 보다 지속가능한 성장을 추구하면서 ‘혁신’을 경제성장의 새로운 엔진으로, ‘기업’을 혁신의 주체로 새롭게 인식하고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본고는 중국 기업의 혁신에 주목하되, 특히 서로 다른 소유제 기업 간에 존재하는 혁신 관련 행위패턴의 차이를 私기업을 중심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얻은 302개 중국 기업에 관한 자료를 분석해 본 결과, 중국의 사기업은 비록 R&D 관련 투입이 적고 대학 및 연구소와 같은 이른바 상류(upstream)에 존재하는 지식원천의 활용도 미진하지만, 혁신 관련 투입을 산출로 바꾸는 효율성은 국유기업에 비해 오히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사기업의 이와 같은 혁신 효율성은, 외부에서 도입한 기술을 소화․흡수하는데 있어서 남다른 노력을 기울인다는 점과 더불어 ‘고객’이라는 지식 흐름 하류(downstream)에 존재하는 또 하나의 원천을 적극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중국의 사기업이 그 발전 정도가 낮아 혁신을 수행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기존의 인식이 수정될 필요가 있으며, 중국 내수시장 진입을 꾀하는 한국기업들에게는 중국의 고객과 소통하고 그를 기반으로 수요견인형 혁신을 추구하는 방법을 중국 사기업들에서 배울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후보

        중국 디자인 혁신의 배후 도시 네트워크와 주요 도시의 역할 분석

        은종학 성균관대학교 성균중국연구소 2022 중국사회과학논총 Vol.4 No.2

        디자인은 혁신의 새로운 동력으로 주목받아 왔지만 객관적 지표와 통계의 부재로 실증적 연구가 미진했다. 오늘날 중국 디자인의 현주소를 파악하는데도 같은 문제가 있었고, 질적 비평과 주관적 판단에 의존하는 바가 컸다. 이 같은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본 연구는, 세계 3대 디자인상 중 하나인 iF 디자인상을 수상한 중국 디자인 1천여 건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양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의 초점은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중국 디자인을 창출한 배후 도시간 네트워크와 네트워크 속 주요 도시의 역할에 두었다. 다양한 네트워크 분석 기법을 통해 본 연구는, 중국 신흥도시 선전의 부상과 상하이의 복합적 역할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 뒤를 잇는 2선 도시들의 진면목도 파악할 수 있었다. 더불어 본 연구는, 개인의 자유와 체제에 대한 도전이 제한적이라는 중화인민공화국에도 창의성과 디자인 혁신의 공간이 있음을 밝히고, 이념적 이분법을 넘어‘제한적 창의성’에 관한 논의가 추후 심화될 필요가 있음을 제기한다.

      • KCI등재

        싱가포르 신설 국립대학 SUTD의 대중(對中)·대미(對美) 연구 협력 네트워크 분석

        은종학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8 아태연구 Vol.25 No.2

        Recent comparative studies on so-called the East Asian Little Dragons (e.g. South Korea, Taiwan, Singapore) showed that Singapore has been outstanding in adjusting herself to changing environments with the rise of China and also in maintaining strategic balance at the same time.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Singapore but further narrows down the focus to a micro-level actor, SUTD (Singapore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Design). SUTD, the 4th Singaporean national university founded in 2012, deserves an in-depth study because it might represent the Singaporean national pursuit in a new era. This study analyzes the collaborative research networks that SUTD have formed with its two strategic international collaborators, i.e. MIT in USA and Zhejiang University in China. This study tries to figure out how SUTD has utilized heterogenous resources in USA and China through the strategic alliances and how SUTD has positioned itself within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its best interest. Policy implications from the research findings are also discussed. ‘동아시아의 작은 용’이라 일컬어지는 국가들(한국, 대만, 싱가포르)에 대한 최근의 비교연구에서 싱가포르는 중국의 부상에 가장 기민하게 대응하며 전략적 균형을 유지한 것으로 평가된 바 있다. 본 연구는 싱가포르의 그러한 측면에 주목하되, 보다 미시적인 분석을 시도한다. 즉, 2012년 싱가포르가 신설한 제4의 국립대학 SUTD에 초점을 맞춘다. 디자인에 강조점을 둔 SUTD는 그 설립 자체가 변화하는 국내외 환경 속에서 싱가포르의 새로운 지향을 상징하는 것으로 분석의 가치가 높다. 본 연구에서는 SUTD가 설립과정에서부터 양대 전략적 협력 파트너로 선정한 미국의 MIT, 중국의 절강대학과 최근까지 형성·발전시켜 온 연구 협력 네트워크를 다각도로 실증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SUTD가 미국 및 중국의 서로 다른 자원을 어떻게 활용하며 국제적 네트워크 속에서 자신의 위상을 어떻게 구축해 가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로부터 도출 가능한 정책적 함의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인공지능 국제 과학연구 네트워크 속 중국의 위상 분석

