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홀로코스트 교육의 동향과 과제

        윤세병 한국역사교육학회 2023 역사교육연구 Vol.- No.45

        Holocaust education has emerged after a period of silence and taboo after World War II as a public memory. Curricula and textbook narratives have reflected the Holocaust, and museums and memorials have been built. Organizations have emerged that specialize in developing Holocaust education programs. However, misconceptions, prejudices, and myths still persist in Holocaust education, and denial and distortion continue to grow with the rise of the far right. And given the violence of the Holocaust, the emotional burden cannot be ignored. These are issues that need to be addressed, and they are linked to South Korean history education. Trapped in nationalist mythology, textbooks fail to reflect the uncomfortable fact that Poles themselves were perpetrators, not just Nazi Germany, and like memories of the Vietnam War, they block the truth of perpetration. Holocaust denial and distortion has become a more serious problem in the era of post-truth. ‘Comfort women’ denial and May 18 denial are also often tied to the growth of right-wing forces and political extremism. Violence and human rights violations are not only a matter of knowledge, but also an area of emotion that requires careful consideration. The same is true for the issue of violence in Korea's modern history. There are attempts to broaden Holocaust education to include issues of anti-Semitism, racism, discrimination, human rights, and peace. However, this approach has been criticized for being too moralistic. As Holocaust education becomes more widespread, identifying points of reflection is an important challenge. There are still many areas of empirical practice and theoretical work on Holocaust education that are not yet well developed. It is hoped that efforts will be made to go beyond conventional education through diverse educational practices and the formation of a richer discourse. 홀로코스트 교육은 제2차 대전 이후 한동안의 침묵과 금기의 영역에 갇혀 억눌린 기억으로 존재하다가 여러 가지 계기로 공적인 기억의 장으로 나왔다. 그리고 학교 교육이나 각종 기념 공간 등의 힘을 빌려 장기 기억으로 전환되고 있다. 교육과정과 교과서 서술에 홀로코스트가 반영되었으며 각종 전시·기념 시설이 건립되었다. 그리고 홀로코스트 교육 프로그램을 전문적으로 개발하는 기구들도 생겨났다. 홀로코스트 교육에는 오해와 편견, 신화가 여전히 존재하고 부정과 왜곡이 극우 세력의 성장과 함께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그리고 홀로코스트가 폭력으로 점철된 사건인 만큼 정서적 부담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이러한 문제들은 풀어가야 할 과제이며, 한국의 역사교육과도 연관되어 있다. 민족주의 신화에 갇혀서 교과서에 나치 독일만이 아니라 폴란드인 스스로도 가해자였다는 ‘불편한’ 사실을 반영하지 못하는 폴란드의 예처럼 베트남전의 기억처럼 가해의 진실을 막아서고 있다. 홀로코스트 부정과 왜곡은 탈진실의 시대에 더욱 심각한 문제가 되었다. ‘위안부’ 부정이나 5.18 부정 역시 우익 세력의 성장이나 정치적 극단화와 유착 관계를 맺으면서 쟁점화하기도 한다. 폭력과 인권 침해는 지식의 문제이기도 하지만 정서의 영역인만큼 세심한 고민이 필요한 영역이다. 한국 현대사에서 마주하는 폭력의 문제 역시 마찬가지이다. 홀로코스트 교육은 반유대주의, 인종주의, 차별 문제, 인권, 평화 등의 문제와 연관하여 확장적으로 접근하려는 시도가 이뤄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이 자칫 도덕주의적 접근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홀로코스트 교육이 보편화하는 만큼 성찰할 지점을 포착하는 것 역시 중요한 과제이다. 또한 홀로코스트 교육에 대한 경험적 실천과 이론화 작업이 아직 정교하지 못한 면이 있다. 다양한 교육 실천과 풍성한 담론의 형성으로 기존의 교육을 넘어서고자 하는 노력이 진행되길 기대해 본다.

      • KCI등재

        역사교과서 비판을 둘러싼 중국 사회의 갈등 — 2006년 『빙점』 사건을 중심으로 —

        윤세병 중국근현대사학회 2019 중국근현대사연구 Vol.83 No.-

        Bingdian(Freezing point in Chinese), a weekly supplement magazine to China Youth Daily i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was temporarily shut down by officials 24 January 2006, but was allowed to reopen in March that year. The scandal over Bingdian was originated from an article, modernization and history textbook in it by philosophy professor Yuanweishi of Zhongshan University. The article dissented from the official view of the second Opium war and the Yihetuan(the Boxer Rebellion). He challenged the textbooks for portraying the 1900 Boxer Rebellion as a magnificent feat of patriotism without describing the violence committed by the rebels or their extreme anti-foreign views. He also criticized the books for blaming the second Opium War of the mid-1800s entirely on foreign nations, without mentioning the Qing government's record of violating treaties by refusing foreign merchants access to Chinese cities. He wrote the article in the name of “telling true history to the youth”. The Chinese government has suspended Bingdian and outspoken newspaper sections, accusing its editors of viciously attacking the socialist system. The decision to stop Bingdian was made by the Publicity Department of the Central Committee of the China Communist Party. The Publicity Department was formerly the Propaganda Bureau, and is responsible for supervision of all news and publication activities in China. Great controversy about the article broke out in China. Many critical readers, netizens and intellectuals were mostly supportive Yuanweishi and criticized Publicity Department of Central Committee, asking for the liberty of the press. In addition, many foreign press reported the suspending of Bingdian. Public opinion of in and out made Bingdian recover by the Chinese government reluctantly on the condition that there should be an article criticizing the Yuanweishi’s article by Zhanghaipeng. This scandal symbolically shows that there would be political oppression in case of different interpretation of history from Chinese Communist Party. There is the possibility of the second or the third Bingdian scandal in China.

