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천연제올라이트의 상규명 및 암모니아 제거 특성

        김화중,유재철,이명철,이기정 ( Wha Jung Kim,Jae Churl Yoo,Myung Churl Lee,Gee Jung Lee ) 한국공업화학회 1996 공업화학 Vol.7 No.1

        Clinoptilolite 계열의 국내산 천연제올라이트에 대한 상규명과 암모늄 이온 제거능력에 대해 연구하였다. 영일만 지역에 매장되어 있는 국내산 천연제올라이트는 XRD와 FT-IR 분석에 의해 열적으로 불안정한 heulandite임이 증명되었다. 또한 K^+ 이온으로 이온교환된 heulandite가 가장 높은 열적 안정성을 보였다. 그러나 암모늄이온의 제거능력에 있어서는 이온교환하지 않은 제올라이트가 가장 우수한 제거능력을 보였다. A series of domestic natural zeolites were investigated to identify the phase and to study the capability of NH₄^+-ion removal from solution system. It was proved that the natural zeolite from Young-Il bay area was thermally unstable zeolite, heulandite by XRD and FT-IR analyses. In addition, the heulandite exchanged by K^+ ion showed the highest thermal stability upon heat-treatments. However, the best capability of removing NH₄^+-ion from the solution system was the non-exchanged zeolite.

      • SCOPUSKCI등재

        천연제올라이트의 상규명 및 아모니아 제거 특성

        김화중,유재철,이명철,이기정,Kim, Wha-Jung,Yoo, Jae-Churl,Lee, Myung-Churl,Lee, Gee-Jung 한국공업화학회 1996 공업화학 Vol.7 No.1

        Clinoptilolite 계열의 국내산 천연제올라이트에 대한 상규명과 암모늄 이온 제거능력에 대해 연구하였다. 영일만 지역에 매장되어 있는 국내산 천연제올라이트는 XRD와 FT-IR 분석에 의해 열적으로 불안정한 heulandite임이 증명되었다. 또한 $K^+$ 이온으로 이온교환된 heulandite가 가장 높은 열적 안정성을 보였다. 그러나 암모늄이온의 제거능력에 있어서는 이온교환하지 않은 제올라이트가 가장 우수한 제거능력을 보였다. A series of domestic natural zeolites were investigated to identify the phase and to study the capability of $NH_4{^+}$-ion removal from solution system. It was proved that the natural zeolite from Young-II bay area was thermally unstable zeolite, heulandite by XRD and FT-IR analyses. In addition, the heulandite exchanged by $K^+$ ion showed the highest thermal stability upon heat-treatments. However, the best capability of removing $NH_4{^+}$-ion from the solution system was the non-exchanged zeolite.

      • SCOPUSKCI등재

        MCM-41 분자체의 합성에 초기 pH 가 미치는 영향

        김화중,유재철 ( Wha Jung Kim,Jae Churl Yoo ) 한국공업화학회 1997 공업화학 Vol.8 No.3

        Mesoporous 분자체인 MCM-41의 합성시, 수열 반응 전에 실시되는 반응용액의 초기 pH 조절이 MCM-41의 합성 및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반응중간에 추가적인 pH의 조절없이, 초기 반응용액에 대한 1회의 pH 조절을 통하여 30Å에서 40Å에 이르는 기공 크기 및 1000m²/g 이상의 높은 비표면적을 갖는 MCM-41 분자체를 합성할 수 있었다. 그 결과, pH 조절은 실리카원으로 사용되는 polymeric Na^+ -silicate로부터 반응성이 높은 mnnomeric Na^+ -silicate를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하여 우수한 열적 안정성을 나타내며 hexagonal 구조가 발달된 MCM-41의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 mesoporous molecular sieve, MCM-41, was synthesized and the effect of various initial pH of reaction mixtures on the synthesis and physical properties of MCM-41 was investigated. Adjustment of initial pH for reaction mixtures was made before starting hydrothermal reaction rather than during the reaction. Highly crystalline MCM-41 which shows pore diameters of 30Å to 40Å and specific surface areas greater than 1000 m²/g has been successfully prepared through a single adjustment of initial pH. Results also suggest that the initial pH adjustmen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formation of MCM-41 with a long-range ordered hexagonal array and an excellent thermal stability. Finally, it is speculated that the adjustment of initial pH might accelerate the dissolution of stable polymeric sodium silicate to highly reactive monomeric sodium silicate resulting in well-ordered MCM-41.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