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미국, 한국, 중국 일간지의 ‘9ㆍ11 테러’ 뉴스보도 비교분석

        유세경(Sae Kyung Yu),김미라(Mi Ra Kim) 한국언론정보학회 2002 한국언론정보학보 Vol.18 No.-

        9ㆍ11 테러참사 사건에 대한 미국, 중국, 한국의 주요일간지 보도 비교분석 결과 자국의 이데올로기와 외교적 이해관계가 국제 분쟁에 관한 뉴스 프레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뉴스 프레임은 양적, 질적인 측면에서 모두 차이를 보였는데, 기사량에서 미국의 〈뉴욕 타임즈〉, 한국의 〈조선일보〉는 9ㆍ11 테러사건 발생직후 신문의 거의 전 지면을 할애한 반면 (382건, 192건) 중국의 인민일보는 단 32건의 기사만을 보도함으로써 이번 사건을 상대적으로 축소 보도하였다. 뉴스 내용에서도 〈뉴욕 타임즈〉와 〈조선일보〉는 9ㆍ11 테러와 아프간 공습을 미국 정부의 공식적인 시각대로 ‘인류 평화를 위협하는 악의 전쟁행위’ 그에 따른 ‘필연적인 미국의 군사보복과 응징’의 틀을 통해 미국의 아프간에 대한 무력공격을 정당화시킨, 중국의 〈인민일보〉의 경우에는 9ㆍ11 테러와 관련해서는 중립적 시각에서 사실보도만을 하고, 미국의 공습과 관련해서는 무고한 아프간 민간인들의 희생과 고통을 부각함으로써 현저하게 다른 뉴스 프레임을 견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야기 구성방식에서는 세 나라의 일간지 모두 특정 사건 중심으로 에피소드를 전하는 일화 중심적 뉴스틀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eptember 11 terror attack news reports on the daily papers in the U.S., Korea, and China, this research found that national ideology and international relationship concerned have affected news report frames about international dispute matters.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es identify differences in news framing. For example, after the September 11 terror attack, the most pages of the USs The New York Times and Korean Chosunilbo were covered with related articles(382 and 192 reports, respectively), whereas Chinese Inminilbo cut down to only 32 reports about the issue. Also in content, both The New York Times and Chosunilbo viewed the September 11 terror attack as evil acts which threatened world peace and justified military action against Afghanistan as inevitable revenge and justice for such evil acts, in the point of the USs official view. However, Inminilbo gave out news only based on facts in a neutral viewpoint. Moreover, regarding American military intervention, the Chinese newspapers held very different news frame from the other two by describing considerable sacrifice and pain of innocent people of Afghanistan seriously. For the story composition, daily newspapers in all three countries cook the same way to report focusing on specific events with episodes.

      • KCI등재

        중국 일간지의 “한류” 보도에 나타난 프레임 분석

        유세경(Sae-Kyung Yu),이석(Suk Lee),정지인(Ji-in Chung) 한국언론정보학회 2012 한국언론정보학보 Vol.57 No.1

