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모-자녀 애착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과 우울의 종단적 매개효과 연구

        윤태희,조영일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7 No.3

        The current study examined whether the longitudinal relation between parent-child and suicidal ideation was mediated through self-esteem and depression during childhood. To test the hypothesis, cross-lagged auto-regressive models were applied to the data which were the part of the national representative survey (i.e., Korean Child-Youth Panel Survey(KCYPS)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Specifically, the data in use were consisted of 2,844 early adolescents' responses to the scales measuring four variables of interest for three times at every year. The result showed that the levels of parent-child attachment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levels of suicidal ideation. Moreover, self-esteem and depression showe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 between parent-child attachment and suicidal ideation. Implications for counseling practice (e.g., consideration in designing the preventive program regarding suicidal ideation)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아동의 자살생각에 대한 효과적인 예방과 개입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와의 애착이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우울을 통해 아동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아동․청소년패널자료 중 초등학교 4학년부터 6학년까지 실시한 종단자료(초4 패널)를 사용하여 자아존중감과 우울이 애착과 자살생각 간의 관련성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교차지연 자기회귀 모형(Cross-Lagged Autoregressive Model)을 활용한 구조 방정식 모형의 2단계적 접근 방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와의 애착은 아동의 자살생각에 종단적으로 유의한 부적인 직접 효과를 주었고,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우울감 모두 애착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효과를 종단적으로 매개하였다. 부모와의 애착 수준이 높은 아동 일수록 높은 자아존중감 수준을 보였고, 동시에 자아존중감 수준이 높은 아동 일수록 자살생각을 덜 하였다. 또한 부모와의 애착 수준이 낮은 아동 일수록 더 많은 우울감을 경험하였고, 이렇게 높은 수준의 우울을 나타내는 아동 일수록 더 높은 자살생각 수준을 예측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하여 아동을 포함한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대한 개입전략에 대한 함의와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안 등을 논의하였다.

      •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 아동의 집행기능, 학교생활 적응 간의 관계 :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따른 다집단 분석

        윤태희 한국아동학회 2021 한국아동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1 No.1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교 입학 전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따라,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행동이 아동의 집행기능을 통해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에까지 이르는 매개모형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한국아동패널연구(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5차 년도와 8차 년도 자료를 사용하여,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행동, 아동의 집행기능,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 간의 관계가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간에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아버지의 양육참여,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행동, 아동의 집행기능은 어머니가 응답하였고,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은 아동의 담임교사가 응답하였다. 주요변인에 대한 설문에 모두 응답한 1,533명의 자료를 사용하였고, 자료분석을 위해 SPSS 26과 Amos 22를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 행동, 아동의 집행 기능,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의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위해 bootsrapping 방법을 사용하였고, 아버지의 양육참여 고집단과 저집단에서의 모형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다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아버지의 양육참여 고집단과 저집단 모두에서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행동이 높아질수록 아동의 집행기능 곤란이 낮아졌고, 아동의 집행기능 곤란이 낮아질수록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이 높아졌다. 즉, 두 집단 모두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행동, 아동의 집행기능 곤란,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 간에 유의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다집단분석 결과, 두 집단 간 아동의 집행기능 곤란이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경로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보다 구체적으로, 아버지의 양육참여 저집단이 고집단에 비해 집행기능 곤란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부적 회귀계수의 크기가 더 컸다. 결론: 본 연구는 초등입학 전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행동이 아동의 집행기능을 통해 학교생활 적응에까지 이르는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특히 초등입학 전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간에 아동의 집행기능 곤란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경로계수의 차이를 보여, 아동이 발달하고 사회에 적응하는데에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중요할 뿐만 아니라 아버지의 양육참여 역시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하였다.

      • KCI등재

        시진핑 시기 부동산 영역의 정책에 대한 연구 - 사영분야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

