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劉亨淑 한국일본근대학회 2006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12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study on the structure of destination im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destination image of Nagasaki prefecture through the tourism promotion video-CD. After literature review regarding image in general, destination image were examined. This study presents on comment of 58 university students about tourism video-CD by a KJ method. It revealed that affects generated by the tourism video-CD had direct effects on the cognitive evaluation of the destination image. Also, it showed meaningful relationship with cognitive image and affective image. In order to get visiting intention about destination image, it has to carry on positive image of destination image. Further studies done on a large scale and type of information sources would be necessary.
유형숙,손경희,이정희 동북아관광학회 2018 동북아관광연구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discovering the cultural tourism contents from tales of woman divers living in Busan. We recorded personal life histories of 14 women divers from different districts in Busan. Busan was a bridgehead for women divers from Jeju to expand their work place in mainland. Therefore most recorded stories more or less is including tales of their settling in their present living places. We found that intangible cultural contents such as ‘the lyrics sung by women divers’ and their ‘folk beliefs’ are now fading away from Busan. Tangible cultural contents such as ‘Bulteok’ (a place for taking rest and warming body) also is not seen in Busan anymore. But we suggest to use the concept of ‘Bulteok’ tradition in the form of ‘changing room’ or ‘community center’ for women divers. Further more, we expect these facilities to carry out a role of places sharing their ‘stories’ with the public. Women divers in Bausn want direct sales of their products to the consumers, and distribution channels and shopping facilities for that. 본 연구는 부산지역 해녀를 활용한 문화관광 콘텐츠 발굴을 위한 질적 연구로, 부산지역의 해녀 14명을 대상으로 생애사를 채록하였다. 14명의 해녀들은 전·현직 해녀회장 및 해녀조직의 리더 역할을 수행하고 있고, 50년 이상 마을에서 살고 있으며, 어촌계와 지역 해녀들과의 관계를 중재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해녀문화 관련 콘텐츠 중에서 ‘해녀노래와 민속신앙’등의 무형 콘텐츠가 부산에서는 사라져 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형 콘텐츠인 ‘불턱’ 도 현재 부산에서는 그 모습을 찾아 볼 수 없는데, 과거의 불턱은 현재의 ‘해녀탈의실/해녀복지회관’등으로 변신 시켜서 해녀문화를 공유할 수 있는 공간으로 스토리화를 기대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부산해녀들은 본인들이 채취해온 수산물을 직접 소비자들에게 유통 시킬 수 있는 방법 및 수산물 판매센터 등을 필요로 하고 있었다. 과거 부산지역에는 해남(海男)이 존재 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으며, 그들은 해조류(천초, 도박)와 담치 등을 주로 채취하였다고 한다. 부산지역은 해녀문화콘텐츠로 발굴이 필요한 영역이 다수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향후 해녀를 대상으로 음악, 공연, 출판을 비롯하여, 교육, 체험, 음식, 캐릭터 산업 등의 관련 분야로 확장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호텔경영에 있어서의 유니버셜 디자인의 도입에 관한 연구 -부산지역 호텔의 『편의시설』 접근성 기준을 중심으로-
유형숙 한국일본근대학회 2009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23
