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Study on Creating Shorts Images for Advercontents Using Generative AI

        유해영 (사)한국컴퓨터게임학회 2024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Vol.37 No.1

        The rapid evolution of digital media has significantly impacted advertising content, emphasizing the need for innovative and engaging visual content. This study explores the potential of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AI) in creating short images tailored for advercontent, aiming to bridge the gap between technological advancements and creative advertising needs.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study on how to create short images for advertising content using generative AI. In the modern media environment, the form and consumption method of advertising content is rapidly changing. In particular, the importance of short-form video and image content on social media and digital platforms is growing. Amid these changes, this study seeks to present a new methodology for creating effective advertising content using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The study first reviews the basic theory of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and key elements in advertising content production. Based on this, we create short image content using various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It demonstrates the potential of advertising content production using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and provides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future direction of media content production as well as the advertising industry.

      • KCI등재

        360° VR 프로토타입을 활용한 서비스디자인에 관한 연구 -주민자치형 공공서비스디자인 사례를 중심으로-

        유해영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9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7 No.11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amends the enforcement ordinance of the public service design method and applies it to the project tasks of each institution and cases of social problem solving and public service innovation are increasing according to service design methodology.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360° VR content element in order to deliver the understanding and effective improvement of the service to the consumers in the process of problem discovery and the prototype that visualize the key solution according to the service design methodology. By applying it to the actual public service design project, it was possible to predict the result with high satisfaction after improvement.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hat it proposes new approach and empirical value to consumers and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service design process as a convergence study on the future service design using the 360° VR prototype. 수요자 중심의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에 따른 사회적 문제 해결과 공공서비스 혁신의 사례가 늘고 있는 가운데 행정안전부는 공공서비스디자인 기법의 시행령을 개정하여 각 기관별 사업 과제에 적용하고 있다. 본 논문은 서비스디자인방법론 과정과 프로토타입 단계에서 핵심 해결안을 360° VR 콘텐츠로 시각화하여 수요자에게 서비스에 관한 이해력과 효과적인 개선안을 전달할 수 있도록 연구하였고 실제 공공서비스디자인 프로젝트에 적용하여 개선 후 만족도가 높은 결과를 미리 예측해 볼 수 있었다. 본 논문은 수요자에게 새로운 경험적 가치를 주고 360° VR 프로토타입을 활용한 미래의 서비스디자인에 관한 융합연구로서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새로운 접근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360<sup>°</sup> VR 프로토타입을 활용한 서비스디자인에 관한 연구 -주민자치형 공공서비스디자인 사례를 중심으로-

        유해영,Yoo, Hye-Young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9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7 No.11

        수요자 중심의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에 따른 사회적 문제 해결과 공공서비스 혁신의 사례가 늘고 있는 가운데 행정안전부는 공공서비스디자인 기법의 시행령을 개정하여 각 기관별 사업 과제에 적용하고 있다. 본 논문은 서비스디자인방법론 과정과 프로토타입 단계에서 핵심 해결안을 $360^{\circ}$ VR 콘텐츠로 시각화하여 수요자에게 서비스에 관한 이해력과 효과적인 개선안을 전달할 수 있도록 연구하였고 실제 공공서비스디자인 프로젝트에 적용하여 개선 후 만족도가 높은 결과를 미리 예측해 볼 수 있었다. 본 논문은 수요자에게 새로운 경험적 가치를 주고 $360^{\circ}$ VR 프로토타입을 활용한 미래의 서비스디자인에 관한 융합연구로서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새로운 접근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amends the enforcement ordinance of the public service design method and applies it to the project tasks of each institution and cases of social problem solving and public service innovation are increasing according to service design methodology.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360^{\circ}$ VR content element in order to deliver the understanding and effective improvement of the service to the consumers in the process of problem discovery and the prototype that visualize the key solution according to the service design methodology. By applying it to the actual public service design project, it was possible to predict the result with high satisfaction after improvement.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hat it proposes new approach and empirical value to consumers and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service design process as a convergence study on the future service design using the $360^{\circ}$ VR prototype.

