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사지 구제술 합병증 치료에서 연부조직 연장을 위한 한시적 외고정 기기의 유용성

        윤필환,강현귀,김갑중,오주한,이상훈,이상기,김한수,Yoon, Pil-Whan,Kang, Hyun-Guy,Kim, Kap-Jung,Oh, Joo-Han,Lee, Sang-Hoon,Lee, Sang-Ki,Kim, Han-Soo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5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1 No.2

        목적: 종양 대치물을 이용한 사지 구제 술 후 발생한 심부감염, 해리, 또는 하지 단축 등의 합병증으로 종양 대치물을 제거한 후 단계별 치료를 하는 과정에서 연부 조직 구축으로 인해 초래되었거나 또는 합병증 치료 시작 당시부터 있었던 하지 단축에 대하여 연부조직 연장 만을 위하여 외고정 기기를 한시적으로 사용한 결과를 평가하고 그 유용성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악성 골 종양으로 종양대치물을 이용하여 사지구제술을 받은 후 발생한 합병증으로 연부 조직 구축 및 하지 단축이 발생되어, 연부 조직 연장을 위해 외고정 기기(Dyna-extor$^{(R)}$)를 사용하였던 5명의 환자 6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외고정 기기는 골격 결손부위의 근위와 원위 정상 뼈 부분에 금속핀을 삽입 후 설치 하였다. 외부 고정기 연장은 술 후 약 3일부터 하였으며,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범위에서 하루에 2~3 mm 이상씩 시행하였다. 결과: 치료 부위는 원위 대퇴골이 3예, 근위 경골이 2예였다. 최초 사지 구제술시의 평균연령은 13.4세(9~19세)였으며, 외부 고정기를 설치할 때의 평균연령은 22.2세(15~29세)로 최초 사지구제술 후 합병증으로 하지 단축이 발생되어 외부 고정기를 설치할 때까지의 기간은 평균 8.8년(3~14년)이었다. 4명의 환자 5예에서 평균 착용 기간은 37일(25~50일)에 평균 5.8 cm을 연장 하였으며, 1명의 환자는 150일 동안 착용하여 7.2 cm을 연장하였다. 외부 고정기 제거 3명의 환자에서 종양 대치물을 재삽입 하였고, 2예의 환자는 슬관절 유합술을 시행하였다. 이후 평균 추시 기간은 22개월이었으며 감염은 재발하지 않았다. 결론: 종양 대치물을 이용한 사지 구제술 후의 합병증으로 또는 합병증의 치료 과정에서 초래되는 연부 조직 구축과 하지 단축에 대하여 외고정 기기를 한시적으로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하지 길이를 연장할 수 있었으며, 추후 종양 대치물 재 삽입이나 관절 고정술의 수술을 용이하게 해줄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이라고 사료된다. Purpose: We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temporary using the extendible external fixator (EF) for lengthening of soft tissue that contracture caused by tumor prosthesis removal in the treatment of complications after limb salvage surgery like deep infection and loosening. Materials and Methods: Five patients six cases were included who underwent extendible EF (Dyna-extor(r)). EF was applied after insertion of half pin to the proximal and distal bone of defect area. EF lengthening started at third day of post-operation, above 2-3 mm per day in the range of no neurological sign. Results: The treatment area was three in femur and two in tibia. Mean age when the time of EF apply was 22.2 years old (range 15-29), but its primary limb salvage operation had done in 13.4 years old (range 9-19), therefore mean times of interval between initial tumor prosthesis reconstruction and temporary EF apply was 8.8 years (range 3-14). One patient had EF for 150 days with 7.2 cm lengthening. Others 5 cases of 4 patients had EF for mean 37 days (range 25-50) and mean soft tissue lengthening was 5.8 cm. Three patients underwent re-insertion of tumor prosthesis and two patients underwent knee fusion as final operation and showed no evidence of infection through mean 22 months follow up period. Conclusion: Temporary using of extendible EF is an effective method for correction of leg shortening which occurred by soft tissue contracture in the complications of limb salvage operation or their treatment process, and it could be provide easily application of tumor prosthesis and knee fusion as final operation.

