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IPA 기법을 활용한 국내 화물운송 플랫폼의 중요도-만족도 분석

        윤호연,진무위,이향숙 대한교통학회 2022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87 No.-

        가파른 스마트폰 보급률 성장을 기반으로 각종 산업에서 O2O 서비스 플랫폼이 급부상하고 있으며, 물류산업의 대표적인 O2O 서비스 ‘화물운송 플랫폼’ 시장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국내 B2B 화물 운송시장 규모가 매년 성장하고 있으며, 운송시장의 플랫폼 이용률이 빠르게 증가하므로 국내 화물운송 플랫폼 산업의 성장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 반면에, 일반화물차주, 개별화물차주, 용달화물차주의 화물운송 시장에 대한 만족도는 매년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차주들의 근로 여건을 악화하는 원인으로 화물운송 플랫폼으로 꼽는 의견도 존재한다. 화물운송 플랫폼에 대한 차주들의 니즈(Needs)를 실증 분석하여 화물운송 플랫폼과 더 나아가 화물운송 시장 전반에 대한 인식 제고를 위한 노력을 해야 할 시점이다. 이러한 배경 속에, 본 연구는 화물운송 플랫폼의 주 이용자인 차주들의 니즈(Needs)를 분석하여 화물운송 플랫폼 서비스 개선 및 활성화를 위한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표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국내 화물운송 플랫폼을 이용하는 차주들을 대상으로 한 IPA 분석을 통하여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 미국의 자치경찰제도에 관한 연구

        윤호연 한국자치경찰학회 2013 자치경찰연구 Vol.6 No.4

        1995년 지방자치가 전면적으로 실시되면서 국가경찰제도를 자치경찰로 개혁 하려는 움직임이 있다. 이는 경찰의 정치적 중립과 민주성을 확보하고 지역실정 에 맞는 경찰서비스를 구현하며 치안행정에 대한 시민참여를 확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나, 지방자치가 아직도 미성숙한 실정에서 자치경찰제가 가져올 폐해 또한 무시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미국은 구성인종의 다양성,높은 범죄수치,법의 지연 등 경찰효율을 저해하 는 여러 조건하에서도 오랫동안 자치경찰제도를 운영하여 오고 있다. 자치경찰 제도를 뒷받침하는 시민참여이론,공공서비스 이론,지역경찰이론 등 다양한 이 론이 있으나,오히려 이러한 자치경찰제도 전통은 역사적,사회적 배경에 기인한 바가 크다 할 것이다. 미국의 시민들은 대의민주주의에 입각하여 대표를 통하여 자치경찰을 통제하 면서 자치경찰이 사회악을 척결하는데 효율적이지 않으면 그 통제수단을 끊임 없이 바꾸는 작업도 쉬지 않았다. 이는 자치경찰 통제수단이 경찰의 능률적인 업무집행과도 깊은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역사적으로,야경대 시절에는 주민총회,야경대와 주간경찰이 통합된 시절에 는 시의회를 통하여 자치경찰을 통제하다가,선거를 통하여 시보안관,경찰장을 선출하여 통제하기도 하였으며, 경찰위원회(police board) 개념이 고안된 이후 에는 지역시민들이 구성원인 시장, 시판사에 대한 선거권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자치경찰을 통제하였으며, 자치경찰이 주(state) 통제아래 놓이게 되자 지역주 민들은 경찰국장(commissioner)을 임면하는 주지사, 승인권을 가지는 주 상원 의원에 대한 선거권을 통하여 지방경찰을 통제하였다. 경찰위원회 제도가 민주 성, 분권성, 지방성의 요소를 고양하여 지역시민들의 이익을 위한 제도로 기능 하기 보다는 정당적 이해관계에 따라 파당적으로 운영되는 부작용이 드러나자 단일 지도 체제(Single Headed Control System)를 고안하였다. 이 제도 하에 는 지역시민들은 선거권으로 구성한 지방정부를 통하여 경찰국장이나 경찰장을 임명하거나, 직접 선거로 그들을 선출하는 방식으로 자치경찰을 통제하고 있는 것이다. 미국 자치경찰 역사에서 지역시민들의 이익을 위하여 제대로 작동하는 적절 한 자치경찰 통제수단을 찾으려는 끊임없는 시도는 민주성․분권성․지역성의 가 치와 효율성의 가치를 동시에 추구하는 이상적인 제도를 만드는 것이 얼마나 어 려운지를 보여 준다고 하겠으며 이 점은 자치경찰 제도를 새롭게 도입하려는 우 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준다고 하겠다.

