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윤선중,정재훈 한국파생상품학회 2018 선물연구 Vol.26 No.1
Since the introduction of ELS (Equity-linked securities) in 2003, the structured products have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investment vehicles to Korean retail investors. However, the rapid growth of those structured products has induced the imbalance of Korean financial markets and may have eventually damaged the financial stability of Korean economy.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how Korean securities companies issuing the structured products hedge their positions and how their activities affect the financial stability. In addition, we conduct a simple empirical analys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ssue of ELS and the financial stability using FSI (financial stability index) provided by Bank of Korea.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balance of ELS affects the financial stability negatively and this is significant even after adjusting for the control variables such as the KOSPI index, VKOSPI, the risk-free interest rate, and CPI. More specifically, the balance rather than the amount of monthly issuance is significant to financial stability. In addition, the decrease in underlying indices reduces the early redemption, thereby damaging the financial stability. Lastly,we suggest several solutions to alleviate the negative effects. 저금리 기조에 힘입어 파생결합증권(ELS․DLS)은 한국경제에서 가장 주목 받고 있는 금융투자상품으로 성장하였다. 그러나 기초자산시장과 독립적인 파생결합증권의 성장은 국내 금융시장의 불균형을 야기했으며, 궁극적으로 금융안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본고는 파생결합증권을 발행한 금융투자회사가 가지는 헤지운용 손실위험에 대해 분석하고, 이러한 위험이 금융전반의 안정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한국은행이 제공하는 금융안정지수를 이용해 금융안정 정도를 측정한 결과, 파생결합증권(ELS)의 발행잔액 변화가 전체 금융안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월별 발행액이 아닌 발행잔액의 증가가 금융안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주가가 하락하면 ELS의 조기상환 감소로 발행잔액이 증가하고 금융안정 정도가 하락하는 효과도 관찰되었다. 본 결과는 KOSPI지수, VKOSPI지수, 금리, 물가 등을 고려한 후에도 여전히 유효하였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고는 파생결합증권이 금융안정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완화하기 위한 다양한 대응책을 제안한다.
4차 산업혁명 기업의 R&D 역량이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R&D 투자와 대표자 기술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윤선중,서종현 한국기술혁신학회 2022 기술혁신학회지 Vol.25 No.4
본 연구는 2017년부터 2019년까지 기술보증기금에서 기술평가를 통하여 보증 지원한 중소기업 중 1,486개 기업 을 대상으로 4차 산업혁명 기업의 R&D 역량이 혁신성과에 어떤 성공 요인이 있는지를 분석하고 R&D 투자와 대표자 기술 역량이 혁신성과에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Amos를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은 기초 통계량 분석, 상관 관계 분석, 확인적 요인 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통제변수를 이용하여 분석도 실시 하였다. 분석결과, 일반적인 가설 12개와 매개효과 가설 8개를 각각 가설을 설정하였다. 일반적인 가설 12개 중 기술혁신역량 과 수익성, R&D 투자와 수익성의 관계인 가설만 기각되었다. 나머지 가설은 채택되었다. 매개효과 가설은 팬텀변수 P12와 P16 가설만 기각되었고, 나머지 가설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4차 산업혁명 기 업은 적정한 R&D 투자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어 4차 산업혁명기업의 R&D 투자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정 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단기지표금리스프레드의 분해와 주식수익률 예측에 관한 연구
윤선중,전귀환 한국금융학회 2023 금융연구 Vol.37 No.1
This study examines the predictive power of the money market spreads on equity index returns and analyzes the economic source of the predictability. By decomposing the short-term reference interest rate spreads defined by the differences between 3 month CD (Certificate of Deposit) rate and KOFR (Korea Overnight Financing Rate) into the short-term credit spread (3 month CD rate minus 3 month Treasury rate) and the short-term term spread (3 month Treasury rate minus KOFR), it is confirmed that short-term reference rate spread has a predictive power on cumulative KOSPI returns for horizons more than two months and that the predictability of the short-term reference rate spread is attributed to the informativeness of short-term term spread. According to the empirical results with macro variables, the predictability of short-term index spreads is closely related to the VKOSPI (the implied volatility index of KOSPI 200), which reflects macroeconomic uncertainties implied in financial markets. In the presence of the volatility mean-reversion phenomenon, investors will interpret the increase in VKOSPI as an increase in future