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마라톤 동호인들의 운동몰입, 심리적 만족도와 운동지속 관계분석

        윤원정,송진섭 한국스포츠학회 2020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8 No.3

        이 연구는 마라톤 동호인들의 운동 몰입이 심리적 만족과 운동 지속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과 경기, 대전, 충남 지역 거주하면서 현재 마라톤에 참여하고 있으며 풀코스 완주한 경험이 있는 동호 인들을 모집단으로 판단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직접 방문하여 마라톤 동호인 385명에게 연구의 취지를 사전에 설명한 후 양해를 구하여 협조를 받아 자료를 추출하여 연구의 자료로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마라톤 동호인 들의 “운동 몰입(인지몰입, 행위몰입)”은 “심리적 만족도(삶의 만족도, 긍정적 사고, 사회적 관심도, 명랑한 성격)”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둘째, 마라톤 동호인들의 “운동 몰입(인지몰입, 행위몰입)”은 “운동지속(경 향성, 가능성, 강화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마라톤 동호인들의 “심리적 만족도(삶의 만족 도, 긍정적 사고, 사회적 관심도, 명랑한 성격)”는 “운동지속(경향성, 가능성, 강화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최근 마라톤 동호인들에게 강조되고 있는 운동 몰입, 심리적 만족도, 운동지속의 종합적인 관계를 분석하고, 마라톤 운동에 관여하는 운동 몰입, 심리적 만족도, 운동지속성을 변인으로 설정하여, 이들 변인들 간의 관련성 을 실증적으로 규명함으로써, 마라톤 동호인들의 운동참여를 통해 긍정적인 행복한 삶을 영위 할 수 있도록 의미 있는 결과를 제시하였다는데 연구의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mprehensive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immersion, psychological satisfaction and exercise according to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participation of marathoners, and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as variables, thereby finding ways to lead a happy life through positive exercise participation of marathoner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385people who are currently participating in the marathon while living in Seoul, Gyeonggi, Daejeon, and Chungcheongnam-do, and have completed the full course were selected as subjects for the study and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about 60 days from October 1 to November 30, 2019.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arathoners' "motional immersion (intentional immersion, immersion in behavior)"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ir "psychological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positive thinking, social interest, cheerful personality)." Second, it has been found that marathoners' "motor immersion (intentional immersion, behavior immersion)" has an influence of affection (+) on "continuation of exercise (trenity, possibility, and strengthening)." Third, it was analyzed that the "psychological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positive thinking, social interest, and cheerful personality) of marathoners had an influence of affection (+) on the "continuation of motion (tentative, possible, strengthening)." This study analyzed the comprehensive relationship of exercise immersion, psychological satisfaction, and exercise persistence, which has recently been emphasized by marathon enthusiasts, and provided meaningful results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as variables so that marathon club members can have a positive and happy life through their participation in the sport.

      • KCI등재

        고등학교 품새 선수의 운동몰입이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윤원정 한국스포츠학회 2023 한국스포츠학회지 Vol.21 No.1

        본 연구는 고등학교 품새 선수의 운동몰입이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 였다. 연구 대상은 고등학교 품새 선수를 모집단으로 설정하였다. 총 2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총 185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고등학교 품새 선수의 운동몰입(인지몰입, 행위몰입)은 자기효능 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고등학교 품새 선수의 운동몰입은 자신감(능력입증, 사회적지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고등학교 품새 선수의 자기효능감은 자신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고등학교 품새 선수의 자기효 능감은 운동몰입과 자신감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발생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고등학교 품새 지도자들이 선수들에 게 기능적, 기술적 뿐만 아니라 심리적으로 접근하여 자기효능감과 자신감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dentified the effect of high school Poomsae athletes' exercise commitment on confidence and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elected as the population among the registered Pumsae players of the Korea Taekwondo Association in 2022 who are currently attending high school and active as Pumsae players, and extracted using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 total of 2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of which a total of 185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xcluding 15 copies of data with overlapping or insincere respon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high school Poomsae's athletic commitment (cognitive commitment, behavioral commit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Second, high school Poomsae's athletic commit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confidence (proving ability, social support). Third, the self-efficacy (perceived physical ability, physical self-expression) of high school Poomsae players had a positive effect on confidence. Fourth, the self-efficacy of high school Poomsae athletes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commitment and confidenc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high school Poomsae leaders approached players psychologically as well as functional, technical, and provided basic data for improving self-efficacy and confidence.