        은종학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2020 中國硏究 Vol.82 No.-

        본 연구에서는, 향후 과학기술 혁신의 주된 발원지가 될 것으로 손꼽히는 ‘인공지능(AI)’ 분야에서 중국이 쌓아올린 독자적 과학연구 역량이 어느 정도인지를 객관적으로 파악해보려 하였다. 특히, 최근 미-중 분쟁 속에서 양국간 과학 협력마저 위축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AI 분야의 과학 협력 중단이 벌어질 경우 그 충격이 양국에 어떻게 가해질 것인지를 스트레스 테스트 방법으로 가늠해보고자 하였다. 더불어 국제 AI 과학연구 네트워크에서 중국과학원과 주요 중국 대학들의 위상 변화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Web of Science로부터 2008년, 2013년, 2018년 출간된 AI 분야 SCIE 논문들의 서지 데이터를 수집하고 그를 계량서지학과 사회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해 다각도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종래 후발 개도국으로 지칭됐던 중국이 AI라는 첨단 과학영역에서는 외부 충격에도 상당한 내성을 키운 독자적 과학연구 역량을 갖게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한국의 위상은 그에 크게 못 미쳐 중국을 마주대하는 전략에 있어 근본적 변화가 필요함도 확인하였다.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I) has become a key field of scientific research and discussions about the future engine of science and technology-based innovation. Although China is still generally characterized as a latecomer or a developing country, however, she recently shows some signs of catching-up or even surpassing the traditional forerunners or developed countries in the emerging field of AI. Against this backdrop, this paper takes a fresh approach in analyzing the capacity that China has built up in the AI sector. By collecting bibliographic data from the Web of Science and conducting a series of social network analyses, the paper could capture the rising status of China within the international scientific research network in the field of AI. Also, through a stress test, this paper shows the impact from a hypothetical severance of the US-China tie in AI scientific research would not be unilateral against China. A further micro-level exploration of key players in the AI scientific research network reveals the enhanced centrality of the Chinese Academy of Sciences and major Chinese Universities.