        본 연구는 중국에서 한국 대중문화 수용과 확산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분석하기 위해 중국 일간지에 보도된 한류관련 기사의 프레임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세 일간지 모두 한류 관련 이벤트나 한국 드라마, 영화의 열풍, 한류 스타의 인기 등 특정 이슈에 따라 연도별로 기사 게재 건수에 큰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보도경향은 기사의 구성방식에서도 나타나는데 세 일간지 모두 한류 현상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해석하는 주제 중심적 프레임보다 단편적인 한류 현상이나 인물 정보를 감성적으로 전달하는 일화 중심적 프레임을 주로 사용하였다. 구체적인 기사 내용을 살펴보기 위해 귀납적 접근방법을 활용하여 지배적 뉴스 틀을 분석한 결과 한류를 ‘한국 대중문화에 대한 흥미와 관심’이라는 문화적 흥미 프레임으로 구성하여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는 프레임이 가장 많았고, 경제적 관점에서 한류를 설명한 경제 프레임과 중국 정부 당국의 시점에서 바라본 정책 프레임 기사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뉴스내용의 틀은 일간지의 발행목적에 따라 다소 다르게 나타났다. 공산당 기관지인≪인민일보≫는 중국 정부의 정책을 보도하는 정책 프레임을 많이 다루고, ≪인민일보(해외판)≫는 대외적인 시각에서 경제 프레임을 많이 다루었고 상업지 성격이 강한 경화일보는 한류를 새로운 문화현상으로 다루는 문화적 흥미 프레임이 많았다. 전체적으로 중국일간지에 보도된 한류 관련 기사는 대부분 긍정적이고 호의적인 프레임의 뉴스가 많으며 한국 대중문화를 문화적인 관점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교류의 관점, 한국과 중국 간의 교류를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적인 관점등 비교적 다양한 관점에서 보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Chinese people perceive the acceptance and spread of Korean popular cultur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Korean Wave news frame in Chinese daily newspapers. The result of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an article appearance in all three daily newspapers by year according to a specific issue including the popularity of Korean Wave-related events, Korean dramas, movies and Korean stars. This reporting trend also appeared in the article format, and all three daily newspapers mainly used an episodic frame to deliver fragmentary Korean Wave trend or personal information emotionally rather than a thematic frame to analyze and interpret the Korean Wave trend in depth. As a result of analyzing dominant news frames using the inductive approach to examine specific contents of the articles, news frames that composed the Korean Wave into the cultural interest frame as ‘Interest and attention toward Korean popular culture’ and gave positive evaluations were dominant, followed by the economic news frames that explained the Korean Wave from the economic perspective and the political news frames that considered the Korean Wave from the viewpoint of the Chinese Government. These news frames appeared somewhat different according to the publishing purpose of daily newspapers. ≪People’s Daily≫ which is the official organ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often covered the political frames to report the policies of Chinese government, ≪People’s Daily (Overseas edition)≫ often covered economic frames from the overseas perspective and the Jinghua Daily which is a commercial newspaper by nature often handled cultural interest frames to consider Korean Wave as new cultural phenomenon.

      • KCI우수등재
      • IPTV 이용자 복지 증진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

        유세경(Sae Kyung Yu),김미선(Mi Sun Kim),김숙(Suk Kim) 한국HCI학회 2009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09 No.2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of broadcasting, the style of using medium by users has been personalized in the propensity to consume. Recent advent of media convergence allowed users of medium to decide the received environment for their needs, thereby the position of users has become more important in the medium consumption. IPTV has the most advanced form of personalized information media. However, IPTV was made by media convergence, which has relation with a variety of interested parties, so there are a few troubles among them in the way of commercializing IPTV. As a matter of fact, although users play a leading role in the IPTV industry, there are still few discussions on the welfare of users. IPTV should be remained the characteristic of the medium of personalized information, and it should include the welfare of users in various fields of media convergence. That is Universal Service. It is necessary to be guaranteed the access right and the variety of contents in using IPTV. Moreover, in terms of telecommunication, IPTV should insure the reasonable fare system as a pay-services.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in local and international IPTV circumstances, in terms of content as a medium of personalized information, in terms of fares as a pay-services, and in terms of digital literacy as a new medium of digital access, policies for welfare of users are suggested. 방송매체의 진화발전에 따라 이용자의 매체 이용양식은 점차 개인화된 소비패턴을 보이고 있다. 현재 방송통신융합 미디어가 등장하면서 이용자는 개인의 욕구에 따라 매체 수신환경을 결정짓는 '정보 맞춤형' 소비단계에 이르렀고 이에 따라 매체 소비환경에서 이용자의 위상은 더욱 중요하게 자리잡았다. IPTV(Internet Protocol TV)는 정보맞춤형 매체로써 가장 진화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IPTV는 방송통신융합으로 탄생된 배경이 있는 만큼 각 분야의 이해당사자들의 갈등으로 인해 상용화 과정에서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문제를 논의할 때 IPTV가 이용자 중심의 매체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이용자의 복지에 대한 논의가 부족했던 것이 사실이다. IPTV는 정보맞춤형 매체로써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방송과 통신의 결합 특성을 가지고 있는 만큼 각각의 분야에서 고려되어 하는 이용자 복지를 포괄해야 한다. 이를 보편적 서비스(Universal Service) 개념으로 설명할 수 있다. IPTV는 방송이라는 측면에서 문화적 통합수단으로 기능하는 방송의 특수성을 갖기 때문에 최소한의 미디어 이용 접근권과 내용의 다양성이 보장되어야 하며, 통신이라는 측면에서 유료매체로써 제공되는 합리적인 요금체계가 보장되어야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국내외 IPTV 현황을 살펴본 결과를 바탕으로 IPTV 이용자 복지 증진을 위한 정책방안을 정보 맞춤형 매체로써의 내용적 차원(content), 유료 매체로써의 요금의 차원(fare), 새로운 디지털 매체 접근으로써의 디지털 리터러시 차원(digital literacy) 세 가지로 분류하여 제안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국내 지상파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해외 판매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유세경(Yu Sae Kyung),정윤경(Chung Yoon Kyung) 한국방송학회 2000 한국방송학보 Vol.14 No.1