      • KCI등재

        신체활동에 참여하는 중년여성의 정서가 회복탄력성과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윤원정,송진섭 한국웰니스학회 2019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4 No.2

        This study analyzed the mediated effects of resilience from the effect of middle-aged women participating in physical activities on 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o achieve this goal, 240 women over the age of 40 were registered at 14 fitness centers and cultural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o statistically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entiment of middle-aged women has been shown to affect resilience. Among the lower factors of middle-aged women in particular, positive sentimen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resilience, while negative sentiment among lower factors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resilience, Second, the resilience of middle-aged women has a positive effect o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nti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middle-aged women, resilience has been shown to have a mediated effect. Fourth, the effect between emotion and resilience was different depending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ge, educational background, leisure sports, participation period). Fifth, the effect between resilience and psychological euphoria was different depending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ge, educational background, leisure sports, participation period). From these studies, it is judged that resilience plays a positive role in improving the emotional well-being of middle-aged women through physical activity. In addition, the findings are meaningful in that recovery elasticity, which has been noted as one of the most suggestive concepts in terms of sports psychology, was analyzed using parameters. 본 연구는 신체활동에 참여하는 중년여성의 정서가 회복탄력성과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경기지역 14개 휘트니스 센터 및 문화센터에 등록하여 운동에 참여하고 있는 40세 이상 여성 240명의 연구대상 자료를 통계분석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여성의 정서는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년여성의 하위요인 중 긍정적 정서는 회복탄력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 중 부정적 정서는 회복탄력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년여성의 회복탄력성은 심리적 행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년여성의 정서와 심리적 행복감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은 매개효과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연령, 학력, 여가운동 종목, 참여기간)에 따라 정서와 회복탄력 간의 영향은 차이가 발생하였다. 다섯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연령, 학력, 여가운동 종목, 참여기간)에 따라 회복탄력성과 심리적 행복감 간의 영향은 차이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신체활동을 통한 중년여성의 정서가 심리적 행복감을 향상시키는데 있어서 회복탄력성이 긍정적인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이번 연구결과는 스포츠 심리학 관점에서 시사성이 큰 개념의 하나로 주목받고 있는 회복탄력성을 매개변수로 활용하여 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생활체육에 참여하는 중년여성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생활만족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윤원정 한국여성체육학회 2017 한국여성체육학회지 Vol.31 No.4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self-concept and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women participating in life sports. To carry out this study, 230 subjects were selected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from a population of Middle-aged women participating in sports at 6 sports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do for 3 months from January 10th to April 9th in 2017. A total of 23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197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is study after excluding 33 questionnaires that were judged to be unfaithfully respond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hysical self - concept of middle - aged women participating in daily life sports has a positive effect on resilience. Second, the resilience of middle-aged women who participated in life sports positively affects life satisfaction. The resilience of middle - aged women who participated in sport has th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self-concept and life satisfaction.negative effects on school life adaptation (p<.001). Third, the resilience of middle - aged women who participated in daily life sports positively affected life satisfaction. Fourth, the resilience of middle - aged women participating in life sports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self - concept and life satisfaction. As a result of the research so far, resilience has been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factors (physical self-concept, life satisfaction). As a result, the self-concept of physical self- The resilience of resilience positively contributes to life satisfaction by promoting the formation of psychological factors.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vide many implications for the research to verify the effect of resilience, which is one of the concept of big - headedness from the viewpoint of sports psychology. 본 연구는 생활체육에 참여하는 중년 여성들의 신체적 자기 개념과 생활만족도의 관계에 있어서 회복력의 매개 효과를 측정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서울과 경기도의 6개 스포츠센터에서 2017 년 1월 10일 부터 4월 9일까지 3 개월 동안 생활체육에 참여하는 중년 여성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통해 230명의 연구대상자를 선정했다. 전체 230명의 설문 중 불만족스럽게 응답 한 것으로 판단된 33 개의 설문지를 제외하고 통계분석에 197개의 설문지를 사용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체육에 참여한 중년여성의 회복탄력성은 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생활체육에 참여하는 중년 여성의 신체적 자기 개념은 회복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생활체육에 참여한 중년 여성의 회복탄력성은 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생활체육에 참여한 중년 여성의 회복탄력성은 신체적 자기 개념과 생활만족의 관계에 매개효과가 있었다. 지금까지의 연구결과 회복탄력성은 두 요인(신체적 자기개념, 생활만족)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중년여성들의 생활체육 참여로 형성된 신체적 자기개념이 생활에 만족하는데 회복탄력성이 긍정적으로 심리요인의 형성을 촉진하여 생활만족에 기여한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이번 연구결과는 최근 스포츠심리학 관점에서 시사성이 큰 개념의 하나로 주목받고 있는 회복탄력성의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와 함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연구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태권도 수련을 통한 초등학생의 재미요인이 운동몰입에 미치는 영향: 자신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윤원정 한국스포츠학회 2022 한국스포츠학회지 Vol.2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fun factors for Taekwondo training, which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ive, affect confidence and exercise immersion, and to provide basic materials in the ever-changing Taekwondo training environment.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419 elementary school seniors and sixth graders(218 men and 201 women) were studied at taekwondo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for about two months from February to March 2021.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un Factors(Social Development, Achievement Improvement, Physical Health Effects)" through Taekwondo training has been shown to have an effect on "Confidence(Social Confidence, General Confidence, Physical Confidence). Second, "Fun Factors(Social Development, Improvement of Achievement, Physical Health Effects)" through Taekwondo training has been shown to have an effect on "Exercise Immersion(Cognitive Immersion, Behavior Immersion). Third, confidence (social confidence, general confidence, and physical confidence) through taekwondo training has been shown to have an effect on exercise immersion(cognitive immersion, behavioral immersion). Fourth, confidence through taekwondo training has been mediat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fun factors and exercise immersion.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이 지각하고 있는 태권도 수련에 대한 재미요인이 자신감과 운동몰입 사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여 변화무쌍한 태권도 훈련환경 속에서 기본교재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22년 2월부터 3월까지 약 두 달 동안 서울, 경기 등 수도권에 위치한 태권도장에서 수련 중인 초등학생 3학년∼6학년 419명(남자 218명, 여자 201명)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태권도 수련을 통한 재미요인(사회성 함양, 성취감 향상, 신체적 건강효과)은 자신감(사회적 자신감, 일반적 자신감, 신체적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태권도 수련을 통한 재미요인(사회성 함양, 성취감 향상, 신체적 건강효과)은 운동몰입(인지몰입, 행위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태권도 수련을 통한 자신감(사회적 자신감, 일반적 자신감, 신체적 자신감)은 운동몰입(인지몰입, 행위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태권도 수련을 통한 자신감은 재미요인과 운동몰입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발생하였다.

