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Analysis on the Dosimetric Characteristics of Tangential Breast Intensity Modulated Radiotherapy
윤미선,김용협,정재욱,남택근,안성자,정웅기,송주영,Yoon, Mee Sun,Kim, Yong-Hyeob,Jeong, Jae-Uk,Nam, Taek-Keun,Ahn, Sung-Ja,Chung, Wong-Ki,Song, Ju-Young Korean Society of Medical Physics 2012 의학물리 Vol.23 No.4
기존의 쐐기(wedge) 필터를 사용하는 접선조사(tangential irradiation) 방식의 일반적인 유방암 방사선치료와 동일한 접선 조사야(filed)를 사용하면서 쐐기 필터를 삽입하는 대신 다엽콜리메터의 움직임을 통해 치료부위의 선량분포를 균일하게 형성토록 하는 접선 세기조절 방사선치료(tangential breast Intensity modulated radiotherapy, T-B IMRT)가 유방암치료에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T-B IMRT치료계획에서 계산된 선량분포를 기존의 쐐기 필터를 사용한 일반적인 접선조사 방식의 치료계획과 비교하여 치료표적 및 중요장기에서의 선량분포 측면에서 T-B IMRT의 타당성을 살펴보고, 실제 T-B IMRT치료 빔 조사 시 선량 측정 및 치료계획 결과와의 오차 분석을 통해 선량 분포의 정확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쐐기필터를 이용한 접선조사 방식으로 치료한 유방암 환자 15명을 대상으로 T-B IMRT치료계획을 세운 후, 계산된 선량분포를 비교, 분석하였다. T-B IMRT치료계획에서 치료표적 부피 내 선량분포의 균일도가 기존의 쐐기를 사용한 접선조사 방식보다 향상된 결과를 보였으며, 주변의 정상조직과 중요장기의 선량을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B IMRT의 실제 치료조사 시 선량정확도를 분석하기 위해 적합한 팬텀을 사용하여 품질보증(QA) 치료계획을 수립하였다. 원기둥 형태의 아크릴에 이온전리함을 삽입한 형태의 팬텀을 사용하여 치료계획과 실제 치료 빔 조사를 통해 측정된 절대선량 값을 비교하였으며, 평균 오차는 $0.7{\pm}1.4%$로 분석되었다. 이차원 다이오드 검출기 배열장치를 이용한 선량분포의 정확도 분석에서는 치료계획 시 계산된 선량분포와 실제 측정된 선량분포의 gamma evaluation (3%, 3 mm 기준)를 통해 평균 $97.3{\pm}2.9%$의 합격률(pass rate)로 타당성 있는 정확도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를 통해 선량분포 측면에서 기존 쐐기필터를 이용한 접선 조사방식의 방사선치료 대비 T-B IMRT의 장점을 확인할 수 있었고, T-B IMRT에 적합하게 수립된 품질보증 과정을 통해 실제 조사되는 선량의 정확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학습동기 유형에 따른 중·고생의 학업성취 및 학습전략의 차이
윤미선,김성일 한국교육심리학회 2003 敎育心理硏究 Vol.17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of academic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learning strategies. Academic motivation type was classified by combining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resulting in 4 different types of motivation (intrinsic+extrinsic, intrinsic, extrinsic, amotivation). For this study, 2700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4 middle schools and 5 high schools in Seoul. The result of independent sample t-test on motivation revealed that only 'challenge' factor for high school stud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middle school students. Chi-square test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lative proportion of motivational types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t was also found that the 'intrinsic type'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intrinsic+extrinsic type' for high school students showed highest academic achievement.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arning strategies among four types of motivation. It was also discussed the practical significance of four types academic motivation, the relationship with learning strategies, and the implication for designing individualized learning environment.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동기 유형에 따른 우리나라 중·고생의 학업성취 및 학습전략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 소재의 9개 중·고등학교(인문계)에 재학중인 2700명이었으며, 본 연구자들에 의해 제작된 내외재 학습동기 검사지의 반응 결과에 따라 내외재형, 내재형, 외재형, 저동기형 중의 한 가지 동기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분석결과, 학습동기의 유형별 분류에 있어서 중학생의 경우 저동기형의 비율이 가장 많았지만, 고등학생은 내재형의 비율이 가장 많은 반대 성향을 보였다. 한편, 중·고생의 학습동기 유형에 따른 학업성취의 차이 분석 결과로부터 중학생들은 학습에 대한 내재동기가 높게 조합될 경우 성취가 가장 높은 반면, 고등학생은 내재동기와 외재동기가 복합적으로 높을 경우 성취가 높음을 확인하였다. 학년과 학습동기 패턴에 따른 학습전략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초인지 전략의 경우 학년과 동기유형이라는 두 독립변인들에 대한 주효과만 검증되었으나 기타 하위 전략들은 독립변인가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개인차를 고려한 교수-학습 환경을 설계함에 있어서 학습자의 동기성향을 보다 다차원적으로 이해하고, 학습동기가 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내재되어 있는 학습전략의 간접 효과를 전제하는 성취 관련요인들의 모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