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日帝强占期 古典唱劇 <金庾信> 檢閱臺本 硏究

        유춘동,김낙현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3 어문연구 Vol.51 No.2

        유춘동·김낙현, 2023, 일제강점기 고전창극 <김유신> 검열대본 연구, 어문연구, 198 : 315~328 이 글에서 검토한 것은 일제강점기 東一唱劇團에서 공연을 위해서, 사전에 조선총독부 경무국에 제출했던 古典唱劇 <김유신>의 검열 대본이다. 이 대본은 大東亞戰爭이 막바지에 이르렀던 1944년 11월에, 당시 연극계의 대표 극작가로 주목받았던 金健이 집필한 것이다. 한국 연극사에서 親日劇에 대한 연구는 공연 대본을 비롯한 관련 자료가 거의 남아 있지 않고, 여기에 참여했던 작가나 연출가가 내용 일체를 함구해 왔기 때문에 그동안의 연구는 제한적이었다. 창극 <김유신>은 1940년대 동일창극단에서, 음악과 무용을 가미한 소위, ‘신편 창극’이라 대내외적으로 홍보하며, 주요 레퍼토리로 공연되었던 작품이었다. 창극 <김유신>의 검열대본은 일제강점기 ‘친일극’의 실상을 보여주는 ‘공연대본’이자 ‘검열 대본’으로, 1944년 11월 6일에 당시 조선의 연극계의 핵심 기관인 조선연극문화협회를 통해서, 조선총독부에 제출되었다. 이 대본은 창극의 기획 의도, 창극 내용의 개관, 창극의 상세한 내용은 물론, 검열을 시행했던 조선총독부에서 이 창극에 대하여 어떠한 검열과 입장을 취했는지를 보여준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검열 대본의 실상을 살펴보았다.

      • KCI등재

        전단지(리플릿)를 통해 본 사라진 <춘향전> 공연 기록 아카이브의 복원 ― 화봉문고 소장본을 중심으로 ―

        유춘동,문순희 중앙어문학회 2024 어문논집 Vol.99 No.-

        The “leaflet” is still used as a useful advertising and promotional tool indispensable in the performing arts field. The “leaflet” made of a piece of paper is a light print that can be held and read in the hand, giving the audience an overview of and details about the performance, such as the production team and actors participating in the performance. This article explores the “leaflet” of “Chunhyangjeon,” a play or movie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up to the 1960s. This review examines “Chunhyang and Mongryong” performed by the theater company Sung-gun, “Chosun Gotham Chunhyangjeon” performed by the Shinhyup, “Legendary Chunhyangjeon” performed by Cheongchunjwa, the movie “Chunhyangjeon” created by Dongmyeong Film, “Daechunhyangjeon” specially performed to welcome the UN Chosun Committee, “Daechunhyangjeon” organized by Lee Sang-ho, and “Chunhyangjeon” performed by Hyun Je-myeong as an opera. This leaflet contains information on the “Chunhyangjeon” and various related photos of the time to reconsider the vivid performance. This allows restoring the performance of “Chunhyangjeon” of the time, which has been previously unexplored.