risks, demand more risk premiums, and at the same time cause prices to fall. However, as volatility mean-reverses, the risk premium decreases and the future returns increases. This study has a contribution in that it verified the informativeness of the reference interest rate spread in Korean money markets. The risk-free rate (i.e. KOFR in Korea) will serve as a major benchmark interest rate in international money markets in the future, and will also produce vast amounts of academic research. This study can serve as the starting point for research on RFR in the Korean market. In addition, the short-term credit spread used in this study is already used in practice as a crisis warning indicator under the name of TED spread, and this study can be interpreted as verifying the information power of TED spread in the normal market. 본 연구는 3개월 CD 금리와 KOFR 금리의 차이로 정의되는 단기지표금리스프레드가 주가지수수익률에 대한 예측력을 보유하고 있는지 검증하고, 예측력을 유발하는 주요 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단기금융시장의 지표금리스프레드를 (단기)신용스프레드(credit spread)와 (단기)기간스프레드(term spread)로 분해하여 분석한 결과, 단기지표금리스프레드가 2개월 이후의 누적주가지수수익률에 대한 예측력을 갖고 있으며 그 예측력이 주로 (단기)기간스프레드에 기인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수익률의 예측력을 유발하는 경제변수를 파악하기 위한 분석에서는 단기지표금리스프레드의 예측력과 VKOSPI의 예측력 사이에 밀접한 관계 존재함을 유추할 수 있었다. 변동성이 증가할 때, 투자자는 이를 시장 위험의 증가로 해석하며 추가적인 위험프리미엄(기대수익률)을 요구하고, 이후 변동성의 평균회귀가 발생하는 과정에서 가격이 회복하면서 수익률의 예측력이 발생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본 연구는 단기금융시장의 주요 지표금리 간의 스프레드에 대해 최초의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점, 그리고 (단기)기간스프레드가 주식의 수익률에 대해 정보력을 보유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는 것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기간스프레드의 분해와 기간프리미엄의 정보효과: 저금리 기간에 대한 함의
윤선중 한국금융학회 2018 금융연구 Vol.32 No.4
Prior to the financial crisis, it is known that the term premium reflects uncertainty about future short term interest rates and does not retain significant information about future economic conditions (Hamilton and Kim, 2002; Rudebusch et al., 2007). Rather, the term premium is likely to distort the informativeness of the term spreads regarding the predictability. Consistently, extant literature has shown that the expectation for future short term interest rates, which is extracted from term spreads by excluding term premium, is more informative for predicting future economic conditions. However, as the low interest rate period began after the 2007 financial crisis, some empirical facts have provided new concerns about the forecasting power of term premium. In a situation where expectations for future short-term interest rates are extremely low, the long-term interest rate movement is largely determined by the term premium, thereby raising a question as to whether the forecasting power of the term premiums is still invalid. Many studies, including Dudley (2006), have reported that the term spreads have become less predictable than in the past. This argument results from the fact that the expectation component of the pre-crisis short-term interest rates did not drop significantly, even though the expectation component has been believed to be related to economic forecasting. Under this circumstance, this paper uses the methodology of Adrian et al. (2013, ACM method) to break down the term spreads into risk-neutral expectation component and term premium component, and verifies their predictability on the growth rate of industrial production indices and equity index returns of Korea. In addition, we analyze the impact of the U.S. term spread components on the Korean economy, which is a small open economy with high vulnerability to external shocks.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erm spreads defined as the difference between 10-year spot rate and 1-year spot rate have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for predicting future industrial production index for 3 months or longer horizons. However, the source of predictability is based on the term premium, not the expectation for future short-term interest rates, which is in contrast to the previous studies that had been conducted before the recent low-interest rate period. Second, the KOSPI returns can predict future economic conditions measured by the growth rate of industrial economic index for horizons of 3 months to 9 months, which is inconsistent