      • KCI등재

        변형된 측방 접근법으로 시행한 무시멘트형 인공고관절 전치환술에서 알루미나 관절면을 사용한 티타늄 테이퍼형 스템의 최소 5년 추시 결과

        윤필환(Pil Whan Yoon),정현장(Hyeon Jang Jeong),이지호(Ji-Ho Lee),강승백(Seung-Baik Kang),이재협(Jae Hyup Lee),조현철(Chris H. Jo),한혁수(Hyuk Soo Han),이승환(Seung Hwan Rhee),김지형(Jihyeung Kim),윤강섭(Kang Sup Yoon) 대한정형외과학회 2012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7 No.4

        목적: 변형된 측방 접근법으로 시행한 무시멘트형 인공고관절 전치환술에서 알루미나 관절면을 사용한 티타늄 테이퍼형 스템의 최소 5년추시 결과를 평가해 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단일 병원, 단일 집도의에 의해 인공고관절 전치환술을 시행 받은 102명, 120예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남자가 53명, 여자가 49명이었고, 평균 연령은 54세였으며, 추시 기간은 평균 5.9년이었다. Harris 고관절 점수와 대퇴부 동통 및 파행 유무를 조사하여 임상 결과를 평가하고, 수술 후 시행한 방사선 사진으로 인공관절 삽입물의 고정 상태를 평가하였다. 결과: 평균 Harris 고관절 점수는 수술 전 46점에서 최종 추시 때 94점으로 호전되었다. 2예에서 활동 시 대퇴부 동통을 호소하였고, 4예에서 경도의 파행이 관찰되었다. 최종 추시 방사선 사진상 대퇴 스템은 모든 예에서 안정된 골성 고정이 확인되었다. 합병증으로 수술 후 3예에서 고관절 탈구가 발생하였고, 2예에서 squeaking이 발생하였다. 결론: 저자들의 방법으로 시행한 무시멘트형 인공고관절 전치환술의 최소 5년 이상 추시 결과, 환자의 연령과 근위 대퇴골의 형태와 상관없이 만족스러운 임상 및 방사선학적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evaluate the clinical and radiographic outcomes of primary total hip arthroplasty (THA) using a single titanium tapered stem with alumina bearing, which was performed through a modified direct lateral approach. Materials and Methods: One hundred twenty consecutive primary THAs were performed in 102 patients, and retrospectively reviewed. There were 53 men and 49 women of mean age 54 years, and all patients were followed for a minimum follow-up period of 5 years (range, 5-8.1 years). Clinical outcomes assessment consisted of calculation of the Harris hip score (HHS), and evaluation of the presence of thigh pain or limp. Sequential radiographs were evaluated for implant migration, osteolysis, reactive line, cortical hypertrophy, or evidence of component loosening. Results: At the final follow-up, the mean preoperative HHS of 46 points improved to 94 points; and activity-related thigh pain occurred in two hips, and mild limps in four hips. There was no evidence of implant migration, osteolysis, or component loosening. Audible squeaking was present in two hips, without pain and radiographic abnormality. Dislocation occurred in three hips. Conclusion: The minimum 5-year results of titanium tapered stem with alumina bearing in cementless primary THA, using a modified direct lateral approach, were encouraging.

      • KCI등재

        이환된 열 수에 따른 선천성 중족골 단축증의 수술적 치료

        정문상,백구현,공현식,오주한,이영호,윤필환,김지형,Chung, Moon-Sang,Baek, Goo-Hyun,Gong, Hyun-Sik,Oh, Joo-Han,Lee, Young-Ho,Yoon, Pil-Whan,Kim, Ji-Hyeung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06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10 No.1

        Purpose: To present our treatment protocol and surgical outcome for patients with congenital brachymetatarsia in which treatment was decid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affected rays. Materials and Methods: Sixty-nine metatarsals in 44 patients with single or multiple congenital brachymetatarsia were included in the study. When a single ray was affected in a foot, we performed a one-stage lengthening using an intercalary autogenous iliac bone graft. We overcame excessively short rays by the double level lengthening at the metatarsal and proximal phalanx as one stage. When multiple rays were affected in one foot, we performed a one-stage combined shortening and lengthening procedure without an iliac bone graft. Results: All patients were satisfied with the cosmetic and functional results. The average length gain by one-stage lengthening in 56 metatarsals of 38 patients was 14 (6-21) mm. Six patients with a combined shortening and lengthening procedure regained a nearly normal parabola of the involved foot. Neurovascular complication was not identified. Conclusion: Satisfactory results were achieved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congenital brachymetatarsia, by individualizing the surgical options according to the number of affected rays and general foot appearance.