      • 경찰관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윤호연 한국경찰복지연구학회 2014 경찰복지연구 Vol.2 No.2

        직무 대한 조직구성원의 만족여부는 조직의 성장과 발전을 위해 매우 중요한 요 소이다. 이는 그동안 이루어진 많은 기존 연구들을 통해서 어렵지 않게 확인해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중요성을 인식해 경찰관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도 꾸준히 증 가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경찰관의 근무여건에 대한 개선과 후생복지시설 확충, 희생적인 업무에 상응한 보상, 경찰관의 증원, 각종 수당의 인상, 경찰차량 증가배 치, 합리적인 인사관리, 부서확충에 따른 승진기회의 확대 등 근무여건의 개선이 이어 지고 있다. 이에 따라 직무만족에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 고, 개선함으로서 조직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유도해야 할 필요가 있다. 위와 같은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목적은 첫째, 경찰관의 직무만족 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을 통해 경찰관들의 직무만족을 높임으로서 궁극적으 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범죄통제와 범죄예방을 이끌어내는 것이다. 둘째, 본 연 구에서 도출된 경찰관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향후 경찰조직의 업 무 효율성 개선을 위한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제시하고자 하였다. 무엇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직무만족의 영향요인을 인구사회학 적 요인(성별, 나이, 결혼, 근무기간, 근무부서, 계급, 보수, 경과, 입직경로, 학력, 근무지역), 직무요인(직무스트레스, 근무부담), 인간관계 요인(상사 및 동료관계, 리더십), 근무환경 요인(승진, 징계, 복지, 보수), 조직문화 요인(합리문화, 위계문 화, 발전문화, 집단문화), 외부환경요인(시민의 경찰 신뢰 및 존경) 등 6가지로 구 성하였으며, 이러한 영향요인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지의 여부를 파악하고 자 노력하였다. 특히 분석을 위하여 아산 경찰교육원에서 16개 지방청별 일선 경 찰서의 각 부서별 재교육중인 경찰관(지방청, 경찰서, 지구대, 파출소)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전체 6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520부(87%)를 회수하 였는데, 그중에서 불성실한 설문지 12부를 제외한 나머지 총508부를 분석에 사용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라 경찰관 직 무만족의 차이는 연령, 결혼, 근속연수, 근무부서, 계급, 소득, 경과, 입직경로, 학 력, 근무지역 순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성별영역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관련 요인(직무스트레스, 근무부담)이 경찰관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에 대해 살펴보면 직무스트레스와 근무부담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는 낮아짐을 알 수 있다. 셋째, 인간관계 요인(상사 및 동료관계, 리더십)이 경찰관의 직무만족 에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본 결과, 상사 및 동료관계는 직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상사 및 동료관계가 좋을수록 직무 만족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또한 리더십의 경우는 직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내 직속상사의 리더십을 신뢰하고 높이 평가 할수록 직무만족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넷째, 근무환경 요인(승진, 징계, 복지, 보수)이 경찰관의 직무만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 본 결과 승진, 징계, 복지시설 그리고 보수가 높을수록 직 무만족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조직문화 요인(합리, 위계, 발전, 집단) 부분에서 경찰관의 직무만족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보았는데, 즉 합리문화 가 높을수록 직무 만족도가 높아짐을, 그리고 위계문화가 높을수록 직무 만족도가 높아지고, 역시 집단문화가 높을수록 직무만족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여섯째, 외 부환경 요인(시민의 경찰 신뢰 및 존경)은 경찰관의 대한 시민의 경찰에 대한 신뢰 와 존경이 높을수록 직무 만족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에 따라 경찰관의 직무만족을 위하여 외근직의 수당을 개선 할 필요성이 있다. 그리고 외근직 직무공간의 확보도 필요함은 물론, 외근직의 승 진비율을 정하는 것도 필요한 실정이다. 나아가 경찰관들의 직무스트레스가 적정 수준을 넘지 않게 하며 이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요인들을 강구할 필 요가 있다. 특히 건강검진시에 일반검사와 더불어 스트레스검진을 받을 수 있도록 해줄 필요가 있다. 이 밖에도 언제든지 심리상담과 개인적 성격의 변화를 유도하 는 인성교육에 대한 치료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서 성실하게 근무한 경찰 관들의 사기를 고려한 포상제도의 확대, 상사 및 동료와의 관계가 우호적으로 이 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분위기를 적극적으로 조성해주어야 할 것이다. 이 뿐만 아 니라 민간부문과의 연계·협력을 더욱 확대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적 극적으로 모색해 나가야 할 것으로 본다.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s which factors affect police officer's job satisfaction. Based on previous research, 24 independent variables are constructed and categorized into 6 elements. Frist,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 element consists of 11 factors: gender, age, marital status, employment period, department, position, entering channel, education level, working unit, wage, and working location. Second, for the job related element, two factors, stress and burden of duty are examined. Third, the human relationship element includes two factors, relations with boss and colleague and perception of leadership. Fourth, the working environment element consists of 4 factors, promotion, punishment, welfare service, and wage. Fifth, regarding the organizational culture element, 4 factors , rationality culture, hierarchy culture, development culture and group culture are examined. Sixth, the external environment element includes the public's trust and respect toward police. A self-administered survey was conducted in the Police Training Institute where police officers from 16 local police agencies receive regular training. Six hundred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and with overall 84.7% respondent rate, a total 508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rough the SPSS(Statis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20.0. Research findings are followings: First, in regards to the sociodemographic factors, age, marital status, employment period, department, position, entering channel, education level, working unit, and working location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Second, for the job related factors, police officers with more job related stress and burden of job duty are more likely to demonstrate low levels of job satisfaction. Third, regarding the human relationship element, relations with boss and colleague and perception of leadership ar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That is, a police officer with a good relationship with boss and colleague and who demonstrate a higher respect toward the boss's leadership is more likely to be satisfied with his/her job. Forth, among the working environment elements, promotion, punishment, welfare service, and wage are significant factors. Fifth, regarding the organizational culture element, rationality culture, hierarchy culture, and group culture significantly affect the police's job satisfaction. Sixth, among the external environment element, a police officer who has a strong belief that the public trusts and respects the police officers is more likely to be satisfied with his/her job. Based on research findings, three policy implications are presented. First, working environment for street police officers needs to be improved. Extra pay, expanded working space and benefits of promotion should be considered. Second, appropriate measures should be taken to address police officers' job related stress. While taking health medical examination, a police officer needs to receive mental health checkup in addition to physical health checkup. Furthermore, counseling program for police officers should be implemented in all the police stations. Third, to improve the morale of police officers, expanding reward for hardworking and enhancing welfare service are needed. Forth, to improve relationships among police officers, specific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 friendly atmosphere is expected to relieve police officers' stress level as well as to improve the hierarchial subculture of police organization. Fifth, more factors affecting police officer's job satisfaction need to be investigated along with the cooperation of private sectors.