      • KCI등재

        중국 디자인 혁신, 어디를 향해 어떻게 가는가? :목표시장과 컨텐츠 특성 분석

        은종학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22 중소연구 Vol.46 No.3

        본 연구는, 창의적 디자인이 혁신의 중요한 한 원천일 수 있다는 각성과, 혁신은 시장을 통해 완성된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그러한 관점에서 중국의 디자인 혁신과 그들이 지향하는 시장을 결부시키고, ‘중국의 디자인 혁신은 어떤 시장을 향해, 어떤 컨텐츠를 담고, 어디로부터 나아가는가’하는 연구질문에 답해 보고자 하였다. 2020년 중국이 수상한 iF 디자인상 수상작 844건의 프로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한 뒤, 로지스틱 분석과 LDA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컨텐츠 분석을 실시하여, 중국 디자인의 글로벌 시장 지향을 결정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 서로 다른 범주의 시장(중국 국내, 아시아 권역, 글로벌 시장)을 지향하는 중국 디자인의 컨텐츠와 지역 특성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중국의 전통문화 요소를 테마로 삼은 디자인은 상해를 중심으로 창출돼 아시아 권역 시장을 향하는 한편, 글로벌 시장은 심천을 중심으로 이뤄지는 기술 및 기능 중심의 제품 디자인 혁신을 통해 주로 공략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그로부터, 디자인 기반 중국 소프트 파워의 현주소도 점검할 수 있었다. This study departs from the awareness that creative design can be an important source of innovation and the recognition that innovation is completed through the market. From that point of view, we tried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of ‘which market are China’s design innovations towards, what contents they contain, and where do they come from?’ After creating a database of the profile information of 844 China’s iF Design Award winners in 2020, the author conducte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factors that determine the global market orientation of Chinese designs and LDA topic modeling to compare Chinese designs aiming for different markets (i.e. Domestic, Asian regional, Global market) in terms of design contents and geographical origins. Through the analyses, we found that designs with the theme of traditional Chinese culture were created centered on Shanghai and headed for the Asian market, while the global market was mainly targeted through technology and function-oriented product design innovation centered in Shenzhen. Furthermore, we could briefly evaluate the current status of Chinese soft power emanating from the country’s design capability.

      • KCI등재

        중국 과학기술 역량에 대한 再考新슘페터리안 관점

        은종학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07 중소연구 Vol.31 No.2

        중국은 최근 R&D 지출, 과학기술 분야 학술논문, 특허 등 주요 과학기술 지표에서 급속한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다. 이들 지표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한 기존의 논의들은 중국의 과학기술역량이 이미 세계적 최고수준에 올랐음을 시사하고 있다. 그러나 저자는 기존의 논의 들이 전통적인 과학기술지표를 바탕으로 중국의 과학기술역량을 평가하는데 있어 몇 가지 기술적 문제점 뿐 아니라 인식상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어 중국의 과학기술역량을 제대로 평가하지 못했다고 지적한다. 기존의 논의는 명시적 지식의 양(量)에만 주목해 암묵적 지식의 축적과정에 주목하지 못했고, 중국 내 과학기술활동의 실제 주체를 미시수준에서 자생적 주체와 외래주체로 구분하지 못했으며, 과학기술 지식이 과학기술 역량으로 전환되는 동태적 과정에 충분히 주의를 기울이지 못했다고 저자는 비판한다. 그리고 이 같은 비판을 바탕으로 저자는 일국의 과학기술역량을 보다 균형 있게 평가할 수 있는 개념적 틀을 신슘페터리안 경제학의 논의를 바탕으로 구축하고, 그 개념적 틀 속에서 중국의 과학기술역량을 재평가한다. 기존의 논의를 보완하는 추가적 논의들을 통해 저자는 중국의 과학기술역량에 대한 기존의 평가를 일정 정도 평가절하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이상의 논의를 통해 이론적, 정책적 함의도 도출한다.