      • KCI등재

        태권도 선수의 심리기술이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윤원정 한국여성체육학회 2023 한국여성체육학회지 Vol.37 No.3

        본 연구는 태권도 선수의 심리기술이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매 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경기⋅강원지역 대학교 태권도학과 대학생 187명을 대상으로 하였 다. 본 연구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태권도 선수의 심리기술(자신감, 의지력, 목표설정)은 신체적 자기효 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태권도 선수의 심리기술(자신감, 의지력, 목표설정)은 인지된 경기력 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태권도 선수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신체적 자기표현, 인지된 신체능력)은 인지된 경기력에 영향을 미쳤다. 넷째, 태권도 선수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심리기술과 인지된 경기력의 관 계에서 매개효과가 발생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태권도 선수의 심리기술이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매개분석을 통해, 태권도 선수의 인지된 경기력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고등학교, 대학교 배구선수의 심리적 안녕감이 경쟁상태 불안과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윤원정(Yun, Won-Jeong),송진섭(Song, Jin-Sub) 한국체육과학회 2018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well - being of high school and university volleyball players on competitive anxiety and performance, and to utilize them as basic data for improving positive emotions, releasing competitive state anxiety, and increasing performance of high school and university volleyball players. To measure this, 119 high school and university volleyball players from Seoul and Kyunggi province were surveyed for two months from January 3 to March 2, 2018.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well - being on competitive anxiety, life satisfaction, which is a sub - variable of psychological well - being, has a negative effect on competitive anxiety, but happiness has no effect. Second,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well - being on the performance showed that the satisfaction of life, which is a sub - variable of psychological well - being,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performance, but the happiness did not affect the performance. Fourth, the effect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chool type, grade, career) on psychological well - being, competitive anxiety, and performance were found to be differen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well - being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chool type, grade, and career) on competitive anxiety, psychological well - being on performance and competitive anxiety on performance,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 type and career were found to affect competitive anxiety and performance, but academic ability did not affect competitive anxiety and performance.

      • KCI등재

        대학 교양체육수업 참여가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윤원정(Yun, Won-Jeong),한국희(Han, Guk-Hi) 한국체육과학회 2017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empirical exploration into the association between participation in general physical education in college and stress and school life adaptation. For this purpose,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was used for validation; for reliability, Cronbach’s ɑ was estimated to be .608 to .875 according to sub-factors. Mean difference test, t-test, was performed to assess general physical education participation status and variation in stress and school life adaptation.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between stress and school life adapt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alysis. Statistical processing was performed using an SPSSWIN 21.0 program. With these methods and procedures, the association between participation in general physical education in college and stress and school life adaptation for college students was analyzed and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rawn. First, as for variation in stress by participation in general physical education, participation in general physical education led to lower levels of stress (p<.05). Second, as for variation in school life adaptation by participation in general physical education,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school attachment, physical adaptation, and school life adaptation (p<.05). Third, stress had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school life adaptation (p<.001).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