      • KCI등재
      • 한성감옥서(漢城監獄署)의 <옥중도서대출부(獄中圖書貸出簿)> 연구

        유춘동 한국서지학회 2012 서지학보 Vol.0 No.40

        이 글은 한성감옥서(漢城監獄署) 서적실(書籍室)의 도서 대출장부였던 <옥중도서대출부(獄中圖書貸出簿)>를 토대로, 대출부의 기재 방식과 특징, 서적실의 운영 실태, 기타 관련 사항 등을 살펴보았다. 먼저, 대출부에 의거하여 당시 한성감옥서와 서적실을 살펴보았다. 서적실의 장서는 최초에265권의 장서로 시작되었다. 이후 꾸준히 증가하여 1904년 8월말에는 국문책 52종 165권, 한문책222종 338권으로, 영어책 20종 40권으로, 총 294종 523권을 갖춘 서적실이 되었다. 다음으로 대출부의 기재 방식을 살펴보았다. 크게 4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첫째는 매일 도서의 출입 상황을 써놓았다. 이때 대출자의 성명, 수감 위치, 책의 국문(國文), 한문(漢文), 영문(英文) 여부, 책의 제목 등이 확인된다. 둘째, 서적실 장서의 결산표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서 대출된 책의 총수, 빌려간 사람의 총합, 국문책과 한문책의 대출 비율, 서적실의 평균 이용인원 등이 확인된다. 셋째, 서적실 장서의 미수(未收) 상황표가 확인된다. 국문책과 한문책을 따로 작성했으며, 미납자는 감옥서의 관리들이거나 외부대출자였다. 넷째 영어책의 출입표도 존재했었다. 국문책이나 한문책과는 달리 외부 대출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이용자 수도 극히 제한적이었음이 확인된다. 이외 서적실의 운영자, 대출과 관련된 사항, 대출자와 대출책의 경향 등을 살펴보았다. 차후 과제는 서적실의 운영, 대출책의 경향, 대출자들의 면모 등을 좀 더 입체적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그리고 서적실을 이용했던 수감자와 서적실 운영자들의 행보, 『샛별전』과 같이 서적실에서 많이 읽혔던 책에 대한 분석 작업이 요청된다. This paper examines Okjungdoseodaechulbu, a record of books signed out from the Hanseung prison library, by focusing on its format and characteristics, the management of the library, and other relevant matters. First, the conditions of the Hanseung prison and library are examined based on Okjungdoseodaechulbu. The library started with 265 books and gradually increased its collection to a total of 294 titles in 523 volumes by late August, 1904. It housed 52 Korean titles in 165 volumes, 222 Chinese titles in 338 volumes, and 20 English titles in 40 volumes. Next, the method of filling out Okjungdoseodaechulbu is examined. The method may be divided into four major categories. First, the borrowed and returned items were recorded on a daily basis, and the record consisted of the borrower’s name, the location of the borrower’s cell, and the language (Korean, Chinese or English) and the title of the borrowed book. Second, there was a statement summarizing the whole record, which included information such as the total number of borrowers and borrowed items, the proportion of Korean books to Chinese books among the borrowed items, and the average number of library users. Third, unreturned items were also recorded-Korean books and Chinese books separately. Such unreturned items were borrowed either by prison officers or library users from outside. Lastly, a record listing only English books was found. Contrary to Korean and Chinese books, there was no record of English books borrowed by a user from outside, and also, the number of borrowed books was limited. Further, this paper explores the managers of the library, the characteristics of the borrowers and the borrowed items as well as other relevant matters for investigation. A further in-depth research on the management of the Hanseung prison library and the characteristics of its borrowers and borrowed items is required. The prisoners who utilized the library, the work of the librarians, and the frequently borrowed books, also need to be further examined.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규장각 수탁본 학봉(鶴峯) 이명준(李明埈) 자료의 성격과 가치

        유춘동,우정훈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23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62 No.-