to the results for the U.S. in that the forecasting horizon of the stock index is much shorter than that of term spreads in the U.S. As a result, the term premiums as well as term spreads predict the future KOSPI returns for very short horizon of 1 month. Third, the unsecured call rate, which can represent the monetary policy stance of a central bank, does not predict future economic condition as well as KOSPI returns. Finally, the U.S. term spreads cannot solely predict the changes in industrial economic index and the stock index returns of Korea. However, when the term spread components of Korea are added together as an explanatory variable, the predictable power of the models with components of both countries sharply increases. In particular, the expectation for short rates alone is not significant, but the inclusion of the U.S. expectation for short rates improves the predictability significantly. These can be interpreted as the result that the future interest rate changes (volatility) of Korea ar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expected short-term interest rates of the U.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in the following aspects. First, this study is the first academic attempt in Korea that use the decomposition method of Adrian et al. (2013). Adrian et al. (2013) is recognized as a standard by the most central banks, including the FRB, and by major financial institutions. Currently,... 2000년대 이후 전 세계적으로 저금리 기조가 유지됨에 따라 기간프리미엄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 기간프리미엄의 정보력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제한되어 있었다. 본 연구는Adrian, Crump, and Moench(2013)의 방법론을 활용해 채권시장의 기간스프레드를 기간프리미엄과기대단기이자율로 분해한 후, 산업생산지수 변동률 및 주식수익률에 대한 예측 능력을 검증하였다. 이후, 소규모 개방경제로 대외경제에 대한 높은 민감도를 가진 국내 경제의 특성을 반영하여, 미국의 기간스프레드 및 기간프리미엄의 영향력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0년물과 1년물 국채수익률의 차로 정의된 기간스프레드는 산업생산지수의 3개월 이상누적변화율을 유의하게 예측하고 있었으며, 기간스프레드의 예측력은 기간프리미엄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간스프레드 및 기간프리미엄은 매우 짧은 미래(1개월 이상)의 KOSPI 수익률을 예측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기간스프레드를 분해한 예측력 분석에서는 저금리 기간동안 기간프리미엄이 중요한 수익률 예측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미국의 금리정보를포함한 분석에서는 미국의 기간스프레드가 단독으로 국내 경기에 대한 예측력을 보유하지않았지만, 국내시장의 기간스프레드를 함께 설명변수로 추가했을 때, 경기예측력이 급격히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미국의 금리스프레드를 분석한 연구에서 국내 기간프리미엄의예측력이 주로 미국의 미래 기대단기이자율에 의해 결정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예금보험기금의 기금운용방식 다변화 방안:국내채권・해외채권 벤치마크를 중심으로
윤선중 예금보험공사 2021 金融安定硏究 Vol.22 No.2
This study proposes a plan to advance the management system of Deposit Insurance Funds that can respond to changes in financial environment. The Deposit Insurance Fund is financed by premiums from insured financial institutions to guarantee the deposit if the insured financial institutions cannot repay the deposit. Until now, the Deposit Insurance Fund has strictly restricted the investment universe by conservatively interpreting the provisions of the Deposit Insurance Law and as a result, it is being invested in limited asset classes such as deposits in commercial banks. This investment behavior does not conform to the principles of stability, profitability, and liquidity that the fund must satisfy and it is time to improve the fund management process. This paper explains the necessity of expanding investment universe and of extending the duration of domestic bond benchmark by comparing the benchmarks of major pension funds. In particular, the portfolio proportion of deposits in banks should be reduced, and that of foreign bond should be increased. In addition, the domestic bond duration needs to be extended to about two to three years. 본 연구는 기금규모의 확대와 금융환경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예보기금의 운용체계 선진화 방안을 제시한다. 예보기금은 부보금융기관으로부터 받은 예금보험료를 재원으로 부보금융기관이 예금을 상환할 수 없을 경우 대지급하기 위해 조성된다. 그 동안 예보기금은 예보법의 규정을 보수적으로 해석함에 따라 운용대상을 엄격하게 제한했으며, 그 결과 금융기관 예치금 등 특정자산에 편중되어 투자되고 있다. 이러한 투자행태는 예보기금이 만족해야 하는 안정성, 수익성, 유동성의 원칙에 부합하지 않으며, 기금운용체계의 개선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고에서는 주요 연기금 및 대형기금의 벤치마크 등을 소개함으로써 투자대상의 확대 및 채권운용 듀레이션의 확대의 필요성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특히, 부보금융기관에 예치된 예치금의 비중을 줄이고 해외채권자산의 비중이 확대해야 하며, 국내 채권 듀레이션을 2~3년가량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였다.