        윤태희 영남대학교 중국연구센터 2023 중국과 중국학 Vol.- No.48

        China’s real estate sector has been a crucial factor for national development. Since the late 1990s, China’s real estate sector has achieved rapid development, and it has contributed to China’s rapid economic growth, overcoming the financial crisis and satisfying residential demand. On the other hand, some pointed out the potential risks of the real estate sector, such as skyrocketing housing prices and property market bubbles. These issues led the authorities to emphasize policies such as non-speculation of housing, strengthening debt control over the property sector, and Common Prosperity. These policies intensified the financial pressure on private firms, and large private companies in real estate claimed default. Also, the policies brought about the advance of state-owned enterprises into the real estate sector and the home buyers’ refusal of the mortgage payment on unfinished construction. Accordingly, the authorities proposed a series of policies to deal with these problems. However, there remained issues such as the authorities’ continuing repressive policies on the property sector, urban residents’ low expectations and outlook of real estate, and distrust of foreign observers. 중국의 부동산 영역은 국가 발전에 중요한 동력으로 평가된다. 1990년대 후반 이래 중국의 부동산 영역은 빠르게 성장하였고, 중국의 경제성장, 금융위기의 극복과 주민 주택 수요 충족 등에 중요한 공헌을 하였던 것으로 이해되었다. 그러나 한편으로 가파른 주택 가격 상승이 초래할 수 있는 잠재적 위험성과 부동산 시장의 거품이 초래할 수 있는 잠재적 위험성에 따라 최근 당국은 주택의 투기 불가 방침을 지속적으로 강조하고 있으며, 부동산 영역에 대한 부채의 통제를 강화하게 되었고, 공동부유의 방침을 강조하는 정책적 기조를 보이게 되었다. 일련의 정책들은 부동산 사영기업들의 융자 압박을 심화시켰으며, 부채감소와 실적 개선을 실행하지 못한 기업들의 파산, 대형 사영기업들의 채무불이행을 초래하였다. 한편으로, 국유기 업의 채무불이행으로 어려워진 사영기업 프로젝트 인수, 토지매입 시장에서 국유기업 진출 등의 부동산 영역의 국진민퇴 현상이 나타 나게 되었으며, 어려움에 처한 부동산 기업들의 주택 건설 중단과 이에 반발한 수분양자들의 대대적인 주택 담보대출 상환의 거부 현상 등이 야기되었다. 그에 따라 당국은 문제의 해결을 위한 일련의 정책을 제시하여 이에 대응하고자 하였다. 다만, 최근 부동산 영역에 영향을 주었던 주요 정책적 기조의 지속, 도시 주민의 부동산에 대한 심리적 위축 현상, 부동산 영역에 대한 대외적인 불신 등의 문제는 향후 고민이 필요한 과제들로 볼 수 있다.

      • KCI등재

        시진핑 시기 공동부유 담론이 사영분야에 미친 영향에 대한 연구: 인터넷 플랫폼 영역의 사영기업 사례를 중심으로

        윤태희 중국학연구회 2022 중국학연구 Vol.- No.100

        This article analyzes the impact of the recent common prosperity discourse on the private sector during the Xi Jinping era. The Communist Party began reemphasizing common prosperity while claiming China’s escape from absolute poverty and achievement in building a moderately prosperous society. The authorities expected private firms to participate in the third distribution to promote common prosperity, and they regarded the monopoly and disorderly expansion of capital as the factors that might hinder common prosperity. Due to the Communist Party’s antitrust efforts and attempts to prevent disorderly expansion of capital, private firms in the internet platforms area faced intensive scrutiny, and they were required to participate in social donations for common prosperity. In this way, the authorities could reaffirm their dominance over the private sector, and private entrepreneurs showed their compliance with the Communist Party. However, there remained several issues for the private firms, such as their long-term competitiveness, decline in performance, reduction of personnel, and distrust of investors.

      • KCI등재

        시진핑 시기 <쌍감(双减)> 정책이 사교육 분야에 미친 영향에 대한 연구

        윤태희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23 아태연구 Vol.30 No.4

        대학 입시시험의 부활 이후 중국의 사교육 분야는 가파르게 성장하였으나, 시진핑 시기 가정부담의 심화, 교육의 불균형, 사교육 기관의 혼선 등의 다양한 현안들이 문제점으로 지목되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당국은 <쌍감>을 발표하여 사교육 분야의 대대적 변화를 추진하였다. 본문의 연구는 시진핑 시기 <쌍감> 정책이 사교육 분야에 미친 영향에 대한 검토를 목적으로 하며, 문헌연구의 방법을 통해 국가의 정책 및 이에 대한 다양한 행위자들의 대응 등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이하의 내용을 연구결과로 제시한다. 첫째, <쌍감>의 발표 이후 당국의 사교육 분야의 비영리화 및 감독 강화가 전개되었으며, 이는 사교육 관련 기업들의 침체 및 사교육 관련 종사자들의 이탈 등의 문제를 야기하였다. 둘째, 이에 대하여 기존 사교육 관련 기업들의 소양 교육 영역으로의 전환, 사교육을 벗어난 다른 업계 진출, 사교육의 음성화 등의 현상이 초래되었다. 셋째, 당국의 정책에도 불구하고 입시제도와 명문학교의 존재는 사교육에 대한 수요를 지속시킬 수 있는 잠재적 요인으로 풀이된다. 이에 대한 당국의 근본적 해결책의 모색은 향후 귀추를 주목해야 할 과제로 볼 수 있다. After the revival of the college entrance exam, the field of private education in China achieved rapid expansion. However, it also brought about several issues, including the deepening of the family burden, the imbalance of education, and aggravated disorders by private tutoring institutions during the Xi Jinping era. The authorities announced Double Reduction(Shuang Jian) policy to deal with these issues.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Double Reduction policy during the Xi Jinping era in the private education sector, focusing on the responses of various actors on the national policy, with the analysis of literature and documentary research. This article presents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First of all, After the announcement of Double Reduction, the government pursued the nonprofitization of the private education sector and reinforced supervision of the private education institutions, which caused problems such as the downturn of private education-related companies and the dismissal of workers in the private education sector. Secondly, to deal with the government’s policy, some private education companies moved into quality education or jumped into other industries outside the private education sector. Thirdly, the Double Reduction also caused the expansion of the black market in private education. Besides, despite the authorities’ efforts, the existence of the entrance examination and prestigious schools are crucial factors that create the demand for private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