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Primacy of Jesus’Command to Love Our Enemies over Lex Talionis for a Desirable Future

        유진열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19 영산신학저널 Vol.0 No.49

        Lex talionis and the love command seem run on parallel lines which never meet. To regard the command as an impossible possibility appears to be a realistic approach, and the retribution law does justice to society which aims to preserve order by deterring crimes. However, the ideal is always a possibility on two counts. Firstly, humans become dignified when they recognize their origin as Imago Dei. Secondly, they are capable to do what can be achieved by the grace of God. Accordingly, the reality and primacy of the command are justified. Jesus’ saying itself to love our enemies is an evidence that the loving principle is a more advisable than the retribution one for the prosperity of human society. History also advocates the view that ‘eye for eye’ method fails to produce the good results humans hope for, but tends to cause a vicious circle. Christian experiences adduce the evidences that agape as the law of human destiny works more effectively than the other to attain a peaceful world. The constructive way to deal with enemies is also more utilitarian, parsimonious, and efficient in order to cope with the discordancy of humanity.

      • KCI등재

        A Study of the Rationales for the Feasibility and Necessity of Authentic Forgiveness

        유진열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17 영산신학저널 Vol.0 No.41

        This thesis presents four rationales for forgiveness, and concludes that the rationales justify the feasibility and necessity of forgiving acts. Theologically, God’s initiative love demonstrated in Jesus’ words and deeds becomes the foundation for the necessity of human pardon and love. Apart from his agape, Christians do not have any sure base for authentic love of enemy. In a psychological sense, forgivers enjoy invaluable mental benefits such as tranquility, inclusive perspective, and sound discernment. This is one reason why the virtues should be the norm for peaceful hearts and communities. Forgiving approach to enemy leads to divinely intended relations among people, to restoration of alienated humanity, and to jubilee for imperfect living condition. This fact is proved by those who act out the divine agape in their situations.

      • KCI등재

        Modern Theologian’s Perspective on Sin in the Context of Secularization

        유진열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18 영산신학저널 Vol.0 No.45

        Niebuhr, Bonhoeffer, Pannenberg, and Yonggi Cho highlight the cruel reality of sin. They assume that the empirical evidence of human sinfulness is so irrefutable that any Christian anthropology should deal with it. They do not attempt to minimize sin as minor errors of morality which can be eradicated through education. Their views do not fully support the modern psychological understanding of it, though it inevitably involves mental aspects. They are successful in proposing solid rationales for the reality and the universality of sin. Their views of sin are the determinative element in their anthropologies. They all eye-witnessed the radical manifestations of moral evil in their days. Given the relevance of their views of sin to reality,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our theologian’s perspectives on sin besides their starting-point and methodology. They discuss the issue in close connection to human destiny as related to God and neighbor. Yet Bonhoeffer and Yonggi move from revelation to the verification by experience, while Niebuhr and Pannenberg moves from empirical evidence to biblical conclusion. Their emphasis on human free-will as the major agent in life points out a continuity of their views with the traditional thought. It is also solidly based on their exposition of the related biblical texts. On the whole, their empirical orientation in interpreting the reality of sin is coherent, effectively refuting reductionistic understandings of sin merely as mental ill. In doing this, they are outspoken in their criticism of those who confuse modern people by their biased views of sin, and who are complacent about human nature.

