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문 : Z-force 터치 제스처 정의 및 사용자 선호 유형

        유훈식(주저자) ( Hoon Sik Yoo ),정소연(공저자) ( So Yon Jeong ),김기덕(공저자) ( Ki Duk Kim ),주다영(교신저자) ( Da Young Ju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5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4 No.3

        Z-force는 터치 기반 디바이스에서 X축과 Y축을 넘어 압력을 인식하는 터치 제스처 입력 방식이다. Z-force와 관련된 연구와 실제 적용 사례들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 연구는 Z-force 터치 제스처 입력 방식을 정의하고 그 중에서 유용한 입력 방식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수행을 위해 기존 연구를 기반으로 Z-force 터치 제스처 입력 방식을 정의하기 위한 구조를 제안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총 29가지의 Z-force 터치 제스처 입력 방식을 정의하였다. 유용한 입력 방식을 도출하기 위해서 29가지 입력 방식에 대한 사용자 조사를 수행하여 ``strong touch``와 ``strong longpress``가 가장 활용 가능성이 높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활용 가능성이 낮은 입력 방식도 함께 정의하였다. 이 연구는 기술 개발 관점이 아니라 사용자 경험의 관점에서 Z-force를 활용을 위한 터치 제스처 유형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다는 점에 큰 의의를 가진다. Z-force refers to input interaction method that recognizes beyond X and Y-axis on the touch screen device. Z-force-related researches and practical applications are on the rise. In this paper, we conduct the research on Z-force touch gesture to provide more emotional and natural experience of input interaction. This study aims to suggest useful touch gestures that can utilize Z-force interaction. We propose a total of 29 touch gestures that bases on eight touch types and steps of pressure that has been defined in the previous studies. As a result of the paper, ``strong touch`` and ``strong long press`` are the most convenient form of interaction among 29 defined gestures. This research is significance because it defines useful Z-force touch gestures from the user’s perspective.

      • KCI등재

        논문 : 스마트카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경험 디자인 가이드라인

        유훈식 ( Hoon Sik Yoo ),주다영 ( Da Young Ju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6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5 No.1

        통신 기술의 발달, 지능형교통체계(ITS: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의 확산으로 자동차는 단순한 기계장치에서 종합편의 기능을 가진 제2의 생활 공간으로 변모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인터페이스로써의 역할을 하는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다. 탑승자들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영역이 확장됨에 따라 스마트카 기반의 사용자 경험(UX: User Experience) 연구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 연구는 스마트카의 사용자 경험 요소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수행을 위해 기존 연구를 기반으로 스마트카의 사용자 경험 요소를 기능(function), 상호작용(interaction), 표면(surface)으로 정의하였으며, UX/UI 전문가들의 논의를 통해 각 요소 별로 8개의 대표 기술, 14개의 대표 기능, 8개의 유리창의 위치를 정의하였다. 이 후 100명의 운전자를 대상으로 정의된 스마트카 사용자 경험 요소들에 대한 우선순위를 설문조사 방식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사용자들은 차량에 주요 기술을 적용함에 있어서 안전, 주행, 감성의 순으로, 조작 방식에 있어서는 음성인식, 터치, 제스처, 물리적 버튼, 아이트레킹의 순으로, 디스플레이 위치에 대해서는 운전석을 중심으로 전방에서 후방으로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성별에 따른 분석에 있어서는 2개의 기능 외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남성과 여성에 대한 가이드가 공통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Due to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expansion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ITS), the car is changing from a simple mechanical device to second living space which has comprehensive convenience function and is evolved into the platformwhich is playing as an interface for this role. As the interface area to provide various information to the passenger is being expanded, the research importance about smart car based user experience is rising. This study has a research objective to propose the guidelines regarding the smart car user experience elements.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smart car user experience elements were defined as function, interaction, and surface and through the discussions of UX/UI experts, 8 representative techniques, 14 representative techniques, and 8 locations of the glass windows were specified for each element. Following, the smart car users’ priorities of the experience elements, which were defined through targeting 100 drivers, were analyzed in the form of questionnaire survey.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users’ priorities in applying the main techniques were in the order of safety, distance, and sensibility. The priorities of the production method were in the order of voice recognition, touch, gesture, physical button, and eye tracking. Furthermore, regarding the glass window locations, users prioritized the front of the driver’s seat to the back.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analysis on gend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except for two functions. Therefore this showed that the guidelines of male and female can be commonly applied. Through user requirement analysis about individual elements, this study provides the guides about the requirement in each element to be applied to commercialized product with priority.