        In 2020, the Kyujanggak Institute of Korean Studie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received donations of various records collected by the late Hakbong Lee Myung-joon throughout his life. A total of 4,896 kinds of 9,283 books (points) were donated to Kyujanggak by his bereaved family. Among them, the ancient documents and modern literature are 7,628 books of 3,443 species, and this article examines the donated ancient documents of Hakbong Lee Myung-joon and the overall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modern literature. When the data are classified by the four-part classification method, it occupies the proportion in the order of the four-part classification method, including the four-part division, the housekeeping, the Gyeongbu, and other books. Among the ancient documents, rare books such as "Daeban Yabara Milda Sutra" are included. Modern literature is 1,757 books of 1,249 species, ranging from literature published in the modern period to books published until the 1990s. Among the modern literature, there are many rare modern literature materials such as Kim So-wol's Azalea Flower and the modern magazine Baekjo. Hakbong Lee Myung-jun was the 16th son of the Seonseong-gun family of Jeonju Lee Clan and served as the 10th to 11th chairman of the Seonseong-gun Daejonghoe. The data he collected through this history include various data related to the Seonseong-gun family, data related to the royal family of Joseon, and many related to the history of Joseon history. In addition, in the case of modern literature, important modern literary books, modern textbooks, modern magazines, and modern religious books were collected from literary history and publishers. The donated copy of Hakbong Lee Myung-joon was collected by the original owner while visiting old bookstores across the country. In particular, each data recorded a history of collection, and it is expected to be used in various fields of philology research in the future. In addition, since there are many rare copies of Hakbong Lee Myung-joon's donation, it will be used in various ways as basic data for research in fields related to Korean studies.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은 2020년에 학봉(鶴峯) 이명준(李明埈) 선생이 평생 동안 수집했던 장서(藏書)를 기탁 받았다. 이명준 선생은 전주(全州) 이씨(李氏) 선성군(宣城君) 가문의 16대 손으로서, 선성군 대종회의 10-11대 회장을 역임한 인물이다. 이러한 이력으로 그가 수집했던 자료는 선성군 가문과 관련된 직간접적인 자료, 특히 노저(鷺渚) 이양원(李陽元), 이능화(李能和) 선생 관련 자료, 조선 왕실(王室) 관련 자료, 조선사(朝鮮史)와 관련된 것들이 많다. 그리고 근대문헌의 경우, 문학사나 출판사(出版史)에서 중요한 근대 문학서적, 근대 교과서, 근대 잡지, 근대 종교 서적 등을 수집하였다. 이러한 기탁 자료의 총량은 4,896종 9,283책(점)이다. 이 글은 이 중에서 고문헌과 근대문헌인 3,443종 7,628책의 전반적인 특징과 의미 등을 살펴본 것이다. 고문헌은 사부분류법(四部分類法)으로 구분할 때, 사부(史部), 자부(子部), 집부(集部), 경부(經部), 기타(其他, 총서 포함) 순서이다. 고문헌 중에는 초조본(初雕本) 『대반야바라밀다경(大般若波羅密多經)』과 같은 희귀본이 포함되어 있다. 근대문헌은 1,214종 1,462책인데, 시기적으로 근대시기에 출간된 문헌에서부터 90년대까지 간행된 단행본 등으로 다양하며, 이중에는 김소월의 『진달래꽃』, 근대잡지 『백조』와 같은 근대문학 희귀본 자료가 다수 존재한다. 학봉 이명준 선생의 기탁 자료는 학봉 선생이 인사동을 비롯한 전국의 고서점을 찾아다니며 구입한 것인데, 각 자료에는 수집에 관한 이력을 자세히 기록해 놓았다. 이 기록은 문헌학 연구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아울러 학봉 이명준 선생의 기탁본은 희귀본이 많다. 차후에 한국학 관련 분야 연구의 기초 자료로서 다양하게 활용될 것을 보인다.

