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조형교육에서 윤리적 교육의 필요성 및 제안

        윤민희(Minhie YUN) 한국조형교육학회 2021 造形敎育 Vol.- No.78

        본 연구는 대학의 조형교육에서 윤리적 교육의 중요성 및 제안을 연구·분석하였다. 최근의 시민교육의 중요성의 대두와 함께 예술교육에서도 공동체 의식에 기반한 윤리적 교육의 필요성이 등장하였다. 근대이후의 조형교육이 심미성과 창의성에 기반한 미적 가치의 추구가 중요한 교육목표였다면, 오늘날은 이러한 가치와 함께 전 지구적인 차원의 현황에 기반한 ‘사람과 지구를 위한 교육’으로 전환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조형교육 영역에서 환경보호와 공익성을 추구하는 지속가능한 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조형교육을 통해 지속가능한 교육을 실천할 수 있는 하나의 방안으로 윤리적 교육의 현황 분석 및 제안을 연구하였다, 세부적으로 예술의 미적 가치와 도덕적 가치의 역사적 고찰, 대학의 윤리적 교육의 시대적 필요성, 조형교육 영역의 윤리적 교육 현황, 윤리적 교육 제안 등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윤리적 교육 현황은 대학의 조형교육 관련 개설 교과목을 중심으로 연구하였으며, 윤리적 교육 제안은 국내·외 전문가들의 문헌 연구를 중심으로 연구·분석하였 다. 본 연구는 조형교육을 통한 세계시민의식의 함양과 함께 모두를 위한 지속가능한 교육을 실현할 수 있는 중요성을 제안 하였다는 측면에서 의의를 가진다. This research studied and analyzed the proposal and importance of ethical education in the formative arts education of college. With the recent rise of the importance of civic education, the necessity of ethical education based on community consciousness emerged in arts education. The pursuit of aesthetic values based on esthetics and creativity was an important educational goal in modern era s formative arts education, with these values, today s trend is shifting to education for people and the earth based on the global situation. In particular, it emphasizes sustainable education that pursues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public interest in plastic arts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esent situation of ethical education as a way to implement sustainable education through formative arts education. In detail, the contents of this research were composed of the historical consideration of the aesthetic and moral values of art, the necessity of ethical education, the ethical education situation in formative arts education, and the ethical education proposal. The ethical education curriculum focuses on the curriculums related to plastic arts education in universities. The ethical education proposals are studied and analyzed with reference to literature of domestic and foreign expert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erms of suggesting the importance of cultivating global citizen consciousness as well as realizing sustainable education for all through formative arts education in the future.

      • KCI등재

        루이뷔통 패션하우스의 아트 콜라보레이션의 사례연구 및 아트 마케팅 의미분석

        윤민희(Yun, Minhie),최정욱(Choi, Jeongwook)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8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7 No.3

        연구배경: 21세기의 융복합의 시대에 패션과 예술의 콜라보레이션은 몸을 치장하고 의복을 입는다는 그 이상의 의미를 가지며 우리가 사는 세상의 정치, 사회문화 현상을 반영한다. 특히 패션은 그 시대의 사회문화 현상을 반영한다는 측면에서 시각예술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이러한 시각에서 아트 콜라보레이션의 대표 브랜드인 루이뷔통의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아트 콜라보레이션을 통한 마케팅적인 의미를 연구·분석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패션과 예술의 콜라보레이션에 관한 이론적 연구, 루이뷔통 아트 콜라보레이션의 의의 및 사례연구, 루이뷔통 패션하우스의 예술마케팅 의미분석을 중심으로 패션과 예술의 연관성과 예술 마케팅의 중요성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패션과 예술의 콜라보레이션에 관한 이론적 연구는 아트 콜라보레이션의 개념과 유형, 패션과 예술의 콜라보레이션의 역사 및 의의 등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루이뷔통의 아트 콜라보레이션의 의의 및 사례연구에서는 루이뷔통의 역사, 루이뷔통 패션 콜라보레이션의 사례연구를 무라카미 다카시, 야요이 쿠사마, 제프 쿤스, 스테판 스프라우스, 카니예 웨스트 등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장 노엘 케퍼러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프리즘 모델과 기호학적 연구를 바탕으로 루이뷔통 패션하우스의 예술 마케팅의 의미 분석을 하였다. 예술, 디자인, 경영학, 기호학 등에 관한 문헌연구와 함께 디자인 사례연구는 최신 웹 사이트의 자료를 중심으로 연구·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패션과 예술의 콜라보레이션의 사례연구 및 마케팅적 의미 분석을 통한 본 연구는 하여 예술, 디자인, 마케팅 등의 융․복합적인 시각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예술, 디자인, 경영학 등의 다양한 영역의 연구에 활용 가능할 것이다. 결론: 루이뷔통의 아트 마케팅은 21세기의 디자인의 최고의 고부가 가치를 위한 대표적 방법론이다. Background: In the 21st century, the fusion of fashion and art has more significance than dressing and wearing clothes, reflecting the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phenomena of our world. Fashion, in particular, is closely related to the art of visual arts in terms of reflecting the social and cultural phenomena of the era.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focused on the case studies of Louis Vuitton, as a representative brand of Art Collaboration, and studied the marketing meaning through art collaboration. Metho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importance of art marketing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fashion and art, focusing on the theoretical study on collaboration of fashion and art, the significance and case studies of Louis Vuitton art collaboration, and the analysis of art marketing of Louis Vuitton fashion house. The theoretical study on the collaboration of fashion and art has focused on the concept and type of art collaboration, and the history and significance of collaboration of fashion and art. In the significance and case studies of Louis Vuitton"s art collaboration, are studied the history of Louis Vuitton and the case studies of Louis Vuitton fashion collaboration with M. Takashi, Y. Kusama, J. Koons, S. Sprouse and K.. West. The analysis of the meaning of art marketing of Louis Vuitton fashion house was based on the art marketing analysis by Jean-Noel Kapferer"s "brand identity prism" and the analysis of marketing semantics. In addition to literature research such as art, design, business administration, and semiotics, design case studies were researched and analyzed based on the latest web sites. Result: This study, through the case study of fashion and art collaboration and the analysis of marketing semantics, presents the mixed view of art, design, and marketing. This research can be applied to various fields such as art, design, and business administration. Conclusion: Louis Vuitton"s art marketing is a representative methodology for the best value of design in the 21st centu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