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톱밥 培養土에 관한 硏究 : I.短期 腐熱이 花草 生育에 미치는 影響 I.Influences of rotting a Short-term On the growth of flower

        尹弘泰 서울 敎育大學校 1971 論文集 Vol.4 No.-

        1) 本硏究는 톱밥을 利用한 培養土 造製로서 益植草花 栽培者의 利用 可能性 與否調査의 一部分으로 톱밥의 利用이 가장 적은 季節인 夏季에 短期間 腐熱이 實效性이 있는가를 調査 관찰하였다. 2) 完熱한 톱밥에 比하여 생육이 떨어지리라 예측은 되지만 未熱한 톱밥 사용도 追肥의 增加로 비교적 生育이 良好한 편이었다. 3) 培養土 造製時 植物에 따라 알�S는 부숙과 첨가 흙을 효과적으로 배합하면 가일층 생육이 양호하리라 기대된다. 4) 톱밥 培養土는 大, 中都市의 腐葉土 構入이 어려운 地方에서 入手가 용이하고 그 價格이 ??∼??로서 절감시킬 수 있다. 5) 톱밥培養土는 腐葉土에 比하여 粒子가 굵기 때문에 養分의 流失이 많은 결점이 있으므로 追肥의 回數를 늘리면 생육이 양호하리라 믿어진다.

      • KCI등재

        야생콩(Glycine soja Sieb. & Zucc.)의 종실성분 함량변이

        윤홍태,서민정,김선림,안선옥,김시주,Yun Hong-Tae,Seo Min-Jung,Kim Sun-Lim,An Sun-Ok,Kim Si-Ju 한국작물학회 2005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50 No.suppl1

        Studies were conducted to develop new breeding resources using wild soybean (Glycine soja Sieb. & Zucc.) species. In 132 wild soybeans, the average crude protein content was $45.4\%$, ranged from $37.4\%\;to\;50.2\%$ and average crude oil content was $9.3\%$ showing lower than cultivated soybean. The average total amino-acids content was $19,214\;{\mu}g/g$, containing $252\;{\mu}g/g$ of methionine and $103\;{\mu}g/g$ of cysteine, a sulfur containing amino-acid. In ratio of individual amino-acids, the glutamic acid, methionine and cystein content was $16.1\%,\;1.3\%,\;and\;0.5\%$, respectively. The correlation between total amino-acid and sulfur containing amino-acid was not significant. Total isoflavone concentration was, on average, $1,105\;{\mu}g/g$ in wild soybean germplasm. As a result of comparison with total isoflavone and genestein content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total isoflavone and genistein concentration. 본 실험은 콩의 단백질함량을 높이고 단백질 특성을 개선시키며, 고 기능성 보유 콩을 육성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야생콩의 조단백, 조지방, 아미노산조성 및 isoflavone 함량을 분석 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야생콩 132점의 조단백질함량은 평균 $45.4\%$이며, 함량범위는 $37.4\~50.2\%$이었으며, 조지방함량은 평균 $9.3\%$으로 일반 재배종콩에 비하여 낮은 경향을 나타냈다. 2. 총 아미노산의 평균 함량은 $19,214{\mu}g/g$, 함량범위는 $16,098\~22,112{\mu}g/g$ 수준이었으며, 황함유 아미노산인 methionine은 평균 $252.7{\mu}g/g$, cysteine은 $102.9{\mu}g/g$의 함량을 나타냈다. 3. 전체 아미노산 함량 중 methionine과 cysteine은 각각 $1.3\%,\;0.5\%$의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glutamic acid가 $16.1\%$로 가장 높았다. 4. 전체 아미노산 함량과 황함유 아미노산과의 상호관련성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충남 부여수집종인 IT182823 과 경기 포천 수집종인 IT184213이 높은 황함유 아미노산 함량을 나타냈다. 5. 총 아이소플라본의 평균 함량은 $1,105{\mu}g/g$이었으며, aglycone 중 genistein의 평균 함량이 $695.2{\mu}g/g$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daidgein, glycitein 순이었다. 6. Isoflavone과 genistein과의 상호관련성에 있어서 시험재료는 isoflavone 함량이 높으면 genistein 함량이 높은 경향이었다.

