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천식 마우스 모델에서 Lipopolysaccharide 흡입 투여와 알레르기 염증 반응과의 관계

        유혜영,김진만,이재호 대한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 2007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Vol.17 No.3

        목 적 : CD14는 체내에서 LPS에 대한 염증 반응을 매개하는 주요한 인자이다. LPS가 알레르기 염증 반응에서 호중구의 증가와 알레르기 염증 반응의 악화를 초래한다고 추측되고 있으나 여기에 관여하는 CD14의 역할은 알려지지 않았다. 천식 모델의 마우스에게 LPS를 노출시킨 후 폐포 세포에 발현하는 mCD14이 천식 폐의 염증 반응에 나타나는 영향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방 법 : 천식군과 정상군 각각 20마리의 BALB/ c 마우스를 대상으로 기관 내로 생리 식염수 또는 LPS를 투여하여 각 군의 마우스에서 시간에 따른 염증 반응의 변화를 보기 위해 폐포 세척액과 폐 조직을 얻어 사이토카인 농도(IL-4, IL-10, TNF-α, IFN-γ)와 CD14 양성 세포의 발현율을 조사하였다. 결 과 : LPS 투여 후 CD14 양성 세포가 모두 천식/LPS 투여군에서 의미 있게 증가 하였고(35.38±12.5 vs. 63.55±24.1 cell/HPF, P<0.05), 호중구는 천식/LPS 투여군에서 투여 6시간에 최고치를 보였다. LPS 투여 후 24시간에 IFN-γ의 농도도 역시 의미 있게 증가하였다(515.13±12.5 vs. 62.82±23.7, P<0.05). 결 론 : 기도 내의 mCD14는 폐포 조직의 염증 반응 매개체로서 알레르기 염증반응의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며, 기관지 천식 폐의 LPS 노출에 의한 Th1 면역 반응의 증가는 CD14 의 증가와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CD14 is a major factor that mediate the inflammatory response upon lipopolysaccharides (LPS) in vivo. Although it is considered that LPS increases neutrophils upon allergic inflammation and induces aggravation of allergic immune response, there is no explicit study on the role of CD14.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membrane-bound CD14 (mCD14), appears on the lung tissue after exposing LPS to asthmatic mice upon inflammatory response of asthmatic lung. Methods : Twenty mice with athme and 20 control mice were challenged via intratracheally, with saline and LPS, respectively. Bronchoalveolar lavage (BAL) fluid was collected 0, 6 and 12 hours after challenger. BAL fluid was analyzed for total and differential cell counts and soluble markers (IL-4, IL-10, TNF-α and IFN-γ). Immunohistochemistry for confocal localization of CD14 in the lung specimens was used to analyze mCD14 expression. Results : Asthmatic lungs demonstrated significantly lower levels of mCD14 expression than controls before intratracheal challenge with LPS (35.38±12.5 vs. 63.55±24.1 cell/HPF, P<0.05). LPS-induced PMN responses reach the peak 6 hours after LPS in the asthma group and was correlated with mCD14 expression. The level of Interferon-γ was markedly increased at 24 hours after intratracheal challenge of LPS in asthma group (515.13±12.5 vs. 62.82±23.7, P<0.05). Conclusion : mCD14 of inside airway is expected to act an important role on controlling allergic inflammation as a mediator of allergic immune cascades of lung. And it is also believed that the increase of Th1 response by LPS exposing on asthmatic airway is related with the increase of CD14.

      • KCI등재

        說文解字 部首의 字體變遷 硏究 - 小篆에서 楷書로의 변이자소를 중심으로 -

        유혜영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5 漢字 漢文敎育 Vol.36 No.-

        This report is to solve the confusion of the shape and semantics of Chinese Characters that derived from misunderstandings on original meanings of the transformed character elements. This report also analysed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of the segments of Chinese Characters through researching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of the script and established the transformation phenomenon and the basic rule shown on the square-hand writing(script) that we are using currently. This report can contribute by providing effectiv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using the product of this analysis. Mr. Huhjin, a famous linguist studying Chinese character focusing on character shape during the Han dynasty, suggested the theory of the Six calligraphic styles of Chinese characters analysing the structure and shape(type) focused on the character shape of the small seal character in the explanation of Chinese character segments. However, after that, the Chinese character has big change in character shape experiencing the process from the simplified square hand writing to the square hand writing. By means of the six calligraphic styles of Chinese characters one can basically find out the transformation of the segment and its regularity appeared in the transformation process. One should have the ability to analyse the segment structuring the character shape referring to the script change with the time to find out the character shape. Because the Chinese character using currently is the script experienced the process of transforming from the seal character to the simplified square-hand writing(script), its gap between old character system is so big that the confusion on the teaching area is not small. As shown on the above, because the base time standard is different between the publishers the common denomination to understand and interpret the character shape and etymology that confuses the learners and arising educational problem is therefore not simple. Solving those problems suggested and providing efficient teaching on the character shape require us to explain basic Chinese character in character element and make the table of character elements. Also, solving semantic confusion derived from too many variations of character elements is urgent. This paper analyses the regularity of character elements and the structure of Chinese characters focusing on two cases. One case is that more than two character elements going into single one and the other is a character element separating into more than two different ones. This paper suggests more systematic and scientific educational method on Chinese character through understanding the regularity of the Chinese character elements and the structure of the Chinese characters. 본고는 효과적인 한자교육을 위하여 한자의 字體 변천과정에서 나타난 한자 字素의 변화 과정을 분석하고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한자 자형인 楷書에서 나타난 자소들의 변이현상과 기본 규율을 정리하고자 한다. 또한 그 연구 결과를 한자교육의 현장에 적용함으로써 變異 字素들의 本義를 파악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字形과 字義에 대한 혼란 해결을 그 목적으로 한다. 현재 中國에서 2001년부터 정책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漢字 敎育 방법인 構形學은 『說文解字』의 小篆 構形 체계를 시작으로 전통적인 육서의 주요한 정신을 받아들여 근본적으로 육서의 부족한 점을 보충하였다. 構形學은 구조 기능 분석법을 이용하여 한자의 本義를 설명하고 시대별 字體 변화에 따른 자형 구조상의 규칙을 찾으려는 현대 한자학 이론이다. 한자의 字體를 쉽게 이해할 수 있는 효율적인 한자 자형 분석 방법을 찾으려면 構形學을 적용하여 字素를 정확히 분석하는 것이 기초적인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構形學에서 기본으로 삼고 있는 『說文解字』는 小篆의 字形을 중심으로 한자의 구조와 형태를 분석하여 ‘六書說’을 제시했다. 하지만 그 후로 한자는 隸書와 楷書로의 변천 과정을 거치면서 자형에 많은 변화가 있었고 심지어 楷書 중의 獨體字에서는 字體가 서로 점합하여 더 이상 獨體象形字의 결합으로 볼 수 없는 경우도 나타났다. 이러한 자형 변화의 과정에서 나타난 자소의 변이와 그 규칙성을 찾아내기 위해서는 『說文解字』의 六書說을 기본적인 이론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또한 字形을 정확히 분석하기 위해서는 시대에 따른 한자의 字體 변화를 참고하여 字形을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를 분석해 낼 수 있어야 한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한자는 隸變의 과정을 겪은 뒤의 자형이므로 古文字 계통과의 자형상 괴리가 심하여 한자를 교육하는 현장에서 느끼게 되는 혼란이 적지 않다. 이러한 제반의 문제들을 보완하고 교육현장에서 효율적 字形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수많은 변이자소들로 인한 의미 파악의 혼란을 해결하는 것이 시급한 문제라고 생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