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피부근염 환자의 연하장애 치료: 사례연구

        윤인진,박미정 대한작업치료학회 2010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18 No.4

        목적 : 사례연구를 통해 피부근염 환자에게서 발생할 수 있는 연하장애 증상들에 대해 알아보고 임상에서 적용되고 있는 전통적 연하재활치료를 적용함으로써 연하장애가 호전되는 과정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대상자는 연하장애를 진단받은 20세 피부근염 환자이다. 대상자의 연하기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비디오투시연하검사를 통해 기능적 연하장애 척도와 침습 흡인 척도를 실시하였고, 미국언어청각협회 연하척도를 실시하였다. 치료 기간은 2009년 11월 10일부터 2010년 1월 30일까지로 재활의학과 입원 기간 동안에는 하루에 한번 주 6회, 류마티스 내과 입원 기간 동안에는 하루에 한번 주 5회 시행하였다. 치료로는 작업치료사가 전통적 연하재활치료로 자세 기법, 간헐적 구강식도관 영양법 적용, 식이 조절, 목의 관절 범위 및 근력 운동, 기도 입구 폐쇄 운동, 성대 폐쇄 운동, 후두 상승 운동, 고개 들기 운동, 온도-촉각 자극법, 기침 훈련, 삼킴 기법을 적용하였다. 결과 : 기능적 연하장애 척도 검사의 점수가 60점에서 56점, 52점, 48점, 36점으로 감소하였으며, 침습 흡인 척도의 단계는 3단계에서 2단계로 감소하였다가 3단계로 상승하였고, 다시 2단계, 1단계로 감소하였다. 미국언어청각협회 연하척도의 단계는 2단계에서 4단계, 5단계로 향상되었다. 결론 : 피부근염 환자의 연하장애는 전통적 연하재활치료를 통해 호전되었고, 연하기능도 향상되었다.

      • KCI등재후보
      • 한인 이민 가족의 세대갈등

        윤인진 전남대학교 아시아태평양지역연구소 2000 아시아태평양지역연구 Vol.3 No.1

        본 논문에서는 재미한인 사회의 심각한 사회문제로 인식되고 있는 세대갈등에 관련해서 이 문제의 현황, 원인, 개선방안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1999년 7월 23∼24일 뉴욕 플러싱에서 개최된 「한인이민가족의 세대갈등 워크숍」 에서 발표된 논문들과 토론내용들로부터 얻었다. 이 외에도 본 연구자가 1996년 2월부터 4월까지 미국 11개 도시 들에서 한인 이민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우편 설문조사를 통해서 수집한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의 주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민과 정차의 역사가 상대적으로 짧은 재미 한인들은 이민 1세 부모와 이민 1.5세와 2세 자녀 사이에 문화적 차이, 인식과 가치관의 차이가 커서 세대갈등의 가능성이 타 해외 지역의 한인들보다 높다. 세대갈등은 주로 결혼 및 데이트 상대자 선정, 학업적 성공(academic succese)에의 지나치게 높은 기대수준과 압력, 진학 및 진로 선정 등의 영역에서 부모와 자녀간의 인식과 가치관의 차이에서 발생하며, 부모와 자녀간의 언어 장애 및 의사소통의장애로 인해서 갈등이 증폭된다. 이러한 개인적, 가족적 원인 이외에도 한인이민 가족이 미국사회에서 소수자(minority)로서 직면하는 여러 가지 구조적 제약성과 불리함이 이민가족에 사회경제적 스트레스를 부여하고 이것이 부모-자녀간에 과중한 부하를 가한다는 점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Discrimination against minorities is practiced in a wide range of areas, from an individual's negative attitudes and focial distance feelings toward another individual to institutional exclusion of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and opportunities of minolity groups at the state level. For this reason,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discrimination against minorities requires understanding of not only psychological mechanisms at the individual level but also sociocultural mechanisms (e.g., socialization, customs, and tradition) and legal and institutional mechanisms (e.g., the caste system and exclusion). Major victims of social exclusion and discriminatory acts are women, immigrants, racial of- ethnic minorities, and handicapped people. The exclusion of these people from resources and opportunity structures of mainstream society results in the concentration of social problems such as joblessness, poverty, illness, deviance, and social isolation. Discrimination not only lowers minorities' life chances and quality of life but also damages their mental health, making it difficult for them to have healthy and Positive self-consciousness. When these Problems accumulate and amplify, inequality and tensions intensify among members of a society, consequently threatening social stability and integration.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중국 조선족의 도시이주,사회적응,도시공동체 : 청도 사례연구