      • KCI등재

        초고령화 시대 서비스디자인방법론을 활용한 시니어학교 브랜딩 및 서비스 제안

        유해영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2020 디지털예술공학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4

        Currently, Korea's population is rapidly aging, and the decrease in the labor force due to early retirement is expected to continue to increase. These social phenomena have led to increased interest in new occupational groups, adaptation training, and learning opportunities to reproduce the elderly workforce. This study is the result of conducting a social innovation service design in which a re-going school established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re-education and social participation in this ultra-aging era is designed from a consumer's perspective to a policy that reflects the needs of the consumer. Following the steps of problem identification according to the service design process of the Gov3.0 Design Group, consumers' perceptions as the subject of the local community changed and the effect of customized policy design was shown. It is significant as an example in which policy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are increased, public-private communication participates in policies through re-branding and service improvement strategies. 현재 한국은 인구의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조기 은퇴에 따른 노동 인력의 감소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사회적 현상은 새로운 직업군과 적응 훈련, 그리고 고령 노동 인력을 재생산할 수 있는 학습 기회의 관심이 높아지는 계기가 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초고령화 시대에 생애 전화기 주체로서의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재교육 및 사회적 참여 기회를 마련하기 위해 설립된 다시 가는 학교를 수요자의 관점에서 수요자 니즈를 반영한 정책으로 디자인하는 사회혁신 서비스디자인을 수행한 결과이다. 국민디자인단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에 따라 문제 파악과 문제 해결의 단계를 거치면서 지역사회의 주체로서의 수요자의 인식 변화와 맞춤형 정책 디자인의 효과를 보였다. 리브랜딩과 서비스 개선 전략 수립으로 수요자 중심의 변화된 서비스 제안을 통해 정책 참여도와 만족도가 높아지고 민관이 소통하고 국민이 정책에 참여하는 사례로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국립중앙과학관 사용자 중심 전시 공간 개선을 위한 연구

        유해영,안태범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2021 디지털예술공학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2

        After the corona pandemic, social demands for changing the perception of space and expanding functions that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people are increasing and the need to transform the science museum into a science complex cultural space where various citizens can visit, enjoy and communicate with science culture is emerging. This study is the result of operating the citizen policy design group of the national science museum in accordance with the service design method that repeats diffuse and convergent thinking based on the understanding and insight of consumers. As the people directly participated in the process, they suggested the direction and action plan for the service goals. It led to a meaningful result of thinking about user-centered-view from existing the policy provider-centered service establishment method.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verification system through the audience's experience and evaluation of the application of improvement and the results. 코로나 팬데믹 이후 국민의 삶의 질 제고에 기여하는 공간에 대한 인식 전환과 기능 확대에 관한 사회적 요구가 증대되고 있는 가운데 과학관 역시 다양한 시민이 방문하고 과학 문화를 즐기며 소통 할 수 있는 과학복합문화공간으로 변모를 위한 전시 공간 개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수요자의 이해와 통찰을 바탕으로 확산적 사고와 수렴적 사고를 반복하는 서비스디자인 방법에 따라 국립중앙과학관 국민디자인단을 운영한 결과이며 국민이 직접 과정에 참여하면서 수요자 중심의 실질적이고 필요한 전시 공간 개선을 위한 문제 제기 및 서비스 목표 방향과 실행 안을 제시하였다. 국민디자인단은 기존의 정책 공급자 중심의 과학관 전시 환경과 서비스 수립 방식에서 관람자 즉, 수요자 관점을 먼저 생각하고 개선 방향을 찾아가는 유의미한 결과를 이끌었다. 향후 개선방안 적용과 실행 결과에 관하여 관람객을 대상으로 경험과 평가의 과정을 통해 검증의 체계를 갖추어 가는 것이 필요한 과제라 하겠다.