      • KCI등재

        학교폭력예방 및 선도정책 효과증진을 위한 현상학적 연구 : 개정된 학교폭력 심의위원회를 중심으로

        윤호연 한국치안행정학회 2020 한국치안행정논집 Vol.17 No.3

        이 연구는 개정된 학교폭력 심의위원회와 이전의 학교폭력 자치위원회의 운영과 비교하여 개선된 점과 심의위원회의 의견을 통하여 학교폭력 예방 및 선도를 위한 개선방안을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 다. 연구방법은 인천시의 학교폭력 심의위원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의 방법 중 현상학적 연구를 통하 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위원회 활동의 객관성과 공정성에 대한 신뢰가 높아졌다. 이전의 자치위원회의 활동에 대한 객관성과 공정성에 대한 문제를 일부 해결하였다는 의미로 나타났다. 둘째, 법 개정 이후 당사자 간 의 합의한 경우 학교장에게 종결 권한을 주었고, 학교장의 합의 종용 남용에 대한 대책이 미비한 것 으로 나타났다. 셋째, 위원회에 출석한 학생은 심리 후 참고인만 별도로 지원이 가능하여 심리중 변호인의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위원회는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처분보다는 가해자 에 대한 반성을 요구하는 처분이 대부분으로 예방을 위한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 한 대책으로 학교장의 종결권에 대한 통제, 학생 심리 진행시 국선변호인 지원, 피해학생에게 의무 적 심리치료지원, 학교폭력 전문교육기관 설립과 전문가 선발·투입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prevention and guidance of school violence through the opinions of the review committee and the improvement of the operation of the revised school violence review committee and the previous school violence self-governing committee. The research method was analyzed through a phenomenological study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mong school violence review committee members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nfidence in the objectivity and fairness of the committee's activities has been increased. It was shown that some of the problems regarding objectivity and fairness of previous autonomous committees were solved. Second, after the revision of the law, the principal was given the authority to terminate the agreement between the parties, and the measures for the principal's abuse of the agreement were insufficient. Third, students who attended the committee were found to need support from an attorney during the hearing because only the reference person can support the students after the hearing. Fourth, most of the cases in which the Commission demands remorse for the perpetrators rather than for the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therefore It has been shown that measures for prevention are needed. As a countermeasure, it proposed controlling the principal's right to close the school, supporting public defenders when conducting student psychology, providing compulsory psychological treatment to victims, establishing a specialized school violence education institution, and selecting and injecting experts.