      • 揷木發根에 對한 考察(Ⅱ) : 揷穗의 發根에 關與하는 因子에 關하여

        尹弘泰 서울 敎育大學校 1970 論文集 Vol.3 No.-

        1. 명자나무와 막나무를 材料로 揷穗의 發根生理에 關與하는 因子를 中心으로 檢討하여 보았다. 2. 第1次 試驗에서 生長素處理區中 生石灰水液 處理區가 가장 좋았든 結果 第2次 試驗을 通하여 確認하는 동시에 生石灰水液에 다른 生長素를 重複處理함이 效果的임을 알았다. 3. 黃化處理, 露天埋葬, 加傷을 한 다음의 生長素 處理로는 生石灰水液이 매우 좋은 結果를 얻었으며 他 生長素를 중복처리함은 單一處理보다 더좋은 結果를 얻을 수 있음을 알았다. 4. 現今까지 一般植物의 揷木 季節은 春季가 適合하다고 믿어서 春季揷을 主로 實施하였으나 本試驗의 結果 명자나무, 막나무等은 秋季揷木으로 가장 좋은 結果를 얻은 事實로 미루어보아서 다른 落葉 葉樹의 揷木季節로도 適合하리라고 생각된다. 5. 揷木後 揷穗의 ??調가 적고 黃化處理에 依하여 좋은 結果를 얻은 事實은 揷穗의 養料條件과 環境條件이 發根에 큰 영향을 주는 要因이라고 생각되었다.

      • KCI등재

        콩 추출물 투여가 흰쥐 혈청의 항산화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윤홍태,문중경,박금룡,김용호,신미경,김용욱,Yun Hong-Tae,Moon Jung-Kyung,Park Keum-Yong,Kim Yang-Ho,Shin Mi-Kyung,Kim Yeung-Wook 한국작물학회 2005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50 No.suppl1

        본 시험은 콩 추출물의 흰쥐 투여에 따른 항산화 효소의 활성을 분석하고, 추출물의 원료인 콩 품종간, 추출물의 투여량 및 지방식이조성에 따른 효소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콩추출물을 투여한 처리구에서 SOD와 GSHpx의 활성이 대조구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2. 지방식이 및 콜레스테롤을 흰쥐에 투여한 결과 콩추출물 섭취에 따른 항산화계 효소 SOD와 GSHpx의 활성은 검정콩 1호가 다원콩 및 황금콩에 비하여 높았다. 3. 지방식이조성 및 추출물의 투여량에 따른 항산화계 효소 활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4. 각 지방식이에 따른 콩추출물의 SOD와 GSHpx활성도에서 품종과 콩추출물 농도간에서는 상호작용효과가 인정되었다. 5. GSHpx 활성도에서 품종, 콩추출물 농도 및 지방식이간에서 상호작용효과가 인정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antioxidative enzyme activity in serum of rats as affected by soybean cultivar, extract feeding concentration and fat dietary. In all cultivars, activities of antioxidant enzymes in treatment of various fat compositions and cholesterol followed by feeding soy-extracts were higher than in nonfeeding control,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existed in statistically. The activities of SOD and GSHpx in serum of rats when fed with various fat dietary were higher in Geomjeongkong 1 than in Tawonkong and Hwangkeumkong. Enzyme activities of SOD and GSHpx with each fat compositions in treatment soy-extracts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statisticall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cultivars and concentrations of soy-extracts in interaction effect. Also, the activities of GSHpx was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cultivars and concentrations of soy-extracts and fat composition in interaction effect.

