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짧은 마음챙김 유도가 정서자극에 대한 기억편향에 미치는 효과

        윤석인 한국건강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rief mindfulness induction on memory bias for emotional stimuli.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two groups (mindfulness group (n=30) vs. control group (n=30)), an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two days at a weekly interval. In the day-1 experiment, treatment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group, followed by the photo-learning task. In the photo-learning task, an emotional picture (positive or negative) and a neutral picture were presented at the same time. One week later, in the day-2 experiment, the recognition task was performed. In the recognition task, the participants distinguished between the pictures they had learned in the day-1 experiment and the pictures that they saw for the first time. As a result, in the positive-neutral pair condition, the recognition accuracy of positive pictures in the mindfulness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but neither group showed any memory bias for positive pictures. In the negative-neutral pair condition, both groups showed a memory bias for negative pictures, but the mindfulness group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the memory bias for negative pictur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brief mindfulness induction improves the overall learning task performance for positive-neutral pairs, while partially reducing memory bias for negative picture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정서자극에 대한 기억편향에 미치는 짧은 마음챙김 유도의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참가자들은 두 집단(마음챙김 집단(n=30) vs. 통제집단(n=30)) 중 한 집단에 무선 할당되었으며, 일주일 간격으로 2일간 실험을 진행하였다. 1일차 실험에서 집단에 따라 처치가 수행되었고, 이후에 사진학습과제를 실시하였다. 사진학습과제에서는 정서적 유인가가 있는 사진(긍정사진 또는 부정사진)과 중립적인 사진이 동시에 제시되었다. 일주일 후, 2일차 실험에서는 재인기억과제를 실시하였다. 재인기억과제에서 참가자들은 1일차 실험에서 학습했던 사진과 처음 보는 사진을 구별하였다. 그 결과, 긍정-중립 자극쌍 조건에서 마음챙김 집단의 긍정사진 재인정확성은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았지만, 두 집단 모두 긍정사진에 대한 기억편향을 보이지는 않았다. 부정-중립 자극쌍 조건에서 두 집단은 모두 부정사진에 대한 기억편향을 보였지만, 마음챙김 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부정사진에 대한 기억편향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짧은 마음챙김 유도가 긍정-중립 자극쌍에 대한 전반적인 학습과제 수행능력을 향상시키는 한편, 부정사진에 대해서는 기억편향을 일부 감소시킨다는 것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Effects of Dolomite and Oyster Shell on Nitrogen Processes in an Acidic Mine Soil Applied with Livestock Manure Compost

        윤석인,서동혁,강호상,정효정,이건택,최우정,이창규,정문호 한국토양비료학회 2016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50 No.4

        Mine soils are usually unfavorable for plant growth due to their acidic condition and low contents of organic matter and nutrient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rganic material and lime on nitrogen processes in an acidic metal mine soil, we conducted an incubation experiment with treating livestock manure compost, dolomite, and oyster shell and measured soil pH, dehydrogenase activity, and concentration of soil inorganic N (NH4+ and NO3-). Compost increased not only soil inorganic N concentration, but also soil pH from 4.4 to 4.8 and dehydrogenase activity from 2.4 to 3.9 µg TPF g-1 day-1. Applying lime with compost significantly (P<0.05) increased soil pH (5.9-6.4) and dehydrogenase activity (4.3-7.0 µg TPF g-1 day-1) compared with applying only compost. Here, the variation in dehydrogenase activity was significantly (P<0.05) correlated with that in soil pH. Soil inorganic N decreased with time by 14 days after treatment (DAT) due to N immobilization, but increased with time after 14 DAT. At 28 DAT, soil inorganic N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the lime treatments than the only compost treatment. Especially the enhanced dehydrogenase activity in the lime treatments would increase soil inorganic N due to the favored mineralization of organic matter. Although compost and lime increased soil microbial biomass and enzyme activity, ammonia oxidation still proceeded slowly. We concluded that compost and lime in acidic mine soils could increase soil microbial activity and inorganic N concentration, but considerable ammonium could remain for a relatively long time.

