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다문화 수용의 역사적·문화적 제네시스 : 포섭과 배제의 정치

        윤대식 ( Youn Dae Shik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7 동양문화연구 Vol.26 No.-

        본 연구는 다문화주의 담론과 행태에 내포된 역사적, 문화적 연원을 추적한 것이다. 현재 한국사회가 안고 있는 사회적 갈등의 양상 중 다문화 요소의 출현으로 인해 발생하는 심리적 불안과 적대감, 동화(同化)와 차별(差別)에 대한 강박 등 점증하는 양자 간 갈등에 초점을 맞출 경우, 한국사회의 불평등 문제 역시 경제적 불평등에서 비롯하기보다 이질적이고 다원적인 외부인의 유입에 따른 동화와 차별에의 강박에서 비롯하는 문제일 수 있음을 다문화사회의 갈등양상을 통해 규명할 수 있다. 그런데 과거 한국의 역사에서도 귀화 외부인들이 정치 공동체로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자원분배의 기회를 획득해야 하는 권리와 책무의 이행을 요구받았으며, 이를 위해 내부인과 더불어 정치적 경합과정에 참여했다는 사실을 고려-조선에 이르는 역사-문화적 연원을 통해 찾았다. 또한 이러한 정치적 경합은 한국의 정체성이 다문화적 원천의 혼융에 의해서 형성되었다는 사실을 반증한다. 결국 현재 한국의 다원주의를 위협하는 도전 중하나의 사례로서 다문화사회의 갈등과 이에 따른 경제적 불평등의 문제는 역사적·문화적으로 다문화 요소를 융합하거나 우리의 문화적 표준에 따라 동화하는데 오랜 경험을 지닌 연원(genesis)이 우리의 코드로 새겨져 있으며 그 단서의 재현(represent)을 통해 치유될 수도 있다. This study articulate how to recognize and accept these values through historical-cultural genesis in multicultural discourses and behaviors. Korea enter the multicultural society now. From this, multicultural conflict becomes a part of xenophobia as social blowout. Koreans get fury. Why? Because koreans think they is treated as junior creditor in the process of redistribution of wealth. Does it still operate strong nationalism and homogeneous identity in koreans`s mind? or are koreans anti-libertarians alone? The clue of puzzle-resolving unexpectedly is articulated by intrinsic spirits and values of koreans. According to this, the problem of social inequality in Korea can be problem not from economic inequality but from obsession of assimilation and discrimination forward heterogeneous and plural foreigners. That is the critical point. Korean history show that naturalization policy in Korea and Choseon demanded the political competition for getting a chance to distribute resources in substance. In the context of history and culture, coercive political competition by state proved the fact that Korean identity spring not from monocultural genesis but from hybrid of multicultural elements. Finally therapy for multicultural conflicts as a threat to plurality in Korean society can be humanistic approach from representation of historical and cultural hybrid genesi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봉사>와 <악대> 속 언어적 긴장과 현실과의 경합: 17세기라는 보편과 특수의 역사적 접점에서 송시열의 정치적 삶