      • KCI등재

        완판(完板) 『조웅전』의 판본

        유춘동 열상고전연구회 2013 열상고전연구 Vol.38 No.-

        이 글은 기획주제에 일환으로 완판 『조웅전』의 판본을 검토한 것이다. 완판 『조웅전』에 대해서는 여 러 논의가 있어왔지만 판본(板本)에 대해서는 류탁일과 조희웅의 논의를 제외하면 별다른 성과가 없다. 이 글은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기존에 알려진 것과 새로 발굴한 판본을 살펴보았다. 완판 『조웅전』은 유간기본(有刊記本), 판권지(版權紙)가 부착되어 있는 본, 이를 저본으로 만든 활판본 까지 총 13종이 확인된다. 13종은 판식(板式)과 분권(分卷)의 위치, 내용을 기준으로 4계열로 나뉜다. 각 계열의 대표본은 정사-완서행동본, 계유-을묘본, 봉성신간본, 무술계동완남본이다. 1계열에 속하는 것은 정사-완서행동본, 임진완산신간본, 병오맹춘완산개간-기유중추완산개간임진완산 신판본, 광무7년계묘하완산북문내중간-계묘맹추완산중간 본, 다가서포본, 활판본 박문서관본이다. 2계열에 속하는 것은 계유-을묘본, 무술중추완산신판본, 서계서포 판권지 부착 91, 89, 89장본, 활판본 덕 흥서림본, 양책방본이다. 이외 3, 4계열에 속하는 본은 봉성신간본, 무술계동완남본 84장본 한 종씩이다. 그러나 3․4계열에 속하는 본은 내용상 정사-완서행동본을 저본으로 했기 때문에, 사실상 완판 『조웅전』의 판본은 1,2계열, 두 계열로 구분된다. 이러한 완판 『조웅전』을 통해서 새롭게 확인할 수 있었던 점은 각 계열마다 104>97>95>97>88장본, 96>94>91>89장본 식으로 계속해서 장수(張數)의 축소가 이루어졌다는 점이다. 이것은 기존에 알려진 것 과는 다르게 후대에 나온 완판 방각소설의 경우, 생산 단가를 절약하기 위한 방안으로 선행 판본의 장수 를 줄이는 방식을 택했다는 점이다. 이것은 방각본 소설이 지닌 일반적인 특성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것으로, 완판 방각소설이 후대로 갈수록 장수가 확장된다는 일반적인 생각은 재고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주목할 점은 서계서포에서 여러 종의 완판 『조웅전 을 동시에 간행했다는 점이다. 이것은 한 서 포에서 단일 판목으로만 간행된 것이 아니라 여러 종의 판목을 소유하고 있으면서 시장 수요에 맞게 소설 을 간행한 새로운 사실을 알려준다. 마지막으로 활판본 『조웅전』의 경우, 경판본이나 세책본이 아닌 완판본을 저본으로 간행되었다는 점이다. 이것은 『조웅전』의 경우 다른 상업출판물과는 달리 그만큼 완판 『조웅전』이 내용에서 우위를 차지했기에 가능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또한 활판본의 저본이 무엇인가에 대한 새로운 단서도 제공한다. 활판본의 경우, 무작위로 경판본, 세책본, 완판본 중의 하나를 가져다가 간행했던 것이 아니라, 작품의 내용면에서 우위를 보였거나 당대 독자들에게서 인기를 끌었던 것을 활판본의 저본으로 삼았다는 사실도 새롭게 알 수 있다. 차후 이에 근거를 둔 정밀한 후속연구를 진행할 것이다. There have been several discussions on the edition wanpanbon(完板本) <Joungjeon>, but regarding its printings, there has not been much result. This article has examined the editions of it that have been found previously and also newly. <Joungjeon> consists of total 13 kinds including Yugangibon(有刊記本), copyright-attached editions, and also printed ones taking it as its original. According to the result of examining the 13 types of editions, in terms of the types of printing, positions to divide the books, and also contents, the study has categorized edition <Joungjeon> into four lines: 1. Jeongsa-Wanseohaengdonggaepan 104 pages editions, 2. Gyeyuchodongwanseojunggan 96 pages editions, 3. Bongseongsingangbon 95 pages editions, & 4. Musulgyedongwannambon 84 pages editions. The thing that could be found newly through examining edition wanpanbon <Joungjeon> is that in each of the lines, the number of pages kept being reduced. This is different from what has been known to us before. The editions of commercial novels that came to be released later did choose the way to reduce the pages of the advanced editions as a means to save production cost. This is not very estranged from the general features which commercial novels have. People generally tend to think the pages are increased in the later editions of commercial novels, but this idea needs to be reconsidered. And what is noticeable is that Seogyeseopo did publish several types of edition <Joungjeon> at the same time. From this, we can figure out a new aspect that a bookstore did not publish books with a single block but possessed several types of blocks and issued novels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market demand. Lastly, printed <Joungjeon> was published taking as its original the edition, not revised or rental editions. This was so because unlike other commercial publications in <Joungjeon>, edition <Joungjeon> was superior to others in terms of its contents. This also provides a new perspective to find out the first edition among the printed editions. It allows us to realize a new fact that printed editions came to be published not just taking any one of the revised, rental, or editions randomly but adopting as their original the one that was either superior to others in terms of contents or popular to the readers of the time.