        윤인진 在外韓人學會 2003 在外韓人硏究 Vol.13 No.2

        This article examined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city-bound migration, social adaptation, and urban communities of ethnic Koreans in China by carrying out a case study in Qindao. Primary data for this study came from a sample survey of 530 ethnic Koreans and a field study conducted in September 2003 in Qindao, Shandong Province, where Korean in-migration has increased and the Korean ethnic community has begun to develop. Korean migration to Qindao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it began in the early 1990s when South Korean firms built plants in the city and hired ethnic Koreans as laborers. Second, Korean migrants' occupation, income, mobility, and family structure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human capital. Third, people from Jilin and Heilongjiang Provinces constitute the majority of city dwellers. Fourth, people arrive in the city alone first and then invite family members as their economic stability is secured. The Korean ethnic community in Qindao is not a single area of Korean concentration but a number of scattered communities where ethnic Koreans of different characteristics are concentrated. The most viable and oldest Korean community is in 'Ichon-Gu/ where ethnic Koreans are residentially concentrated and dominate the Ichon market while catering to Korean customers. The Korean community in Songyang-Gu began to form recently as Korean firms built plants in the area. Ethnic Koreans who work in either Korean firms and other foreign countries' firms constitute the majority of Korean dwellers of this community. The Korean community in Gaebal-Gu is also a new one that developed when Korean firms attracted ethnic Korean workers. Ethnic Koreans in this community are said to not have close interpersonal relations and solidarity yet and engage in economic activities of their own. As such, the Korean ethnic community in Qindao is not a single entity but a number of sub-communities of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different areas. 본 연구는 1980년대 이후 증가하기 시작한 중국 조선족의 도시로의 인구이동, 도시 내에서의 사회적응, 그리고 조선족 도시공동체의 특성에 대해서 청도지역의 사례연구를 통해 조사하려고 한다. 구체적으로 인구이동이 시작한 역사적·사회경제적 원인, 인구이동의 패턴과 특성, 도시 이주자의 인구학적·사회경제적 특성 및 사회적응 양식, 조선족 도시공동체의 특성에 대해서 조사하려고 한다. 본 연구의 자료는 조선족 이주가 활발하고 도시공동체가 형성되고 있는 산동성 청도시에서 2003년 9월에 연구자와 그의 연구조교가 실시한 설문조사와 현지조사로부터 수집되었다. 총 800부의 설문지가 배포되어 최종적으로 530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응답률 66%) 청도지역으로의 조선족 이주는 몇 가지 특징을 보이고 있다. 첫째, 청도지역으로의 조선족 이주는 한·중 수교와 함께 한국 기업들이 진출하기 시작하면서 시작되었다. 둘째, 이주자의 인적 자본(human capital)에 따라서 종사하는 직업, 임금, 유동성, 가족구조에서 차이를 보인다. 셋째, 길림성과 흑룡강성출신 사람들이 청도 이주자의 대부분을 이룬다. 넷째, 초기 이주는 개인 차원이었으나 경제적으로 안정된 이후에는 가족이 재결합하는 형태를 보이고 있다. 청도지역에서의 조선족 공동체는 어느 한곳에 조선족들이 집중하여 집거지를 형성하기보다는 여러 지역에 상이한 특성의 조선족들이 산개된 형태의 집거지를 형성하는 양상을 띠고 있다. 밀집된 형태의 공동체가 형성된 곳이 이촌구인데, 이곳에서는 비교적 조선족들이 집거하는 형태를 보이고 있으며 이촌 시장을 중심으로 상권을 형성하고 한국인들이나 조선족들을 상대로 영업을 하고 있다. 이곳에는 한국인 자영업자들도 진출해서 한국인과 조선족들을 상태로 영업하며 한인상권을 확장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성양구의 경우에는 한국 기업들이 진출하면서 발전하기 시작한 곳이며 이곳에 거주하는 조선족들은 주로 기업가들과 한국이나 외국인 회사에서 근무하는 조선족 근로자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개발구는 신흥개발지구로서이 지역 역시 한국 기업 등 외국 기업의 진출로 조선족들이 모여들기 시작했다. 이 지역에서는 한인간의 민족간의 유대는 형성되어 있지 못한 상황이며 개인적으로 경제활동만 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렇듯 청도지역에서도 지역적 특성에 따라 상이한 형태의 민족집거지가 형성되고 있고 그 안에서의 조선족, 한국인, 한족간의 관계도 서로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