      • 브랜드 어플리케이션의 수용과정 연구

        유해영,김형길 대한경영학회 2012 대한경영학회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Vol.2012 No.1

        본 연구는 Davis(1989)의 기술수용모델 (Technology Acceptance Model)을 근간으로 브랜드 어플리케이션의 지속적 사용의도와 광고태도, 브랜드태도,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속성 요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 문헌을 통하여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특성과 모바일 광고의 특성 중 브랜드 어플리케이션의 개념 및 제작 의도에 적합한 주요 속성인 정보성, 오락성, 체험적 특성, 상호작용성을 도출 하였고 스마트폰의 사용 빈도수가 높으며 브랜드 어플리케이션을 접 할 기회가 많은 대학생들을 주요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 KCI등재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반려식물 서비스디자인 제안

        유해영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2020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기술논문지 Vol.9 No.2

        As the time to stay in the indoor space increases due to corona prolongation, the amount of information the user wants to obtain is increasing in proportion to the rapid increase in demand for companion plants that give emotional stability. This study is based on the use of open data on indoor garden plants provided by the Ministry of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Rural Affairs and in accordance with the service design methodology of the British Design Council's double diamond model, service design was conducted in four stages: Discovery, Definition, Develop, and Deliver(Prototype).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even beginners who first grow companion plants can easily and usefully access necessary information utilizing the use of open data and by proposing a mobile application prototype that can use services applied with AR technology, it was intended to present the results for solving problems of users due to the spread of consumption of companion plants. 현재 코로나 장기화로 인해 실내 공간에 머무는 시간이 늘면서 식물을 키우기가 트렌트로 주목받으며 정서적 안정을 주는 반려 식물의 수요가 급증하는 것에 비례하여 사용자가 얻고자 하는 정보의 양도 늘고 있다. 반면에 실내용 식물관련 통합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농림축산식품부 포털에서 제공하는 실내 정원용 식물에 관한 공공데이터의 활용 방안과 영국 디자인 카운슬의 더블 다이아몬드 모형의 서비스디자인방법론에 따라 사용자 경험 관점으로 문제발견, 문제정의, 아이디어 도출, 프토로타입의 4단계로 서비스디자인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한 연구의 결과로 반려식물을 처음 키우는 초보자들도 식물 관련 필요한 정보를 쉽고 유용하게 접근하여 공공데이터의 이용도를 높일 수 있고 AR기술 등을 적용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프로토타입을 제안하여 궁극적으로 반려식물 소비 확산에 따른 사용자의 문제 해결을 위한 결과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함수형 언어의 인터프리팅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柳海永,李祥弼 단국대학교 1992 論文集 Vol.26 No.-

        In this paper, we presents a design for Functional Programming language, propose interpreting algorithm and implement using PASCAL language. A value processing in functional programming language restricts a number that is real number and integer, a basic operator(+, -, *, /) and a relational operator(=, <, >).

      • KCI등재

        자취생을 위한 위치 정보와 공공데이터 기반 어플리케이션 연구

        유해영,윤정빈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2022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기술논문지 Vol.11 No.1

        Future convergence talent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based on core competencies that can insight into daily and solve problems creatively and in order to apply new problem-solving methods,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and technical combination are required. This thesis is the result that is combining local project based learning activities with the service design process that is defining problems from the point of view of consumers and using ICT-based technology and visualization to solve them. The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including student with living alone is increasing every year, and as non-face-to-face communication continues for a long time, the feeling of isolation is getting wors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experienced by them in the local communit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problems centered on users and to present application prototypes based on open data and location based data. As a result of applying the service design process to the project based learning activity, it is expected that learners will more easily understand and perform the process of approaching and solving problems.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미래융합형 인재는 일상의 문제를 통찰하고 창의적인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핵심 역량이 기반이 되며 새로운 문제해결 방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다학제적인 접근과 기술적 결합이 요구된다. 본 논문은 지역사회기반 문제중심학습 활동을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와 접목하여 진행하고 수요자 관점에서 발견한 문제 정의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ICT기반의 기술 활용 및 시각화 과정의 결과이다. 자취생을 비롯한 1인 가구는 매년 늘고 있으며 비대면이 장기화됨에 따라 타 지역에서 생활하는 자취생들의 고립감은 더욱 심해지는 실정이다. 지역사회에서 자취생들이 겪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 중심으로 문제를 파악하고 공공데이터와 위치기반 오픈 데이터를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 프로토타입을 제시하는 과정을 연구하면서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를 문제중심학습 활동 과정에 적용한 결과 학습자가 문제에 대한 접근과 해결 과정을 보다 쉽게 이해하고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