      • KCI등재

        성령의 초월적 은사의 지속성을 위한 근거에 대한 연구

        유진열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16 영산신학저널 Vol.38 No.-

        There are two major views on the reality of the charismatic gifts of the Holy Spirit: cessationism and continuationism. The argument of the former is that the gifts were given by God during in a limited time, ended by the time of the closure of the canon, and thus are not in operation today. The cessationist’s view is grounded in the interpretation of 1 Corinthians 13:8-12, and in the authority and uniformity of prophecy. On the other hand, the continuationists view the disputed verses differently and regard such expressions as like ‘cease, perfect, face to face’ in them as closely related with the second coming of Jesus or the eschaton. They make a distinction between canonical prophecies and noncanonical ones, which are still in operation, and contend that the latter prophecy as a charismatic gift is possible anytime. In this situation, this thesis argues for the continuation of the gifts by suggesting three rationales; Biblical, theological, and historical. Appealing to the text of 1 Corinthians 13:8-12 as a proof-text for cessationism raises problems because of the uncertainty inherent in the verses. It seems more plausible to interpret them as indicating the end of the gifts in the second coming of Jesus, considering the whole context. Moreover, the Acts and the church history report that the Holy Spirit works in a consistent manner. In a theological perspective, God demonstrates novelty and consistency working through the Son and the Spirit for building up His church. Divine freedom and power make the gifts possible anytime. Historically, the church experiences the miracles performed by the Spirit. Motivated by the experience, Christians strengthen their feeble faith, demonstrate the power of serving the Lord and others, and have passion for spreading the gospel. These historical results function as a strong case for upholding the continuationist’s cause. 성령의 초월적 은사의 실재에 대한 두 가지 주요한 견해가 있다: 중단설과 지속설. 전자는 그 은사를 하나님이 한시적으로 부여했다고 하며, 정경이 확정되어 계시가 완성되면서 은사는 중단되어 더 이상 수여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중단론자의견해는 고린도전서 13:8-12에 대한 해석, 예언의 권위와 통일성에 근거하고 있다. 한편, 지속론자들은 문제가 되는 그 구절들을 다르게 해석하며, ‘그치다, 완전한, 대면하여’와 같은 표현을 예수의 재림이나 종말과 밀접하게 연관된 것으로 간주한다. 그들은 현재도 나타나는 비정경적 예언(계시)을 정경적 예언과 구분하며, 초월적 은사인 비정경적 계시는 언제나 가능하다는 입장을 유지한다. 이 상황에서, 이 논문은 세 가지 근거를 제시하며 은사의 지속성을 제기한다: 성서적 근거, 신학적 근거, 역사적 근거. 고린도전서 13:8-12을 증거 자료로 삼는 중단설은 그 구절들에 내재한 불확실성 때문에 문제를 갖게 된다. 전체 문맥을 고려하여 해석한다면, 그 구절들은 오히려 주의 재림 시에 은사가 중단되는 것으로 보는 것이 더 적절하다. 더 나아가, 사도행전과 교회 역사는 성령이 일관된 방식으로활동한다는 것을 보고한다. 신학적 관점에서, 하나님은 교회를 확고히 세우기 위해성자와 성령과 함께 역사하는 가운데 창조성과 함께 지속성을 드러낸다. 신적 자유와 능력은 그 은사가 언제든지 가능한 것으로 만들고 있다. 역사적으로, 교회는 성령에 의한 초자연적 은사와 기적을 경험해 왔다. 그 경험에 힘을 얻어 그리스도인들은 자신의 약한 믿음을 강화하며, 주님과 이웃을 섬기는 능력을 나타내고, 복음을전파하는 일에 열정을 보여준다. 이 역사적 결과들은 지속론의 명분을 옹호하기 위한 강한 근거로 작용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판넨베르크의 인간론에 나타난 방법론에 대한 비평적 분석

        유진열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2 성경과신학 Vol.64 No.-

        기독교 신학이 계시된 진리를 얼마나 충실하게 해석하고 있느냐 하는 문제는 성서적 기초, 경험적 적합성, 통전적 일치라는 말로 설명할 수 있다. 성서에 나타나는 복음적 진리를 이성적으로 체계화하는 신학이 그 진리를 얼마나 분명하게 서술하고 있는가 하는 것을 그 용어를 기초로 하여 평가하는 것이 요청된다. 이 논문은 판넨베르크의 신학적 인간론이 이런 기준을 충족시키고 있는지 분석하며 비평하고 있다. 좀 더 자세히 말하면, 이 글은 판넨베르크가 자신의 인간론을 전개하면서 나타내고 있는 신학적 방법론의 특성을 검토하고 평가하면서, 그의 신학의 기독교적 정체성을 살펴보고, 그것이얼마나 경험에 부합하는 것인가를 분별하며, 그 서술이 사물의 이치의 특성인 복잡한 연계 속에서 통전적 일치성을 구현하고 있는지 서술하고 있다.판넨베르크의 인간론은 긍정적 인간상을 제시한다. 그렇게 하면서 그는 그동안의 어둡고 편협한 기독교 인간론에 필요한 내용을 첨가하고 양면적이고현실적인 견해를 제공하려고 한다. 그의 인간론은, 성서와 전통에 대한 새로운 창조적 복구와 해설을 통하여, 기독교적 정체성을 확립한 후에, 현대와의 시대적 연관성을 추구하고 있다. 이 노력은 다른 현대 학문과의 집중적인 대화를 통하여, 그리고 인간의 실제적 경험을 논의의 출발점으로 삼아 신학을 전개하는 가운데서 분명해진다. 그리고 그는 신의 형상을 완성형이 아니라 잠재적인 형태로, 인류의 운명이요 목표로 제시하며, 이 운명의 성취가 예수안에서 예시적으로, 완벽하게 나타난다고 강조한다. 따라서 그에게 예수는새로운 인간상의 전형이요 신앙과 모방의 대상인 것이다. 여기서 판넨베르크는, 바르트와 같이, 기독론 중심의 인간론을 발전시킨다. 이와 같은 판넨베르크의 인간론은 목회자가 자신을 성찰하고 신자가 정서적으로 건강한 모습을 갖게 하는데 도움을 준다. 그러나 그의 신학 방법은 계시된 진리를 이성과 경험으로 판단하려 한다는 비평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하나님의 초월적인 계시를 내재적 것으로, 전체의 진리를 부분적 사실에 근거하여 논하려는 그의 자세가 적절한 것인가 하는 의구심이 생긴다. This study claims that how appropriately a Christian theology explicates the revealed truth can be explained in terms of Biblical basis, empirical validity, and holistic unity. It is requested that a theology, which interprets and systematizes the evangelical truth found in the Scripture, be evaluated by the same criteria. This thesis give a close look at the theological anthropology of Pannenberg to see if it meets the requirements. Scrutinizing the features of his theological methodology, it pinpoints the Christian identity of his theology in general and his anthropology in particular, delineates how adequately his view fits human experience, and states how his anthropological contents reflects the holistic unity found in the complex nexus as a characteristic of nature' principle. Pannenberg's image of humanity is positive. In suggesting this bright picture of human beings, he supplements to the dark, distorted view of humans espoused by the traditional church, and proposes a more balanced realistic perspective on people. His anthropology retrieves the wisdoms of the Scripture and the traditions creatively to establish its Christian identity. But he also attempts to relate them to today's world to attain its relevancy. In order to achieve this end, he engages himself in an intensive dialogue with other disciplines and develops his anthropology starting from human experiences. He sees Imago Dei not as something completed but as human potentials, destiny, or finis. To him, Jesus is the perfect form of the Divine Image and thus is the object both of faith and imitation. Like Barth's, Pannenberg's theology revolves around Jesus, and therefore is Christo-centric in nature. His theological anthropology helps ministers introspect themselves and lay people have an emotionally healthy view of humanity. However, his methodology can't be free from the suspicion that he judges the revealed truth solely by human reason and experience. He has to defend himself from the accusation that he discusses the revealed transcendent truth by this worldly means, and that he explains the whole truth in terms of partial facts.