      • KCI등재

        서비스 혁신을 위한 감각 중심의 디자인 접근법

        유훈식 ( Hoon Sik Yoo ),반영환 ( Young Hwan Pan ),주다영 ( Da Young Ju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4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3 No.6

        디자인을 통한 서비스 혁신에 대한 기대감 또한 높아지면서 서비스 디자인을 통해 의료 서비스, 교육 서비스, 관광 서비스, 공공 서비스 등을 혁신한 사례들이 등장하고 있다. 디자인을 통한 서비스 혁신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라 서비스 혁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디자인 관점의 연구들 역시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디자인을 통한 서비스 혁신을 위해서 감각이 가지고 있는 잠재적인 가치를 새롭게 조명하고 실제적인 디자인 연구 수행을 위한 방법론들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최근 고객의 감각을 자극할 수 있는 요소를 활용하여 서비스 경쟁력을 강화한 사례들이 나타나고 있기는 하지만 이와 관련된 개념이 정립되지 못하였고 실제적인 디자인 수행 방법 또한 구체화되지 못한 상황이다. 서비스 혁신을 위한 감각 중심의 디자인 접근법은 감각 중심으로 서비스를 혁신하는 새로운 관점에 대한 개념을 정립함과 동시에 이를 실제적으로 수행 가능하도록 하는 체계화된 방법론을 함께 제안한다. 연구에서 제안된 감각 경험 조사 방법론의 검증을 위해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고 참가자들의 피드백을 받아서 실용화를 위해 개선사항을 도출하였다. As the expectation on the service innovation through design is increasing, cases which have innovated the service targeting the medical service, educational service, tourism service and public service through service design is emerging. This study has a purpose of proposing methodologies for conducting actual design studies by newly spotlighting the potential value have by the sense in order to innovate the service through design. Although there has been a recent appearance of cases which have strengthened the competitiveness of service utilizing the elements that can stimulate the senses of the customer, but the concept related to this was not established and also the actual design implementation method was not materialized. The sensors-centered design approach for service innovation establishes the concept on the new perspectives that innovate the service centered on senses and at the same time proposes a systematic methodology that enables the actual implementation. The sensors-centered design approach becomes materialized through investigation methodology on the sensual experience felt by the customer through the service and through the idea workshop methodology centered on senses that can derive the service concept centered on new senses.

      • KCI등재

        감각 중심의 컨셉 도출을 위한 아이디어 워크숍 방법론

        유훈식 ( Hoon Sik Yoo ),반영환 ( Young Hwan Pan ),주다영 ( Da Young Ju ) 한국감성과학회 2014 감성과학 Vol.17 No.4

        산업의 중심이 제품에서 서비스로 이동하면서 보다 경쟁력을 갖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업들의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 고객의 감각을 자극할 수 있는 요소를 활용하여 서비스 경쟁력을 강화한 사례들이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감각을 자극할 수 있는 서비스 컨셉 도출을 위한 디자인 관점의 방법론과 관련된 연구는 찾기 쉽지 않다. 이 연구는 디자인을 통한 서비스 혁신을 위해서 감각이 가지고 있는 잠재적인 가치를 새롭게 조명하고 감각 중심의 제품·서비스 컨셉 도출을 위한 워크숍 방법론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수행을 위해서 기존의 아이디어 워크숍과 감각 중심의 제품·서비스 혁신사례 및 감각의 가치와 관련된 문헌자료를 조사하였으며, 기존의 아이디어 워크숍 방법론에 감각의 관점을 정립한 방법론을 체계화 하였다. 정립한 방법론의 검증을 위해서 수행된 사례연구를 통해서 워크숍 방법론에서 수정 및 보완되어야 하는 요소들을 추출하였다. 연구의 결과 제안된 감각 중심의 아이디어 워크숍 방법론에 대한 유용성을 검증할 수 있었고, 개선방향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감각에 대한 새로운 관점의 접근법을 제안한 것에 가장 큰 의의를 둘 수 있으며 또한 이러한 접근을 위한 구체적인 아이디어 워크숍 방법론을 제안하고 검증한 것에 의의를 둘 수 있다. Corporations continue to make a lot of efforts to provide more competitive services as the focus of industry is migrating from products to services. This study aims to shed new light on the potential values of the sense for service innovation through design and propose the workshop methodology for deriving sense-based product and service concepts. To this e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iteratures related to the product and service innovation cases based on the conventional idea workshop and sense and also the value of sense. Moreover, it systematized the methodology that established the perspective of sense to the conventional idea workshop methodology. To verify the established methodology, this study extracted the elements to be modified and supplemented from the workshop methodology through the previous case studie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possible to verify the validity as to the sense-based idea workshop methodology and reflect the opinions as to the improvement direction. Consequently, this study is regarded meaningful for proposing the approach of a new perspective as to the sense. Also, this study is deemed meaningful for proposing and verifying the specific idea workshop methodology for the approach hereof.