      • KCI등재

        호남(湖南)의 한글 조리서, 음식보(飮食譜)의 보론(補論)

        유춘동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22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학술지 어문논총 Vol.- No.40

        <Eum Sik Bo> is a pure Korean recipe book and is known to academia and the general public that it was written in the early 1700s. However, there are several missing facts to date and the process of introducing this book for the first time. In other words, it is the same as the owner of this book and the situation of transmission, the expulsion of the original book, and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original book. This book is the epitaph of Seokae Munjung of the Changaegongpa of Naju Pungsan Hong Clan. And this book was named Eum Sik Bo, but the original book says <Eum Sik Bo & Obokje Hapbu>. Therefore, this book should be called <Eum Sik Bo & Obokje Hapbu>. Previous studies focused on the contents related to the food contained in this book, and only dealt with the contents related to 'food' contained in this book. However, in addition to this content, this book contains a variety of things such as "Gwi Trading Company", "Obokje", and "Yutjeom". In order to understand the exact reality of this book, it is necessary to link it with this content. Previous studies saw this book as transcribed in the 1700s. However, the transcription period of this book can be confirmed in consideration of the transcription period of the text and the raw death date of the transcription. The manuscript of this book is Jinwon Oh, the uncle, and it is said that he transcribed it to Byeongja in his manuscript. Therefore, this book was first transcribed in 1756. And the book was later rewritten in 1805 when it was transferred to Jinju Jeong, the uncle of his daughter-in-law, Seok-ae's wife. Therefore, this book should be said to be the material of the Pungsan Hong Clan Naju Seokae family written in the 18th to 19th centuries. 음식보 는 학계와 일반인들에게 “1700년대 초반, 전라남도 광주광역시에서 만들어진 순 한글 조리서”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책은 처음 소개되는 과정에서 ‘음식/조리서’에만 초점을 두다 보니, 정작 이 책과 관련된 사항, 예컨대 소장자/소장처, 전래의 상황, 원 제목, 음식/조리 이외의 내용에 대해서는 알려지지 못했다. 이 글은 이러한 내용을 보완하고자 하는 취지에서 쓴 것이다. 먼저, 이 책의 원 소장자는 나주 풍산(豐山) 홍씨(洪氏) 창애공파(蒼崖公派) 석애문중(石崖門中)이다. 선행 연구에서는 소장자/소장처를 미상(未詳)이라고 했는데 이를 분명하게 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이 책은 ‘음식보’로 제명이 알려져 있지만 원 제목은 ‘음식보 오복제 합부(飮食譜五服制合部)’이다. 그리고 이 책은 ‘음식/조리서’로 알려져 있어 내용이 ‘음식/조리’만 기술되어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이 책에는 <귀거래사>, <오복제>, <윷점>, <가족에게 당부하는 글>과 같은 글들이 수록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이 책은 “1700년대 초반에 필사된 것”이라고만 알려져 왔다. 하지만 이 책의 본문을 보면 이 책의 필사자, 필사의 목적, 필사 시기 등이 적혀있어 관련 내용을 구체화할 수 있다. 이 책은 홍봉주(洪鳳周, 1725∼1796)의 모친인 숙부인(淑夫人) 진원 오씨(珍原吳氏)가 처음 책의 내용을 쓴 뒤에, 며느리 숙부인 진주 정씨(晉州 鄭氏)가 이어받아 다음 내용을 기술한 것이다. 문제는 그 시기가 언제인가 하는 것인데 책의 본문을 보면 ‘병자(丙子)’, ‘을축(乙丑)’이라고 되어 있다. 해당 시기는 문중의 가계(家系) 등을 고려한다면 1756년에 처음 필사된 뒤에 1805년에 다시 필사된 것이다. 따라서 이 책은 단순한 ‘음식/조리서’가 아니라, 18세기에서부터 19세기까지 양반사대부 한 집안 내의 시부모와 며느리 사이의 전승된 중요한 문화유산이라고 측면에서 이 책의 위상을 재평가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책의 성격, 제작 배경, 이 책에 수록된 ‘음식/조리’의 내용은 이러한 사실과 연계해서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