        Program is a public good - that is, one with fixed costs and low marginal cost. Competitive advantage lies in reaching the largest audience for each program and in exposing the product in as many different markets as possible. For these public good characteristics of television programs, every nation tries to secure oversea markets for its additional windows and similar efforts are being made in Korea. Questions frequently asked in this current circumstance may be what kind of programs are better to be exported and to which country Korean programs are exported. Based upon those needs, this paper examines the determining factors of Korean terrestrial television program exports to foreign countries. Especially, this study examines 1) factors external to the program influencing export volume, 2) factors internal to the program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program is exported. International program flows are influenced by two kinds of different dimensional factors: Factors external to the program, and factors internal to the program. Regarding the external factors, some critical theorists have seen asymmetrical one way flow from U.S. to the rest of the world as part of a general effort of the American military industrial complex to subject the world to military control, electronic surveillance and homogenized American commercial culture. More recently, several scholars have argued for a microeconomic model in which one-way geographic flow emerge as natural consequences of firm and industry responses to the commercial incentives created by the divisions within a heterogeneous world audience for programs. On the while, some authors have presented middle-range approach for the international transfer of television programs which sees the flow as a process influenced by favorable regulatory climate for imported programs, political and financial support for imports programs, linguistically and culturally appropriate target audience, appropriate technology, etc. That is, international program flows are influenced by political, cultural, economic factors. This paper adopts middle-range approach for the analysis of sales volume for each country. Previous studies on the area have identified specific factors such as direct/indirect broadcasting regulation, population, GNP, number of national television sets, number of terrestrial TV channels, number of pay TV channels, total amount of TV advertising, VCR penetration, cable penetration, satellite TV penetration, geographical proximity, trading volume and population movement volume between two countries. On the other hand, investigated internal factors influenced the international program flows are rating of a program, the number of episode of a program, and the main topic dealing in a program. For the analysis of the first research question, this study adop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logistic analysis is adopted for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The result shows that a program with a higher rating is more likely to be sold to a country that has higher population exchange with Korea, and that has a smaller domestic market. From the result, we can deduce several implications. First, Korean program exports is more likely to be influenced by cultural factors rather than political or economic factors. Therefore, we can find some restrictions of microeconomic model in explaining program exports of peripheral countries. Maybe microeconomic model is suitable only to explain the program export of the U.S. that has the world’s largest domestic market as well as invest the largest amount of budget to program production. Secondly, we can cautiously conclude that broadcasting companies in Korea should compete each other for higher rating in a favorable sense, because program with a higher rating is more likely to export no matter how long it is, or what it deals with. Along with the effort to create more attractive programs, scientific programing strategy and marketing can help to raise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