      • 京畿 ·江原 地域의 野生미나리 形態에 관한 硏究

        尹弘泰 서울 敎育大學校 1993 論文集 Vol.26 No.-

        우리 나라 경기·강원 지역의 야생 미나리의 형태적 연구를 위하여 16개 지역으로부터 수집 재배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경기 강원 지역에 自生하는 야생 미나리는 1회 우상 복엽이 많았다. 2. 외관상 줄기가 짧고, 굵은 종류일수록 직립형이 많고, 가늘고 긴 종류의 경우 포복성이 많았다. 3. 잎색은 환경 조건에 따라서 온도가 낮아지면서 적갈색 또는 갈색으로 변하였다. 4. 작은 잎의 鋸齒는 끝부분이 예리한 것, 둥근것 등 여러 형태를 관찰할 수 있었다. 5. 草長, 엽장, 엽幅 따위는 高度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 KCI등재후보
      • Zeoltie 施用이 花草의 生育에 미치는 影響 : 露地 1,2年草를 中心으로

        尹弘泰 서울敎育大學 1984 論文集 Vol.17 No.-

        Zeolite를 施用하여 花草類의 露地 栽培 미치는 影響을 알고져 살피어, 과꽃, 프렌치메리골드, 백일홍을 供試하여 生育 調査한 結果는 다음과 같다. 1. Zeolite 施用은 kg/10a 당 450~650kg에서 가장 좋은 成績을 얻은 事實 2. Zeolite 處理가 土壤의 異化學的 性質을 有利하게한 事實 3. Zeolite 施用量이 增加하면서 肥料의 施用量도 增加해야 한다는事實

      • Zeolite 施用이 花草의 生育에 미치는 影響 : 露地 木本類를 中心으로

        尹弘泰 서울敎育大學校 1983 論文集 Vol.16 No.-

        Zeolite를 施用하여 재배함으로서 花木類의 露地栽培에 미치는 影響을 알고저 라이락, 자귀나무, 박태기나무, 개나리를 供試하여 生育調査한 結果는 다음과 같다. 1) Zeolite 施用은 初期의 生育보다 後期의 生育을 促進하였다. 2) Zeolite 施用方法은 肥料의 施用量을 增加시키면서 Zeolite 施用量도 增加하였을 때 더욱 效果가 있었다.

      • Zeolite施用이 花草의 生育에 미치는 影響 : 草本類의 生育을 中心으로

        尹弘泰 서울 敎育大學校 1982 論文集 Vol.15 No.-

        Zeolite를 施用함으로서 草本類의 分植栽培에 미치는 影響을 알아보고져 제라니움, 란타나, 페페로미아를 供試하여 生育狀態를 조사한 結果는 다음과 같다. 1. Zeolite施用效果는 生育初期보다 生育後期에 좋은 結果를 얻었다. 2. Zeolite 施用量이 增加하면서 그 效果는 正比例하였으마 7~9% 施用區에서 그 效果가 현저하였다. 3. Zeolite 施用方法은 肥料를 同時에 施用하든가 肥料에 堆積하였다가 使用하면 그 效果가 더욱 높으리라 믿어진다.

      • 원추천인국 및 金盞花 生育에 미치는 Gibberellin과 N-Dimethylamino Succinamic acid의 影響과 相互作用

        尹弘泰 서울 敎育大學校 1977 論文集 Vol.10 No.-

        Effect and interaction of N-dimethylamino succinamic acid (B-9) and Gibberellin (GA) of Pincwood conflower and Pot Marrigold were testes, 1. GA Promoted the top Growth of Princwood Confloower, but didn't promote it's Root growth, B-9 retarded the Top growth, and efflorescence it bromoted the root growth Considerabey. 2. As a Effect of treatment B-9, Pot Marrigold increased the number of flowers and sprigs, but it delayed the blooming, the showing of a flowering plant in the best at intervals of treatment 7,000 ppm 3. As B-9 broke down the effect of growing promotion of GA in the growth of Pot Marrigold, it brought one the growth control action, Breaking down the growing control action of B-9, GA promoted the growth promotion. I knew the Growth Promotion of GA and the control action of B-9 have relation antagonism in the growth of Pot marrigo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