普遍的なデザインとしていわれるユニバ-サルデザイン, universal designは、"年齡や能力に關係なく全ての人人が最大に使用し易いように作られた製品や環境に對するデザイン"として定義される。ユニバ-サルデザインはバリアフリ-, barrier freeの槪念から發展された槪念であり、障害者專用で作られ他の人人が使用できないという限界点を克服し、全ての人人のためであるデザインとしてユニバ-サルデザインが最近注目を浴びている。また、ユニバ-サル的な環境整備は個個の地自體や企業などにとってはその對應策を準備しなくてはいけない重要でなお緊急な課題である。日本では、從來の「ハ―トビル法」, 舊建設省と「交通バリアフリ―法」, 舊運輸省を融合させ、町全體を誰にとっても暮らしやすく變化していくのがユニバ-サルデザインの趣旨である。本硏究では、ホテル經營においてユニバ-サルデザイン的な要素を『障害者·老人·妊産婦等の便宜增進保障に關する法律, 1997施行』に根据し、觀光宿泊業である釜山地域の特1級ホテルの``便宜施設``へユニバ-サルデザインの槪念を用いた探索的な硏究である。本硏究の硏究目的は、一つ、ユニバ-サルデザインの定義から、國內·外のユニバ-サルデザイン關連法律を究明する。二つ、釜山地域特1級ホテルの``便宜施設``の實態を調査する。三つ、ホテル産業におけるユニバ-サルデザインのガイドラインを提示することである。
유형숙 대한의료정보학회 2003 Healthcare Informatics Research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clinical nursing process model through linked nursing diagnoses, related factors, defining characteristics, nursing interventions, nursing activities and nursing outcomes and was to make graphic user interface using the clinical nursing process model. The linked clinical record sets in the developed database system were arranged in reverse order statistically in order to make the clinical nursing process model from the patients' database tables concerning nursing diagnoses, related factors, defining characteristics, nursing interventions, nursing activities and nursing outcomes. The arranged clinical nursing record sets were suggested as the nursing process model in a clinical unit.The most available clinical nursing process data were presented on only one graphic user interface window to be able to select nursing process easily for nurses in a clinical unit. Graphic user interface programming was designed to show all of related factors, defining characteristics, nursing interventions, nursing activities and nursing outcomes based on a nursing diagnosis which have the uniqueness. Using the clinical nursing process model in database system, it was also possible to construct the electronic nursing record system.
유형숙 한국웰니스학회 2015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0 No.1
본 연구는 일본인 대학생들이 선호하는 우리나라의 문화관광축제의 유형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Q방법론으로 접근하였다. 본 연 구에서는 1995년 이래 문화체육관광부가 선정하고 있는 ‘문화관광축제’ 를 대상으로, 한국관광공사에서 제작한 축제홍보물(가이드 북)을 활용하여, 문화관광축제에 관한 선호성향을 규명해보았다. 2013년 8월, 일본인 관광전공 대학생 29명을 P표본으로 선정하여, PQMethod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Q방법론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일본인 대학생들이 선호하고 있는 문화관광축제의 유형은 4가지(빛/불/특산품 지향성, 빛/불/음악 지향성, 역사/문화체험 지 향 성,빛/불/체험 지향성)로 관찰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about the types of Japanese college students preference propensity to ‘Korea festival, using the Q methodology. In this study, the 'Korea festival' and specifies that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since 1995, to take advantage of promotions Festival (guidebook) produced by the KTO(Korea Tourism Organization), looked out to the preference on 'Korea Festival'. August 2013 using PQMethod program, 29 people were selected Japanese collegs students in the p-sample, conducted a Q methodology. A type of Japanese college students who preference propensity of Korea festival was observed in four groups??as follows; ‘light/fire/specialty orientation’, ‘light/fire/music orientation’, ‘historical/cultural orientation’, and ‘light/fire/experience orientation’.
