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의 갯녹음 실태 연구

        유혜민(Hyemin Yoo),박지연(Jiyeon Park),송예슬(Yeseul Song),이은정(Eunjeong Lee),강송이(Songyi Kang),김주효(Juhyo Kim),박민지(Minji Park),변유진(Yujin Byun),성희원(Huiwon Sung),오현경(Hyunkyoung Oh),윤화영(Hwayoung Yoon),이수현(Suhyeon L 성신여자대학교 한국지리연구소 2016 應用地理 Vol.- No.33

        최근 한국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갯녹음 현상, 즉 석회 성분의 해조류로 바다가 뒤덮이는 현상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관한 원인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며, 이 현상은 바다 환경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고 변화를 일으킨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행 연구 자료 검토와 분석을 토대로 갯녹음의 원인을 물리적, 화학적, 생태학적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또한 기사 및 논문을 토대로 2000년 이후부터의 갯녹음 피해 사례를 분석하였고, 대표적인 피해 사례는 마을 어장 면적의 축소 및 어획량 감소로 나타났다. 갯녹음 관련 정책을 알아보기 위하여 국내 기관 정책과 해외 정책, 특히 일본의 사례 및 국가 간 협력사례를 살펴보며 갯녹음 완화를 위한 방향에 대해 고찰하였다. The coralline flat phenomenon that ocean is covered by limy seaweed grows in the world as well as in korea. The cause of this phenomenon has not been determined yet. It is expected that it would affect and cause change of the ocean environment.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auses in terms of physical, chemical and ecological view by examining prospective studies. And damages of the coralline flat is analyzed with articles and theses published after 2000. The representative examples of damages are decrease of fisheries area and fish catch. To investigate policies of the phenomenon, this study examines domestic policies, overseas policies especially Japan and cooperation of asia countries. Through this study, the direction for relieving the phenomenon have been considered.

      • 미래 기후 변화에 따른 식생 연구

        위혜림(Hyerim Wi),김세영(Seyoung Kim),김호영(Hoyoung Kim),유하진(Hajin Yu),박지연(Jiyeon Park),송예슬(Yeseul Song),양아영(Ayoung Yang),유혜민(Hyemin Yoo) 성신여자대학교 한국지리연구소 2015 應用地理 Vol.- No.32

        전 세계적으로 지구 온난화로 인해 지구의 환경이 변화하고 있다. 이는 인간의 활동이 주된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결국 이러한 변화는 모든 생명체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고, 특히 식생에서의 큰 변화를 낳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앞서 발간된 여러 논문들을 바탕으로 기온과 강수량에 초점을 맞춰 세계와 한국의 기후 변화를 알아보고 식생의 분포 변화를 분석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졌다. 식생의 변화는 분포지가 점차 확대되고 있는 난대성 작물과 분포지가 점점 축소되고 있는 냉대성 작물의 대표적인 작물을 선택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난대성 작물에서는 대나무와 차나무, 냉대성 작물에서는 배추나무, 구상나무, 사과나무, 그리고 풍혈을 선정하여 각각의 작물 특성과 이에 따른 재배지의 변화를 예측하였다. The environment of the earth is changing globally because of the global warming. The basic cause of this phenomenon is human activities. It is expected that this change will eventually affect all living things, especially vegetation will be affected a lot by this change.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limate change of the world and the South Korea focusing on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based on preceding research data, and analyzed the change of vegetation distribution. It was proceeded by choosing some samples of flora of warm climate expanding its realm and some samples of flora of subarctic climate decreasing its realm. There are bamboo and tea plant in samples of warm climate and napa cabbage, Korean fir, apple trees and wind-hole in samples of subarctic climate. This study predicted the natures and changes of plantation of each samp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