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일반학교에 통합된 장애학생의 성공적인 과학수업을 위한 지원체제

        유장순 국립특수교육원 2006 특수교육연구 Vol.13 No.2

        과학교육은 '모든 이를 위한 과학' 으로 장애학생에게도 예외일 수는 없으며, 이를 통해 사고력 증진과 주변생활환경 인식 및 사회적 경험과 관련된 기회를 더 많이 가질 수 있기를 강조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학교에 통합된 장애학생의 과학수업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방법을 알아보고자 함이다. 통합학급에서의 장애학생의 과학교육과 관련된 선행연구 및 문헌연구를 검토하여 지원방법을 다음과 같이 검토하였다 첫째, 학교장의 특수교육 지원 필요성, 둘째 긍정적이고 수용적인 학교 풍토 필요성, 셋째 적합한 교육과정 지원, 넷째,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 선택, 다섯째, 교사들 간의 협력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지원 방법은 단위학교에서 장애학생의 성공적인 과학수업을 위해 노력하는 교사들에게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ystems to support successful science practic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classrooms in general schools. This study addressed related items through reviewing literatures and reports on science including disabilities which had been provided. Contents which this study suggested were as follows: First, emphasis on the critical role of the school leader for science education in the schoolhouse. Second, needs of the friendly climate in the school, which require the positive and accommodative environment for Inclus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science practices. Third, Requirements for effectively instructional adaptation and accommodation of curriculum with consideration of learner characteristics. Fourth, Considering the most methods of instruction for student with disabilities in science practices. Fifth, Searching to support methods for special educators in order to operate effective collaboration among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Consequently,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teachers, who have made efforts to improve participation in academic subjects and instruction efficiency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ith very useful informations and materials to applicate successfully science practices in inclusive class rooms.

      • KCI등재

        통합 상황에서 장애 대학생 교육에 대한 교수의 경험 및 인식

        유장순,유은정 한국특수아동학회 2019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1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and perception about the teaching·learning for the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o suggest the improvement consideration.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5 professors who had ever taught the college students with a various of disabilities. The method was a qualitative study by Focus Group Interviews. Data were collected by Interviews and transcribed in MS word program, the amount was 20 pages and additional 4 pages of A4 paper. Data were analysed to categorize primary open coding and constant comparison method. It was summarized to 3 categories and 8 themes. Results: First, professors have ambivalent experience of inclusive education at college. Second,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inattention at class and the professors had to be interested in their attitudes. And they were required to get reading /writing, communications, IT utility and social skills. Third, social and cultural support were required to effective inclusion at college. As well, they suggested that information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should share to all of the professors and the criterion of entrance / inclusion for th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hould be prepared.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improvement consideration were discussed.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4년제 대학의 통합 교육 상황에서 장애 대학생 교수 학습 현황을 교수들의 경험 및 인식을 통해 확인하고, 그에 따른 지원 및 개선 방안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연구 방법은 대학에서 다양한 장애 유형의 대학생을 가르친 경험이 있는 교수 5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초점집단 면담(FGI)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질적 연구였다. 수집된 자료는 MS 워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사하였으며 A4 용지 20쪽 분량이었고, 면담 후 연구 참여자로 부터 받은 추가 서면 자료는 4쪽 분량이었다. 자료 분석은 기초적인 개방적 부호화 과정을 토대로 지속적인 자료 비교 방법(constant comparison method)을 거쳐 범주화하였다. 그 결과 3개 영역에 8개의 주제로 요약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교수들은 통합 교육에 대해 양가적인 인식을 경험하였다. 둘째, 장애대학생들은 수업시간에 잘 집중하지 못하고 교수들이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져야 하며 읽고 쓰기 기술, 의사소통 기술, IT활용기술, 긍정적인 동료관계 및 사회성 기술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셋째, 교수 학습지원 개선방안으로는 사회 및 심리적지지 환경 마련, 장애학생에 대한 사전 정보제공, 장애학생 입학 및 통합 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선행연구와 비교하고 통합 상황에서 장애 대학생들의 효율적인 교수학습지원을 위한 방안을 논의에서 다루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