        윤대식 ( Youn Dae Shik ) 한국정치평론학회 2022 정치와 평론 Vol.31 No.-

        본 연구는 17세기 보편사의 흐름과 조선의 역사라는 일국사의 흐름이 교차하는 맥락에서 당대 조선의 가장 논쟁적이었던 인물, 송시열의 정치적 삶을 그의 말과 행위를 통해 확인하려는 것이다. 특히 효종과 송시열이 추진했다는 북벌론의 실재 여부와 함께 이를 세상에 알린 <기축봉사>, <정유봉사>와 <악대설화>에 표현된 송시열의 말이 현실 정치 지형의 수요와 경합하는 과정에서 효종과 일정한 긴장 관계를 형성했던 사실을 추출하는 것이다. 그것은 왜 송시열이 훗날 현종 때 복제 논쟁에서 효종의 왕통을 종통과 구별하여 정치적 위기를 자초했는지도 이해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하는 것이기도 하다. 더욱이 도학정치와 산림의 전통을 가장 분명하게 보여준 당사자로서 송시열이 붕당의 영수로서 17세기 조선의 정국에 직간접적인 참여와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그 의미가 긍정이었는지 부정이었는지, 그리고 후대까지 지속된 노론의 패권적 지위로 말미암아 현재 한국의 정치문화에 일정한 배경과 그늘로 재현되었음을 지적하려고 한다. This study aims to confirm Song Si-yeol’s political life through his words, writings, and actions, focusing on the most controversial character of Chosen at the time in the context of crossing over universal and particular history in 17<sup>th</sup> century. In particular, Song Si-yeol’s wordings can be extracted from < Gichukbongsa >, < Jeongyubongsa >, and < Akdae Seolhwa > caused a certain tension between King Hyojong and Song in the process of competing with the substances of the real politics. Why should we know that? Because it provides a basis for understanding the political crisis caused by distinguishing King Hyojong’s political legitimacy from genealogy of clan in the later King Hyeonjong’s Funeral Garments debate. Moreover the fact represented that Song Si-yeol was the leader of Political Partisans, directly and indirectly participated in and influenced Joseon’s real politics in the 17<sup>th</sup> century, bringing about Noron’s ascendancy that lasted until later generations whether positive or negative. Currently, Song Si-yeol acts as the background and shadow of Korean political culture.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묵자(墨子)의 정치적 이상상은 민주적인가?

        윤대식 ( Dae Shik Youn ) 비교민주주의연구센터 2008 비교민주주의연구 Vol.4 No.1

        일반적으로 묵자(墨子)의 사상은 유가의 종법질서를 비판하고 겸애와 교리에 기초한 평등한 공동체를 지향했다고 평가된다. 이로 인해 묵자를 동아시아에서 민주적인 정치교의의 고대적 원형으로 이해하기도 한다. 그러나 묵자의 정치적 이상상은 반유가적인 동시에 유가적이며, 평등주의적인 동시에 차별적인 질서관을 내포한다. 그것은 묵자 자신의 의도가 합리적 인간을 행위자로 하는 군주-신민의 호혜적 관계에 기초한 질서를 전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묵자의 정치적 이상상은 질서에 내재한 차별을 명확히 인지시켜 신민으로 하여금 공동체의 정의실현을 위한 규범적 행위자로 순응할 것을 요구한다. 그것은 명실론의 핵심내용이며, 묵자사상 이해의 전제이기도 하다. 즉 묵자의 겸애와 교리의 정치교의는 논변의 방식으로부터 공리적 유추의 결과이며, 유가와 동일한 질서의 합리적 근거를 진전시킨 것이다. 최종적으로 묵자의 정치적 이상상의 실현여부는 ‘누가 겸애와 교리를 먼저 이행해야 하는가’에 의해 결정되며, 그 해답은 현실군주이다. 결국 묵자의 겸애와 교리의 교의는 군주-신민의 차별적이고 계서적인 권력구조 내에서 공리(功利)를 공리(公利)로 전환시키는 합리적 운영원리로 제시된 것이다. 묵자의 이상상은 유가보다 더 복고적일 뿐이다. Mozi, who was a thinker and activist in ancient china, constituted a special political doctrine with universal love(chien ai) and mutual profits(chiao li). From this, people have evaluated Mozi as the first deomcratic supporter in the context of East Asia. But in the light of political vision, Mozi`s aim was recovering confucian order which called Zhou li. Mozi`s political vision was the well-ordered society based on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prince and subjects with duty. The premise for achieving Mozi`s vision was logic with clear concepts. Mozi`s political doctrine with universal love and mutual profits was the logical conclusion by induction and deduction. Therefore Mozi`s political doctrine only had more advanced rationality than Confucius` and had more retrogressive factors than Confucius`.

      • KCI등재

        조선 실학의 중국실학사상 수용과 주체적 변용과정

        윤대식(Youn Dae Shik)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07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6 No.1