      • KCI등재SCOPUS
      • 유기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젤리 인터랙션 디자인

        유훈식(Hoon-sik Yoo),주다영(Da-young Ju) 한국HCI학회 2016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1

        최근 새로운 입력 방식과 출력 방식의 가치를 발굴하는 Organic User Interface(OUI)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OUI 를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 기기를 구성하는 재질은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이 연구는 젤리와 같이 부드럽고 탄력적인 소재를 손에 들고 다닐 수 있는 스마트 디바이스에 적용했을 때 활용가능한 조작 방식을 정의하고 이에 대한 정성적인 사용자 요구사항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기존의 연구들을 기반으로 elastic handheld device 로 활용 가능한 23 가지 제스처를 정의하였으며, 20 대, 30 대 그룹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인터뷰 수행을 통하여 elastic handheld device 의 사용자 경험과 관련하여 선호하는 입력 방식, 선호하지 않는 입력 방식, 사이즈, 강도, 재질 등과 관련한 이슈에 대한 의견들을 분석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새로운 재질을 통한 인터랙션이 가지는 사용자 경험의 가치를 발굴했다는 점에 가장 큰 의의를 둔다. Recently, various researches are being executed about Organic User Interface (OUI) to identify the values regarding new input and output methods. In order to effectively apply OUI, the material which composes the device is one of the highly important elements. This study has a research objective to define the applicable operation method when applying soft and elastic materials like jelly to hand-handled smart devices and analyze related qualitative user requirements. Based on existing researches, 23 gestures were defined which could be applied as elastic handheld devices an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targeting 20’s and 30’s group. Through the interviews, opinions about various issues regarding preferred and not-preferred input methods which are related with elastic handheld device users’ experiences and related issues with size, strength and materials could be analyzed. This study has the biggest meaning to identify the user experience value of the interaction through new materials.

      • KCI등재

        화소 대 화소 매핑 기반 컴퓨터 집적 영상에서의 그래눌라 잡음 해석

        유훈,Yoo, Hoon 한국정보통신학회 2011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5 No.6

        This paper describes an analysis on the granular noise in pixel-to-pixel mapping-based computational integral imaging. The pixel mapping-based method provides a high-resolution reconstructed images and also its computational cost is very lower than the previous back-projection-based method. In this paper, a signal model for the pixel mapping-based method is introduced, which defines and analyzes the granular noise. Computer experiments provides the granular noise properties based on the proposed signal model. The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s that the granular noise pattern differs from that of the back-projection based method. The results is also utilized in the pixel mapping-based method. 본 논문은 화소 대 화소 매핑 기반 컴퓨터 집적 영상에서 발생하는 그래눌라 잡음에 대한 해석을 제시한다. 화소 매핑 기반 집적 영상 복원 방식은 고해상도의 영상을 제공할 뿐 아니라 이전의 역투사 방식보다 연산량이 작다. 본 논문에서는 화소 매핑 방식에 대한 신호 모델이 소개되고, 이를 통하여 그래눌라 잡음을 정의하고 해석한다. 제시된 신호 모델을 기반으로 잡음에 대한 특성을 분석한 컴퓨터 실험이 제공된다. 실험 결과는 기존의 역투사 방식의 그래눌라 잡음 발생 형태와 상이함을 보여주며 이는 또한 화소 매핑 방식에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컴퓨터 집적 영상 기술에서 픽업 모델 개선에 의한 복원 화질 개선 방법