      • KCI등재

        심리학 관점에서 바라본 마음챙김 명상과 통찰, 지혜

        윤석인,박희영 한국선학회 2023 한국선학 Vol.- No.65

        Recently, mindfulness meditation has been developed as a standardized program and is being used in various clinical areas. Numerous empirical studies have examined the effectiveness and mechanism of mindfulness meditation. However, empirical studies on mindfulness meditation mainly focus on short-term therapeutic effects such as stress reduction and emotion regulation. Research on mindfulness meditation for insight and wisdom is relatively scar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 to propose a hypothetical model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fulness meditation, insight, and wisdom from a psychological point of view. The second purpose is to present empirical evidence for the hypothetical model based on previous studies. Mindfulness meditation is a series ofinsightsin that it adopts a new perspective different from the existing egoism as a decentering of inner experience. This mindfulness meditation induces objective introspection through nonjudgmental awareness of experiences. Wisdom, as a result of objective introspection, is a mature personality that understands the essence of life and adapts and copes with it effectively. In this study, empirical studies supporting this hypothetical model were introduced.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promote follow-up research on mindfulness meditation, insight, and wisdom. 최근 마음챙김 명상은 표준화된 프로그램으로 개발되어 여러 임상 영역에서 활용되고있으며, 다수의 실증연구를 통해 효과성 및 기제가 입증되고 있다. 하지만 마음챙김 명상에 대한 실증연구들은 주로 스트레스 감소 및 정서 조절과 같이 단기적인 심신 치유효과에 중점을 두고 있다. 마음챙김 명상의 본래 목적인 통찰과 지혜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의 목표는 첫째, 심리학 관점에서 마음챙김 명상과통찰, 지혜의 관계에 대한 가설적 모형을 제시하는 것이다. 둘째는 선행연구를 토대로가설적 모형에 대한 실증적인 근거를 제시하는 것이다. 마음챙김 명상은 내적경험에 대한 탈중심화로서 기존의 자아중심성과 다른 새로운 관점을 채택한다는 점에서 통찰의연속이다. 이러한 마음챙김 명상은 경험에 대한 비판단적 알아차림을 통해 객관적인 성찰을 유도한다. 지혜는 객관적인 성찰의 결과물로서 삶의 본질을 이해하고 그것에 효과적으로 적응 및 대처하는 성숙한 모습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가설적 모형을 뒷받침하는 실증연구를 소개하였다. 본 연구가 마음챙김 명상과 통찰, 지혜에 대한 후속연구를 이끄는 시발점이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다층배선 인터커넥트 구조의 기생 인덕턴스 추출 연구

        尹錫仁,원태영 대한전자공학회 2002 電子工學會論文誌-SD (Semiconductor and devices) Vol.39 No.7

        This paper presents a methodology and application for extracting parasitic inductances in a multi-level interconnect semiconductor structure by a numerical technique. In order to calculate the parasitic inductances, the distrubution of electric potential and current density in the metal lines are calculated by finite element method (FEM). Thereafter, the magneto-static energy caused by the current density in metal lines was calculated. The result of simulation is compared with the result of Grover equation about analytic simple structures, and 4 bit ROM array with a dimension of 13.0×10.25×8.25㎛3 was simulated to extract the parasitic inductnaces. In this calculation, 6,358 nodes with 31,941 tetrahedra were used in ULTRA 10 workstation. The total CPU time for the simulation was about 150 seconds, while the memory size of 20 MB was required. 본 논문에서는 반도체 집적 회로의 다층 배선 인터커넥트 사이의 기생 인덕턴스를 수치 해석적으로 계산하여 추출하는 방법과 그 적용 예를 보고한다. 기생 인덕턴스를 추출하기 위하여, 3차원 다층배선 구조물에 대해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다층 배선내에서의 전위 분포 및 전류 밀도를 계산하고, 계산된 전류 밀도로부터 자계 에너지를 계산하여 상호 인덕턴스 및 셀프 인덕턴스를 계산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의 정확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해석적 방법으로 해석이 가능한 간단한 구조에 대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결과를 비교하였으며, 또다른 응용으로, 13×10.25×8.25 ㎛3 크기의 4비트 롬 구조에 대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3차원 4비트 롬 구조물의 기생 인덕턴스 추출을 위해서, 유한요소법 적용을 위한 6,358개의 노드와 31,941개의 사면체 메쉬를 생성하였으며, ULTRA 10 워크스테이션에 대해서 소요된 CPU 시간은 약 2분 30초이었으며, 20 메가바이트의 메모리를 사용하였다.