        중국실학은 이민족의 통치로 인한 인식론적 성찰로부터 발생했다. 그 대표자로서 고염무는 삼대의 정치와 왕자의 출현을 기대하는 동시에 현실군주의 정치적 역량으로 체제의 공고성을 확보하기 위한 제도적 개혁을 요구했다. 이 점에서 동시대의 유형원으로부터 시작되는 조선실학은 중국실학의 인식론과 실천론적 대안을 공유한다. 17세기 동아시아의 변동과정에서 수평 이동했던 정치적, 인식론적 대안들 중 무엇을 공유하고 무엇을 달리하는 것일까? 조선실학의 정치적 이상상은 왕정실현이라는 목표를 담고 있으며, 주례적 질서로의 복귀라는 중국실학의 정치적 의도와 목표를 공유한다. 하지만 조선실학자들은 동시대의 중국실학이 제시하는 개혁론의 출발점과 과정에서 차별성을 지닌다. 즉 조선실학자들은 성공했던 조선의 원형적인 통치기제를 회복하려는 의도를 목표로 했던 반면 실현 불가능한 중국의 정치적 규준과 이상을 추구한 것이 아니었다. 또한 그것은 진보적이고 근대적이어서 또한 조선에서 수용할 수 없는 정치적 규준과 이상도 아니었다. 그것은 기존의 통치기제가 가졌던 장점과 순기능, 즉 합리성을 다시 회복하겠다는 자신의 시대적 요구에 충실한 반응이었을 뿐이다. Chinese shixue originated from the epistemological reflection in the reign of manchurian dynasty. Gu Yanwu, who was a founder of Chinese shixue and a author of Rizhi lu, expected revival of Three Dynasty and Benevolent Ruler and demand the institutional revolution for consolidating political ability of prince in real politics. From this, Chosun shil-hak and Chinese shixue came together their epistemological alternative and praxis. What were those? The political vision of Chosum shil-hak and Chinses shixue oriented toward Benevolent Government and revival of Zhou-li order. But Chosun shil-hak had a different proto-type. That was regime of Kyungkuktaejon. Therefore Chosun shil-hak corresponded with demands of those days to revive the rationality of ruling mechanism which was successful in the past.

      • KCI등재후보

        선진 유가와 법가의 왕패론에 내재한 정치적 의무의 기제

        윤대식(Youn Dae Shik)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08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상앙의 법치주의와 맹자의 왕도주의를 정립-반정립의 정치교의로 설정하고, 양자의 정치교의에 내포된 정치적 의도에 초점을 맞추어 군주-신민 간 정치적 의무의 인지와 이행을 위한 합리적인 통치기제의 구축을 목표로 했던 동일한 논리임을 밝히는 것이다. 상앙의 법치주의와 맹자의 왕도주의는 현재를 무질서와 혼란으로 규정하고, 역사의 법칙성을 변환과 순환으로 파악한다. 이를 위해서 양자는 새로운 인간형으로서 법제와 도덕에 의해 규범화된 합리적 인간을 상정한다. 또한 상앙의 법치와 맹자의 왕정은 군주-신민 간 관계의 당위성을 보장하는 안전장치로 법제와 천명이라는 익숙한 정치적 기제를 이용하고, 새로운 군주-신민 관계를 법제와 도덕적 완성이라는 새로운 의무의 기제로 합리화한다. 그것은 군주-신민 간 정치적 의무를 생존보장과 농전의 종사라는 실천기제로 규범화함으로써 군주의 시혜-신민의 보상이라는 호혜성에 기초한 쌍무성을 결과한다. 최종적으로 상앙의 법치와 맹자의 왕정은 더 이상의 교화가 필요 없는 질서정연한 왕천하를 지향한다. 결국 선진유가와 선진법가의 정치교의로서 왕도주의와 법치주의는 법과 도덕이 절충되고 겸전된 합리적 통치기제의 구축을 위한 단서이다.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make clear the heuristics of political obligation in ancient chinese Fachian and Confucian political doctrines. Shang Yang and Mencius had the same logic and political vision. Both had only the methodogical difference. Shang Yang and Mencius departed from their view of history oriented change and circling in real world. And both recognized that men had egoistic or good nature empirically or psychologically. These were the premises guaranteed their legalism by Shang Yang and kingly government by Mencius. From these, Shang Yang and Menciusthe could set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prince and subject who performed their own political obligation spontaneously. Therefore Shang Yang and Mencius moralized the working and war as the current issue through duty of agricultural farming and following the army of the subjects. If the ruling by Pa symbolized as a legislative system obtained prevailing values in their own times, the ruling by Wang symbolized as a moral cultivation system also would be an intention which obtain prevailing values about typology of moral cultivation. So it is, which was the good choice? The answer is the fusion of Fachian legalism and Confucian kingly government as the rational heuristic of gover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