      • KCI우수등재

        ʻ애플케어플러스ʼ의 보험업법상 보험상품 및 부가가치세법상 면세 여부에 관한 소고

        윤호연,권형기 법조협회 2023 法曹 Vol.72 No.6

        애플사는 AppleCare+(이하 ‘애플케어’)를 부가가치세가 포함된 가격으로 판매해왔다. 이를 두고 국세청은 부가서비스라고 보았고, 금융위는 보험상품이라고 보았다. 애플케어는 부가가치세법 제26조 제1항 제11호에 따라 면세되는 금융·보험 용역에 해당하는가? 본 고는 이에 답하고자 애플케어가 보험업법상 보험상품인지와 부가가치세법상 면세인 보험용역에 해당하는지, 그리고 둘의 관계를 탐구했고 다음의 결론에 도달하였다. 애플케어의 세 가지 서비스 중 우발성손상보증(ADH)은 애플이 단체보험의 계약자로서 AIG 보험사가 제공하는 보험을 피보험자인 고객에게 제공하는 것으로, 보험업법상 보험상품에 해당한다. 보험상품 개념요소인 1) 우연한 사고, 2) 보험단체, 3) 보험의 기술성, 4) 위험의 이전과 분산 5) 위험보장의 주된 목적을 모두 갖추었으며, 6) 규제의 정책적 필요성도 인정된다. 포괄주의 금융규제 취지에서도 그렇다. 부가가치세법 제26조 제11호는 금융·보험 용역을 면제로 정한다. 동 법 시행령 제40조 제2항은 1) 보험업 외의 사업자가(주체), 2) 주된 사업에 부수하여(대상), 3) 보험과 같거나 유사한 용역을(범위) 공급하는 경우에 적용된다. 제1항과 달리, 제2항은 보험 ‘유사’ 용역까지 포괄하므로 경제적·실질적인 면에서 평가해야 한다. 이에 따라 보면 ADH는 법적·형식적으로 접근할 때 위 제1항이 적용되기는 어려우나, 경제적·실질적인 측면에서 보면 제2항이 적용되어 부가가치세가 면제되어야 한다. 조세중립성 내지 경쟁중립성의 면에서 면제할 정책적 필요성도 있다. 단체보험의 특수성 및 보험업법 개정 방향을 고려하면, ‘유사한’이란 포괄적 규정을 둔 취지를 살려 중개와 유사한 용역을 제공했다고 해석할 여지도 있다. 이때 보험사와 애플이 ‘공급’하는 두 용역의 관계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이로써 보험업법상 보험상품과 부가가치세법상 보험용역은 서로 정합적으로 연결된다. 본 고는 금융시장을 규제하는 금융법과 실질에 맞게 과세하는 조세법을 조화롭게 연결하는 체계적인 해석론을 시도하였다. 애플케어를 예로 삼아, 새로운 형태의 금융상품을 대상으로 하는 여러 법률을 균형 있게 해석·적용하는 문제에 답하려 했다. Apple Inc has been selling AppleCare+ at prices inclusive of value-added tax. The National Tax Service considered this as an additional service, while the Financial Services Commission regarded it as an insurance product. Does AppleCare+ fall under the category of VAT-exempt financial or insurance services as defined in Article 26, Paragraph 1, Subparagraph 11 of the Value Added Tax Act? To answer this question,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AppleCare+ is an insurance product under insurance law and whether it qualifies as a tax-exempt insurance service under the Value Added Tax Act,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Among the three services of AppleCare+, Accidental Damage and Handling (ADH) is considered an insurance product under insurance law, as it is offered by Apple to its customers as insured parties, with AIG insurance company providing the insurance as the insurer under a group insurance contract. It fulfills all the essential elements of an insurance product concept, including (1) accidental events, (2) an insurance group, (3) technicality of insurance, (4) risk transfer and dispersion, (5) the primary purpose of risk coverage, and (6) recognition of the "policy necessity of regulation." This also holds true within the context of comprehensive financial regulation principles. The Value Added Tax Act, Article 26, Paragraph 11, and Article 40, Paragraph 2, which exempt financial and insurance services, apply when (1) non-insurance businesses (entities) (2) provide services ancillary to their primary business (scope), and (3) when these services are similar to or equivalent to insurance services. Unlike Paragraph 1, Paragraph 2 encompasses "insurance-like services," requiring an evaluation from economic and substantive perspectives. Therefore, while a legal and formal approach may make it difficult to apply Paragraph 1 to ADH, from a practical, substantive, and economic standpoint, Paragraph 2 should apply, leading to an exemption from value-added tax. There is also a policy necessity to exempt ADH for tax neutrality and competitive reasons. Considering the specificity of group insurance and the direction of insurance law reforms, it is also possible to interpret the intention behind the inclusive provision of "similar" services as including services that are similar to intermediation. Thus, insurance products under insurance law and insurance services under the Value Added Tax Act are harmoniously interconnected. This represents an attempt at a systematic interpretation of financial and tax laws, specifically addressing the issue of regulating new forms of financial products such as AppleCare+ in a balanced manner.