      • KCI등재

        세계사 교육의 내용선정 기준으로서의 민주주의―중국사를 중심으로

        윤세병 한국역사교육학회 2014 역사교육연구 Vol.- No.20

        Democracy in history education has not been emphasized although it is the important task of constitution, basic educational law and social studies to raise students as democratic citizens. The criterion of contents selection often is discussed in terms of scholarship, society and learner in history education. In the respect of scholarship, the knowledge related with history research is the criterion of important contents. There is national history in the center of it. Democracy is not the topic of contents. In the respect of society, history education does not deal with contents having concern with much aspect of value including democracy, not departing from national history. In case of learners, they are needed to be regarded to be positive citizen in pursuit of democracy, not to be mere knowledge-receiver of classroomAs the criterion of contents selection, I explained three things for constructing not national history but the history of democracy in worldhistory. Firstly, It is demanded to overcome the recognition of Euro-centrism that democracy is a unique product of modern Europe, characteristic of ideal type. So, democracy is on the process of becoming in both Europe and non-Europe. Many people over the world have been striving for democracy on many different conditions. Secondly, we often think that the democracy of non-Europe woke up from the long sleep with the help of the democracy of Europe. But it is not the case. Democracy has been developed in the context, that is tradition of each society. Thirdly, democracy is not natural product as time goes on, but product derived from conflict and compromise. The process of democratization is widening horizon of people’s sovereignty, the original meaning of democracy. The contents of Chinese history could be re-organized in accordance is the birth of nation, forming of emperor system of Qin-Han period, creation of country space by gentry in Song to Qing period, people’s political growth in the course of Xinhai Revolution and 5.4 Movement, and the development of New Democracy. 헌법, 교육기본법 상의 교육이념 그리고 사회과의 교육 목표가 민주시민 양성을 주요 과제로 설정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역사교육에서 민주주의를 중심에 놓고 논의가 전개되고 못하고 있다. 보통 역사교육의 내용 선정 기준을 학문적사회적학습자 측면에 논의되곤 한다. 학문적 측면에서는 역사학에서 중시하는 지식 체계가 중요도의 기준이고 그 내용의 중심에는 국가사가 자리하고 있다. 민주주의가 논의의 중심으로 설정되고 있지 않고 있다. 사회적 측면은 역사교육이 국가사나 민족사로부터 벗어나 민주주의를 비롯한 다양한 사회적 가치의 실현이라는 차원으로 논의가 확대되지 못하고 있다. 학습자 측면은 학습자를 교실이란 공간의 지식 수용자라는 소극적인 존재가 아니라, 민주주의 사회에서 민주주의를 실현하는 구성원으로서 학습자의 존재를 보다 적극적으로 설정하고 논의를 전개할 필요가 있다. 내용 선정 기준에 대한 이론적 논의와 함께, 국가사를 넘어서 세계사적 차원의 민주주의의 역사를 구축하기 위해 필요한 세 가지 관점을 제시해 보았다. 첫째, 민주주의가 근대 서양이 이룩한 ‘독특한’ 산물이라는 인식과 함께 서양의 민주주의를 이상화하는 유럽중심주의를 극복하는 것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유럽과 비유럽 모두 민주주의는 현재 진행형이며 각기 다른 조건 속에서 새로운 민주주의를 모색하고 있다는 점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둘째, 미녀와 야수의 설정처럼 비유럽 세계의 민주주의를 근대 유럽의 민주주의라는 미녀에 의해 오랜 잠에서 깨인 야수로 보는 것은 곤란하다는 점이다. 각각의 사회가 갖는 전통적인 맥락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셋째, 민주주의는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생겨난 것이 아니라 갈등과 타협 속에서 이루어진 민주화의 역사이며, 그 중심에는 민주주의라는 말의 본 뜻인 ‘인민 주권’의 문제가 자리하고 있다. 이상의 인식을 바탕으로 시론적인 형태이지만 중국사의 경우 국가의 탄생에서부터 진한대 황제를 지배의 정점으로 하는 지배 체제의 형성, 사대부와 신사 차원의 향리 공간의 창출, 태평천국운동과 신해혁명 그리고 54운동을 거치면서 민의 정치적 성장과 진출, 신민주주의의 전개를 중심으로 내용을 구성해 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