        유훈,Yoo, Hoon 한국정보통신학회 2011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5 No.7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 픽업 모델에 대한 개선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컴퓨터 픽업은 레이 추적 모델에 입각한 핀홀 모델 방법을 사용한다. 비록 기존 방법이 매우 유용한 방법이지만 원거리에 위치한 물체를 픽업시 화질 열화가 발생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보다 정교한 픽업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픽업 모델은 실제 센서가 화소를 만들 때 입사하는 레이들을 누적하는 과정을 첨가함으로써 얻어지고, 구조적으로 에이리어싱 현상에 더 강인하다. 제안된 방법을 입증하기 위해서 컴퓨터 실험을 진행했고 그 결과는 제안된 방법이 기존 방법보다 우수함을 입증했다. This paper describes an enhancement method for a computational pickup model. The conventional computational pickup model utilizes the ray-trace model and the pinhole model. The conventional model is very useful, however, it suffers from quality degradation of reconstructed images at long distances. To overcome the problem, we propose an accurate pickup model. The proposed model includes integration of the rays incoming to a sensor that generates a pixel, resulting in robustness on the Aliasing artifact. To show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experimental results are carried out.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oposed method is superior to the conventional method.

      • KCI등재

        디모자익킹 기술 개발을 위한 신규 맥매스터 영상 데이터에 대한 해석

        유훈,Yoo, Hoon 한국정보통신학회 2012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6 No.2

        본 논문에서는 디모자익킹 기술 개발에서 신규 맥매스터 영상 데이터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고 그에 따른 해석 결과를 제공한다. 디모자익킹 기술 개발을 위해서 사용되는 실험 영상으로 현재까지 가장 알려져 있는 데이터는 코닥 영상이다. 하지만 최근 신규 영상 데이터가 개발됨으로써 이전과는 다른 디모자익킹 실험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코닥 영상과 맥매스터 영상에 대한 통계적 특성을 실험, 분석 하고 비교함으로써 신규 실험 영상이 어떤 특징을 갖는지에 대해서 해석한다. 또한 실험 결과와 해석은 맥매스터 영상이 디모자익킹 기술 개발에 실험 영상으로써 가치가 있음을 보여주며, 향후 개발될 디모자익킹 기술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describes experimental results and their analysis on the new test images, called as the McMaster image dataset, to develop demosaicking techniques. The well-known image dataset for demosaicking is so far the Kodak image dataset. However, different results have been reported, as the new image dataset is engaged in developing demosaicking techniques. Thus, we conduct a series of experiments on both the McMaster dataset and the Kodak dataset; we analyze and compare those experimental results; and we provide the peculiar features of the new dataset. Also, the experimental results and their analysis indicate that the McMaster dataset deserves to be a test image dataset for future demosaicking techniques; thus, we expect they can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demosaicking.

      • KCI등재

        합성 촬영 집적 영상의 신호 모델 해석 방법

        유훈,Yoo, Hoon 한국정보통신학회 2010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4 No.11

        합성 촬영 집적 영상 (synthetic aperture integral imaging; SAII) 기술은 하나의 카메라를 이동하여 3D 물체에 대한 다시점 영상을 획득하여 깊이 정보의 3D 영상을 복원이 가능한 기술이다. 이 방법은 크게 3D 물체의 요소 영상을 픽업하는 과정과 픽업된 요소 영상을 이용하여 컴퓨터 기반으로 3D 깊이 영상들을 복원하는 두 과정으로 나눈다. 본 논문에서는 이 SAII에 대한 신호 모델을 설명하고, 이를 통하여 발생하는 잡음을 정의하고 해석하였다. SAII에 대한 신호해석을 통하여 다시점 영상을 얻기 위한 카메라 이동 거리를 줄임으로써 영상 잡음감소와 계산 속도 개선을 동시에 얻을 수 있음을 보고한다. SAII (synthetic aperture integral imaging) is a useful technique to record many multi view images of 3D objects by using a moving camera and to reconstruct 3D depth images from the recorded multiviews. This is largely composed of two processes. A pickup process provides elemental images of 3D objects and a reconstruction process generates 3D depth images computationally. In this paper, a signal model for SAII is presented. We defined the granular noise and analyzed its characteristics. Our signal model revealed that we could reduce the noise in the reconstructed images and increase the computational speed by reducing the shifting distance of a single came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