      • KCI등재

        현대신학에 있어 소외 개념의 사용에 대한 비평적 분석

        유진열 ( Chinyeul Yu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5 성경과신학 Vol.76 No.-

        이 논문은 소외에 관한 부버, 틸리히, 판넨베르크의 견해를 분석하고 그것이 죄의 문제를 다루는 데 있어서 성서의 자료를 적절하게 활용하는 지 평가할 것이다. 그 평가는 또한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하면서 진행된다: “그들의 견해는 경험적으로 입증할 수 있는 것인가? 그들이 하나님의 법을 위반하는 것을 죄로 보는 관점을 희생하면서 그 개념을 지나치게 강조하고 있는가? 그들은 소외를 죄의 보편성과 연결하는 데 성공적인가? 그들의 사상에서 예수 그리스도가 정당하게 인식되고 있는가?” 따라서 이 논문은 소외에 대한 그들의 입장을 성서, 기독론, 경험에 비추어 정밀하게 분석하고 비평하려고 한다. 소외란 용어를 중심으로 전개되는 그 신학자들의 죄론은, 하나님과 인간의 관계에 초점을 맞춘 죄에 대한 논의가 무익하다는 학술적 분위기 속에서, 신학의 시대적 연관성에 공헌하고 있다. 그들의 입장은 성서적 근거를 제시하는 데, 그렇지 않다면 그 입장을 기독교적이라고 할 수 없다. 그들은 예수가 아버지와의 관계 속에서 참으로 그 곤경을 해소했다고 묘사하는 데 있어서 거의 같은 기독론적 견해를 보여준다. 그리고 그들의 경험적 지향성은 죄의 현실의 신비와 보편성을 해설하는 데 도움을 준다. 한편, 그들은 성서가 죄와 그 결과에 대해 무엇을 말하는 지 먼저귀를 기울이지 않고 있다. 세 신학자들은 인간의 경험에서 계시로, 상황에서 성서로 움직이는 경향을 나타내며, 소외에 관한 성서 구절들을 해명하는 것이 아니라 현대 사상가들의 견해를 차용하면서 결론에 이르고 있다. ‘아래로부터의 인간론’에 어떤 이점이 있지만, 인간의 경험이 신학적 교리를 설정하는 데 결정적인 요소가 될 수는 없다. 복음적 신학자들은 경험에 근거하여 변하기 쉬운 관점보다는 무오류한 성서의 계시에 더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This thesis aims to analyze Buber``s, Tillich``s, and Pannenberg``s views of alienation and to evaluate them if they do justice to the biblical materials in dealing with sin. It will also assess their position, asking “Are their views empirically verifiable? Do they overemphasize the concept at the expense of the idea of sin as the violation of God``s law? Are they successful in relating alienation to the universal nature of sin? Is Jesus Christ appropriately understood in their thoughts?” Thus this thesis attempts to scrutinize them in the light of the Bible, Christology, and experience. The three theologian``s views of sin which revolve around the term alienation make contribution to the relevancy of theology, especially in the academic milieu that sees the traditional discourse on sin centered on human relation to God as futile. Their approaches to the subject betray a biblical perspective without which theirs cannot be labeled ‘Christian.’ They hold almost the same Christological view, portraying Jesus as the one who truly overcame the predicament in his relation to the Father. And their empirical stance could help decipher the mystery and universality of sinful reality. On the other hand, they fail to engage themselves first on what the Bible says about sin and its consequences. They tend to move from human situation to revelation, or from the context to the text, and are successful in arriving at their conclusion by hearing what their contemporaries think, not by expositing the related biblical verses. The anthropology from below has certain advantages, but human experience should not be the decisive factor in establishing theological doctrines. Evangelical theologians need to pay attention more to the inerrant Bible than to the mutable points of view based on exper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