      • KCI우수등재

        마음챙김명상과 자비명상이 친사회성 및 반사회성에 미치는 차별적 효과: 국내 연구의 체계적 리뷰 및 메타분석

        윤석인,박희영 한국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42 No.2

        In this study,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mindfulness meditation (MM) and loving-kindness & compassion meditation (LKCM) on healthy adult’s prosociality and antisociality, a meta-analysis was conducted by selecting 38 korean articles and dissertations up to October 3, 2022. Considering the three-arm design studies, 24 studies on MM and 19 studies on LKCM were selected. The quality of the study was evaluated for each of the MM study and the LKCM study, and the effect size of each meditation for prosociality and antisociality was synthesized. As moderating variables, publication status, control group type, semi-clinical group status, age, sex ratio within group, total intervention time (minutes), total intervention sessions (session), and total intervention period (weeks) were set. As a result of the meta-analysis, MM showed a large effect size in improving antisocial behavior, g = 0.876, but showed no significant effect size for prosociality, g = 0.407. In contrast, LKCM showed a moderate effect size in enhancing prosociality, g = 0.699, but showed no significant effect size for antisociality, g = 0.163. In this study, the differential effects of each type of meditation on prosociality and antisociality were discussed. As a result of the moderating effect analysis, all moderators were not significant. Additionally, the effect size of each type of meditation for each subcategory of prosociality (e.g., empathy, connectedness, forgiveness, and compassion) was synthesized. As a result, LKCM showed moderate effect sizes in enhancing all subcategories of prosociality, gs = 0.534 ∼ 0.795, but MM showed a small effect size only compassion, gs = -0.026 ∼ 0.473. Studies of MM on antisociality were found to be at high risk of publication bias, whereas the rest of the cases were not at high risk of publication bias. In the discus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interpreted and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addressed. 본 연구에서는 마음챙김명상과 자비명상이 일반 성인의 친사회성 및 반사회성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2022년 10월 3일까지의 국내 학술지 논문 및 학위논문 38편을 선정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세 집단 연구 등을 고려했을 때 마음챙김명상 프로그램 연구는 24편이었으며, 자비명상 프로그램 연구는 19편이었다. 마음챙김명상 연구와 자비명상 연구 각각에 대해 연구의 질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친사회성 및 반사회성 각각에 대한 명상별 효과크기를 종합하였다. 조절변인으로는 출판 여부, 통제집단 유형, 준임상군 여부, 연령, 집단 성비, 총 개입시간(분), 총 개입회기(회), 총 개입기간(주)을 설정하였다. 메타분석 결과, 마음챙김명상은 반사회성 개선에 큰 효과크기를 보였지만, g = 0.876, 친사회성에 대해서는 유의한 효과크기를 보이지 않았다, g = 0.407. 반면, 자비명상은 친사회성 증진에 중간 정도의 효과크기를 보였지만, g = 0.699, 반사회성에 대해서는 유의한 효과크기를 보이지 않았다, g = 0.163. 본 연구에서는 친사회성 및 반사회성에 대한 명상 유형별 차별적 효과에 대해 논의하였다. 조절효과분석 결과, 모든 경우에서 의미 있는 조절변인을 찾을 수 없었다. 추가적으로 친사회성의 하위범주(예: 공감, 연결성, 용서, 자비심) 각각에 대한 명상 유형별 효과크기를 탐색적으로 종합하였다. 그 결과 자비명상은 친사회성의 모든 하위범주 개선에 중간 정도의 효과크기를 보였지만, gs = 0.534∼0.795, 마음챙김명상은 자비심 개선에만 작은 효과크기를 보였다 gs = -0.026∼0.473. 반사회성에 대한 마음챙김명상 연구는 출판 편향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나머지 경우에서는 출판 편향 위험이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에서는 연구 결과를 해석하고 시사점 및 한계점을 다루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