      • KCI등재

        대퇴비구 충돌증후군

        김철호(Chul-Ho Kim),박재인(Jae-In Park),최영현(Young Hyun Choi),윤필환(Pil Whan Yoon) 대한정형외과학회 201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2 No.6

        대퇴비구 충돌증후군은 대퇴골의 골두-경부 접경부와 비구 사이의 해부학적인 형태 이상에 의하여 주위 연부조직인 비구순 및 연골에 이차적인 손상을 일으키는 현상을 말한다. 대퇴비구 충돌증후군은 정상에 가까운 고관절 구조를 지닌 젊은 성인에서 고관절 통증의 흔한 원인으로 여겨지고 있다. 통증은 일반적으로 고관절 굴곡 및 내회전 시에 발생한다. 대퇴비구 충돌증후군이 이차성 골관절염의 원인인지 혹은 반대로 골관절염에 의한 이차적인 결과인지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으나 그 치료법은 계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대퇴비구 충돌증후군을 처음 진단했을 경우 우선적으로 보존적 치료가 추천된다. 그러나 보존적 치료에 실패했을 경우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여러 수술적 치료법 중 관절경술은 그 효과가 입증된 치료 중 하나로서 최근 대퇴비구 충돌증후군의 수술적 치료 영역에 있어서 가장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분야이다. Femoroacetabular impingement (FAI) results from abnormal anatomic relationship between acetabulum and femoral head-neck junction, which causes secondary chondrolabral injury. FAI is the common cause of hip joint pain in young adults who have nearly normal hip joint structure. The pain usually progresses on hip flexion and internal rotation. Although it is still controversial whether FAI is one of the reason of secondary hip osteoarthritis or the contrary, instruments and surgical technique for treating FAI is continuing to improve. When we initially diagnosed with FAI, conservative treatment is recommended. But if the conservative treatment has no response, we can consider surgical intervention. The arthroscopic technique is one of the promising options, and it is the fastest growing fields for the treatment FAI.

      • KCI등재

        무수 알코올을 새로운 보조 치료제로 이용한 거대세포종의 치료

        오주한(Joo Han Oh),이상훈(Sang Hoon Lee),김한수(Han-Soo Kim),서성욱(Seong Wook Suh),조환성(Whan Seong Cho),윤필환(Pil Whan Yoon) 대한정형외과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0 No.3

        목적: 장관골에서 발생한 거대세포종의 치료 방법으로 철저한 소파술 후 페놀, 냉동 요법 등 여러 가지 보조적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소개되어 왔지만, 각각의 경우 여러 합병증들이 발생할 수 있다고 보고되는 바, 저자들은 새로운 보조적 치료제로서 무수 알코올을 사용한 결과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장관골에 발생한 거대세포종 환자 10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6년(1-29.3년)이었고, 평균 연령은 33세(16-67세)였다. 69명은 소파술 후 고속 burr를 이용하여 공동 내부를 갈아낸 후 골 이식이나 시멘트 충진을 시행하였고, 이 중 38명에서는 소파술 후 무수 알코올을 보조적 치료제로 사용하였다. 결과: 보조적 치료를 사용하지 않은 31명의 환자들 중에서는 15명(48.4%)에서 재발한 반면, 무수 알코올을 사용한 환자 중에서는 4명(10.5%)에서 재발하였다(p=0.001). 거대 세포종의 누적 재발률 감소는 무수 알코올의 사용과 유의하였다 (p=0.014). 무수 알코올과 관련된 수술 후 합병증은 없었다. 결론: 무수 알코올은 장관골에서 발생한 거대세포종의 수술적 치료에서 효과적인 보조적 치료제로 사용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Purpose: As a treatment of giant cell tumors (GCT) of the long bone, anhydrous alcohol was used in our institution due to the potential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other previous adjuvants. Therefore, this study evaluated the feasibility and effectiveness of anhydrous alcohol as a new adjuvant in the treatment of a GCT. Materials and Methods: One hundred and three GCT patients were treated and followed up for an average of 6 years (range, 1-29.3 years) with a mean age of 33 years (range, 16-67 years). Curettage, additional burring, and reconstruction with a bone graft or cementing were performed in 69 patients. Among them, anhydrous alcohol was used as an adjuvant in 38 patients. Results: Four (10.5%) patients given the anhydrous alcohol treatment had a local recurrence, whereas 15 recurrences (48.4%) developed in 31 patients treated without the anhydrous alcohol (p=0.001). There were no anhydrous alcohol-related complications. According to Kaplan-Meier's analysis and the log rank test, the anhydrous alcohol adjuvant showed a significant effect (p=0.014) in preventing the recurrence of GCT. Conclusion: The data suggests that anhydrous alcohol can be used as an effective adjuvant without potential risks for the treatment of a GCT of the long b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