신용카드시장의 의무수납제도가 신용카드 수수료체계에 미치는 영향
윤선중,강경훈,김정규 한국은행 2013 經濟分析 Vol.19 No.4
최근 정부와 신용카드 업계는 카드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과도한 혜택이 가맹점에게 부과되는 과도한 수수료에 의해 조달되고 있음을 확인하고, 합리적인 신용카드 수수료 체계를 확립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신용카드 시장은 양면시장의 특성으로 인하여 일정 수준의 가격전가현상이 발생할 수 있기는 하지만, 주요국과 비교해보아도 국내의 가맹점 수수료는 매우 높은 편이며, 이는 결국, 수수료 결정과정에서 가맹점의 협상력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국내 가맹점의 협상력을 낮출 수 있는 신용카드 의무수납제도의 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양면시장 이론 모형 하에서 신용카드 의무수납제 유무가 부가가치의 분배와 수수료율 수준, 그리고 신용카드 사용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의무수납제도의 유무에 따라 균형 수수료를 비교해보면 의무수납제도가 신용카드 가맹점 수수료를 증가시키고, 신용카드 사용규모를 크게 증가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신용카드 의무수납제도가 소액결제의 편의성을 높이고 탈세 방지를 통한 세수 증대에 기여하는 등 긍정적 효과가 있었으나 수수료 결정과정에서 가맹점의 협상력을 제한하는 부작용을 초래한 것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가맹점수수료 등 가격변수가 시장원리에 따라 자율적으로 결정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Korean government and related industry are exerting all possible efforts for a reasonable credit card fee system. Recently, they proposed the new credit card fee standard that decreases the card fees of middle- and small-sized merchants. However, this fee system is vulnerable to changes in the policy intention of government and in turn, has the possibility of conflict (dispute) between credit card companies and merchants. Using the theory of two-sided markets, this paper explores the impact of the credit-card-receipt-obligation for merchants on a merchant fee structure as well as an amount of credit cards used. According to our model, the obligation for credit card receipts distorts the credit card fee system and as a result, can increase the amount of credit cards used extremely. Although the credit card obligation for merchants enhances the convenience in the payment system and plugs a tax loophole, it surely reduces the bargaining power of merchants in the fee settlement process. Therefore, the credit card obligation rule for merchants should be reconsidered based on the market principle.
기술 중소기업의 경영 특성에 대한 고성장 기업 결정 영향 요인 분석: 4차 산업혁명기업과 일반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윤선중,서종현 한국벤처창업학회 2021 벤처창업연구 Vol.16 No.6
This study categorized 3,214 companies out of the tech firms supported by the Korea Technology Finance Corporation’s “technology guarantee scheme” through technology assessment from 2017 to 2019 into Fourth Industrial Revolution-related companies and general SMEs. The impact of the management characteristics of these 1,752 tech firms on the determination of high-growth firms was then empirically analyzed. This study used the OECD (2007) definition to define a “high-growth firm” as “an enterprise with average revenue growth greater than 20% per annum, over a two-year period.” As the two sample groups showed non-normal distribution, this study conducted the Mann-Whitney U test, a nonparametric test, to analyze the mean differences and bivariate logistic regression in which the normality assumption is less stringent. The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 fundamental characteristics; a regional dummy; a technological level dummy; and the capabilities of company representatives, human capital,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The corresponding sub-variables are representatives’ level of education and experience in the same industry, full-time workers, research personnel, the extent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nvestment in research and development, firm age, total assets, region_metropolitan area, region_central region, technological level_high technology, and technological level_medium technology. As a result, the research hypothesis about representatives’ level of experience in the same industry, full-time workers, total assets, and technological level_high technology was supported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related companies. For the general SMEs, the research hypothesis about representatives’ level of experience in the same industry, research personnel, total assets, and region_metropolitan area was supported. 본 연구는 기술보증기금이 2017년부터 2019년까지 기술평가를 통하여 보증 지원한 기술 중소기업 중 3,214개 기업을 대상으로 4차 산업혁명 기업과 일반 중소기업으로 구분한 후 경영 특성이 고성장 기업 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고성장 기업 판단은 OECD(2007)의 정의를 적용하여 최근 2년간 매출액 증가율이 연간 평균 20% 이상인 기업이다. 표본 대상의 두집단이 비정규분포를 따르고 있어 Mann-Whitney U test 비모수 검증으로 평균치 차이 분석을 하였다. 또한 정규성 가정이 덜 엄격한 이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독립변수는 대표자 역량, 인적자본 역량, 기술혁신 역량, 기본 특성, 지역더미, 기술수준 더미이다. 이에 대응하는 하위변수는 대표자 학력, 대표자 동업종 경험 수준, 상시 종업원, 연구 인력, 지식 재산권 수, 연구개발 투자금액, 기업 업력, 총자산, 지역_수도권, 지역_중부권, 기술수준_첨단기술, 기술수준_중기술이다. 분석결과, 4차 산업혁명 기업은 대표자 동업종 경험수준, 상시종업원, 기업업력, 총자산, 기술수준_첨단기술의 연구가설이 지지되었다. 일반 중소기업은 대표자 동업종 경험수준, 연구인력, 총자산, 지역_수도권의 연구가설이 지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