      • KCI우수등재
      • KCI등재

        학교폭력예방 및 감소를 위한 합의적 질적 연구 : 학교폭력 담당 경찰을 대상으로

        윤호연(Youn Ho-Yeon) 한국경호경비학회 2020 시큐리티연구 Vol.- No.65

        2011년 학교폭력에 의한 대구 학생자살 사건을 계기로 2012년 학교전담경찰관(이하 학교경찰)이 각 경찰서에 배치되었다. 학교경찰의 배치된 2012년도 이후 시작된 학교폭력 피해 응답률(이하 피해 응답률)은 조사방법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어 조사방법이 변경된2018년 후부터 응답률이 상승하여 지난 2019년도에는 1.2%로 발표되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교육부에서는 학교경찰의 임무 확대와 학교 전문수사관제도 신설을 발표하였다. 학교폭력 감소를 위하여 학교폭력 가해 학생에 대한 다이버전프로그램 강화가 제시되었지만 다이버전프로그램을 이수하고 학교폭력 가해 학생이 다시 재범을 저지르는 경우가 많아져 학교폭력 감소를 위한 다른 대안 제시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개정된 법률에 의하여 학교폭력심의 위원인 학교경찰 중에서 학교폭력범죄 예방 및 감소를 위하여 충북지역의 학교경찰을 대상으로 걸쳐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연구에서 학교폭력 예방 및 감소를 위하여 교육의 강화와 학교담당 경찰의 전문화 및 전담기구를 통한 선도강화 등을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In the wake of the Daegu student suicide incident in 2011 due to school violence, a school police officer(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chool police) was assigned to each police station in 2012. The response rate for victims of school violence(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victim response rate), which began in 2012 after the school police were assigned, increased from 2018 when the investigation method was changed due to a question about the method of investigation, and was released at 1.2% in 2019. As a countermeasure, the Ministry of Education announced the expansion of the duties of the school police and the establishment of a school professional investigator system. In order to reduce school violence, a diversification program was conducted for students who committed school violence, but other proposals were needed as there were cases in which students who completed the diversification program again committed school violence. In this situation, in order to prevent and reduce school violence crimes in accordance with the revised law, a study was conducted on school police, who are judges of school violence in Chungbuk. In this study, for the prevention and reduction of school violence, the reinforcement of education, the specialization of the police in charge of the school, and the reinforcement of leadership through a dedicated organization were suggested as alternatives.

      • 온실의 구조적 장애물이 무선통신 성능에 끼치는 특성 규명

        권구범, 이재현, 윤호 忠北大學校 農業科學硏究所 2017 農業科學硏究 Vol.33 No.1

        The use of environmental measurement sensors and wireless communication for automatic control in agriculture was increased. The poor reliabi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were a disadvantage when the system controled in a couple of greenhouses or installed complex structures in a greenhouse. In this study, the effect of structural obstacle in the greenhouse was analyzed on wireless communication. The measure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was calculated by the types of material on obstacle. Because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crops and soil may affect wireless communication in the greenhouse, measurements were conducted in a thermo- hygrostat with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The materials of the obstacle such as vinyl, plywood, acrylic plate, paper box, and heat insulation were performed with different layers (from 1 to 7 layers). The data communication rates between transmission and receiver unit were 100% for ZigBee system in case of 3 vinyls, 2 acrylics and 2 paper boxes. When the number of materials (i.e. vinyl, arcylic, and paper box) was increased, the data communication rates were reduced. However, the data communication rates were partly reduced at more than one of materials in case of plywood and insulation. As the number of layers were increased, the number of loss data were increased and the transmission rate were decrea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