유형숙,이수분,이정희 한국일본근대학회 2014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46
본 연구는 관광산업의 중요성으로 인해 2000년대에 특화된 한국과 일본의 관광관련 학과 대학생들의 진로적응성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의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D대학교(255명)와 일본의 동경지역과 오사카지역의 4개 대학교(210명) 에서 편의 추출법을 이용하여 진로적응성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관광관련 학과 대학생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진로적응성이 높고, 4학년이 3학년보다 진로적응성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하위요인별로 구체적으로 보면 남학생이 진로적응성의 하위요인 중 책임감, 목표의식, 창의성, 개방성 요인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4학년이 3학년에 비해 대인관계, 개방성, 주도성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일본 관광관련 학과 대학생은 성별, 학년에 따라 진로적응성이 차이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하위요인별로 보면,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창의성, 직무능력이 높고, 4학년이 3학년보다 긍정적 태도가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국적에 따른 진로적응성의 차이를 보면 전체 진로적응성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으나 책임감과 긍정적 태도는 일본이 높고, 주도성, 직무내용은 한국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하위요인의 차이는 일본 대학생들이 자신의 맡은 일에 대한 책임감이 높아 주어진 과제를 적절히 처리할 수 있고, 진로와 관련된 상황이나 자신에 대해서 긍정적인 태도를 가진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반면, 한국 관광 관련 학과의 대학생들은 대학에서 수강하는 교과목에서부터 진로와 관련된 실제적인 교과목 및 현장 실습 등을 접하게 되기 때문에 전공과 관련된 직무내용을 비교적 높게 인지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career adaptability Korean and Japanese tourism related university students. The questionnaire were given to 210 Korean University student and 255 Japanese university student enrolled in tourism department. The result showed that the scores of career adaptability of Korean male students was higher than Korean female students. And, The scores of career adaptability of Korean graduating seniors was higher than Korean third-year students. In Japanese Stude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cores of career adaptability of male and female student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cores of career adaptability of third-year students and graduating seniors. Finally,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cores of career adaptability of Korean student and Japanese student. However, in comparison specific factor, the scores of responsibility and positive attitude of Japanese students was higher than Korean students. And the scores of proactivity, job competence of Korean students was higher than Japanese students.
“해녀관광”에 관한 인지도, 이미지 및 기대가치의 비교분석
유형숙 동북아관광학회 2014 동북아관광연구 Vol.10 No.2
대학생과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부산광역시의 해녀관광에 관한 친숙도, 인지도, 이미지 및 기 대가치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해녀관광에 관한 4항목의 친숙도의 비교는, 대학생과 일반인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 났다. 일반인들이 대학생들에 비하여 해녀의 존재를 알고 있고, 해녀의 해산물 판매활동을 본적이 있으며, 구매한 적도 많았다. 둘째, 해녀에 관한 20항목의 인지도에 대한 두 그룹간의 차이도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나타 났다. 일반인들이 대학생들보다 해녀에 관해서 잘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해녀에 관한 30개의 이미지 측정 항목 중, 10개의 이미지 측정 항목이 일반인과 대학생 간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일반인들이 대학생들에 비하여 해녀에 대하여 좀 더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유추된다. 넷째, 해녀문화를 관광자원화하여 활용하려하는 해녀관광에 관한 기대가치가 일반인의 경우 , 대학생들보다 상당히 높음으로 나타났다. 현재, 부산지역민들은 해녀관광에 대한 인지도가 부족하며, 해녀관광에 관한 관심 및 기대가 치를 느끼지 못하고 있다. 해녀를 관광자원화하여 관광상품으로 개발하기 위해서는 해녀관 광상품에 대한 수요를 창출하는 것이 급선무이다. 또한, 해녀에 대한 지역주민의 낮은 인지 도는 해녀관광상품에 대한 수요를 제한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우려가 있으므로 이를 해결하 기 위해서는 다양한 홍보활동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results of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urvey on familiarity, awareness, image and expected value on Haenyeo of Busan target at the college students and the ordinary people are the followings. First, the comparison among 4 items, the degree of familiarity, about Haenyeo was shown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The ordinary people acknowledged the existence of Haenyeo more than the college students and they have seen their sales activities of seafood and have bought their seafood a lot. Second, th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about 20 items, the degree of awareness, about Haenyeo were shown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college students did not acknowledge Haenyeo compared to the ordinary people. Third, 10 image measurement items among 30 image measurement ones about Haenyeo were shown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ollege students and the ordinary people. It was inferred that the ordinary people had more positive images about Haenyeo than the college students. Fourth, it was shown that the ordinary people had the expected value using Haenyeo culture as tourism resources much more highly than the college students. In order to develop the tourism products of Haenyeo as tourism resources, creating a demand about the tourism products of Haenyeo should be an urgent priority. Furthermore, as the residents' low awareness on Haenyeo could be the factor which restricts demands about the tourism products of Haenyeo, various public relations should be needed to resolve th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