      • KCI등재

        중국 대학생들은 어떤 창업을 꿈꾸는가?: 커즈너리언 vs. 슘페터리언 창업

        은종학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12 국제지역연구 Vol.21 No.1

        In this research, it has been assumed that one of main clues about the dynamic potential of Chinese economy could be found in the young intellectuals’ venturing activities. In order for a deeper understanding of those activities, this paper classified them into Kirznerian entrepreneurship, which nudges the existing market towards so-called the equilibrium, and Schumpeterian entrepreneurship, which destructs the existing market and creates a new one. Moreover, this paper tried to measure which type of entrepreneurship better describes the venturing plans of Chinese university students. Also, this research tried to identify the determining factors that affect to their venturing plans.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subjects of four hundred university students in Beijing and Shanghai, where venturing activities are concentrated these days. The following facts have been revealed. The intensity aiming Schumpeterian entrepreneurship became stronger for students who pursued their own businesses. In addition, it became relatively weaker for students of key national universities and vice versa for students of private universities. Also, it was stronger in Shanghai than Beijing, and it was remarkable when the motivation of innovation was originated from the perception of changes in science and technology (rather than changes in regulations and market demand). The intensity that pursues Schumpeterian entrepreneurship especially increased when students could receive help about the company establishment from corporations around them. On the other hands, the support of government organizations were turned out not to promote Schumpeterian entrepreneurship but Kirznerian entrepreneurship. Various implications were drawn from the above-mentioned findings. 중국경제의 동태적 잠재력을 파악할 수 있는 한 가지 단서가 중국의 젊은 지식계층이 이끌어 가는 ‘창업’에 있다고 보고,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해 그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이해를 추구하였다. 특히 창업을 기존 시장의 불완전성을 보완하여 균형점으로의 수렴을 촉진하는 ‘커즈너리언 창업’과, 기존의 시장 판도를 뒤바꾸어 균형점을 새로이 설정하는 ‘슘페터리언 창업’으로 구별하고, 실제 중국 대학생들이 추구하는 것이 둘 중 어느 것에 가까운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중국 대학생들의 그와 같은 창업 성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지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국 내의 창업 활동이 집중되어 있는 베이징과 상하이 소재 대학생 4백 명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본고는 다음과 같은 사실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개인적 특성 측면에서는 자기만의 사업을 영위하려는 경향이 강한 학생에서 슘페터리언 창업을 지향하는 정도가 더 강하게 나타났으며, 조직적 특성 측면에서는 ‘국가급 중점대학’에서 더 약하게 그리고 민판대학에서 더 강하게 나타났으며, 지리적 및 인지적 공간 특성 측면에서는 베이징보다 상하이에서, 혁신의 모티브를 과학기술의 변화 속에서 찾을 수 있을 때, 주변의 관련 기업에게서 창업에 관한 도움을 얻을 수 있을 때 더욱 강하게 나타났다. 반면, 정부 기관의 창업지원은 슘페터리언 창업이 아닌 커즈너리안 창업을 촉진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본고는 이와 같은 발견을 바탕으로 경제사회적, 정책적 함의를 도출한다.

      • KCI등재

        교판기업 모델의 쇠퇴: 중국 국가혁신체제의 진화

        은종학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09 중소연구 Vol.33 No.1

        교판기업은 중국 대학들이 기업 행위를 내부화함으로써 ‘지식의 창출’과 ‘창출된 지식의 산업적 활용’ 기능을 수직적으로 통합한 중국 특색의 지식산업화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교판기업은 1980년대 중반 이래 1990년대 말까지 중국 첨단산업 분야에서 주도적 역할을 수행해왔다. 즉, 교판기업은 중국 대학들이 ‘지식산업화’라는 이른바 대학의 제3기능을 수행해 온 주된 방식이었다. 본고는 이와 같은 교판기업의 특이성과 비중에 주목하며 그들을 창출해 낸 중국적 맥락을 파악하기 위해 교판기업의 역사적 근원을 검토한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최근 진행된 교판기업 개혁 과정을 국가-대학-기업 관계에 주목하여 분석한다. 이를 통해 본고는 교판기업 모델이 점진적인 쇠퇴의 길에 접어들었으며 중국은 이를 대신할 보다 개방적이고 수평적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메커니즘을 현재 모색하고 있음을 밝힌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변화는 중국 국가혁신체제의 성격이 변화하는 것임을 주장한다. 더불어 본고는 종전에 대학이라는 단위(单位)가 ‘사실상(de facto)의 단위 소유제’ 하에서 발휘했던 기업가적 행위를 향후에는 일반의 민간 기업이 대신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명목상의 개혁 프로그램 종료 후에도 풀어야 할 과제는 남아 있다고 지적한다. 그리고 이 과제가 어떻게 해결되느냐에 따라 향후 중국의 기술혁신과 경제성장 전망도 달라질 것이라고 주장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