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농촌관광 동기, 농촌관광지 선택요인, 농촌체험관광프로그램 선호도의 차이분석
유광민,김기완 한국관광학회 2009 관광학연구 Vol.33 No.4
Family characteristic is an important factor deciding the demand for rural tourism. Family life cycle affects motivation and destination choice factors and preference of experiencing programs rural tourism provides. Existence or not of one’s kids and age level have an important effect over rural tourism destination selection.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relaxation with family in the rural destination is more important factor than that of communication with other people. Authors found that rural destination was considered as a place in which natural attractiveness and its quality of service scape do important roles in promoting rural tourism. Authors arguer rural tourism needs market segmentation strategy according to family life cycle.
캠핑장의 쓰레기 분리배출 행동의도 분석 -고차요인구조 TPB 모델의 상호작용효과를 중심으로-
유광민,김남조 한국관광학회 2013 관광학연구 Vol.37 No.7
This study was to seek the management strategy for the separating garbage discharged in camping site, investigating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sub-component constructs in high order factor the TPB model, which deals with attitude and subjective norms, PBC as the concept of multiple variable. High order factor TPB model is the appropriate model to understand behavior intention than the previous TPB model, because high order factor TPB model has a high explanatory power and attitude, subjective norms, PBC is not single construct, but multiple construct variable. And according to interaction effects between sub-component constructs, perceived difficulty and injunctive norm reduce the impact of instrumental attitudes on behaviour intention. This study suggest that to make low perceived difficulty level and reinforce instrumental attitude is the effective management strategy of separating garbage discharged intention. In the future research, it need to examinate interaction effects using high order factor TPB model for further detail understanding about behavior and intention. 본 연구는 캠핑장에서의 쓰레기 분리배출에 대한 관리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태도, 주관적 규범, PBC를 단일 변인이 아닌 복수의 구성 개념으로 다루는 고차요인구조 TPB 모델의 하위 구성 개념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고차요인구조 TPB모델은 기존의 TPB 모델보다 행동의도를 이해하는데 더 적합한 모델로 밝혀졌다. 왜냐하면 고차요인구조 TPB 모델이 더 높은 설명력을 보이고 있으며, 태도와 주관적 규범, PBC가 단일 구성개념이 아니라 복수의 구성 개념임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하위 구성 개념간의 상호작용효과에 따르면, 인지된 어려움과 기술적 규범은 행동의도에 대한 도구적 태도의 영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인지된 어려움의 수준을 낮추고 도구적 태도를 강화시키는 것이 캠핑장에서의 쓰레기 분리배출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전략임을 의미한다. 그리고 향후 연구에서 본 연구에서 검토하지 못한 행동과 행동의도에 대한 각 변인간의 상호작용효과에 대한 검토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기후변화 발생 책임인식이 관광 상황에서 개인 규범과 친환경 행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유광민,김현정,김남조 한국관광학회 2015 관광학연구 Vol.39 No.5
Tourism is being asked for efforts to adapt climate change. Promoting pro environmental behaviour of tourist is the important strategy about it. But in tourism condition, tourist have a tendency to lower participation in eco-friendly behavior. So, strategies to promote pro environmental behaviour is needed. In order to establish appropriate strategies, it is needed to understand which factors facilitate pro environmental behaviour. This study conducted the responsibility about climate change influence on personal norms and pro environmental behaviour. According to study result, personal responsibility among responsibility about climate change activate personal norm and promote pro environmental behaviour in tourism condition. And descriptive norm than injunctive norm among personal norm have more powerful influence on it. Therefore, to increase tourist's participation on pro environmental behaviour, activities to raise the awareness that tourist has the responsibility about climate change and tourist's action conducting pro environmental behaviour on tourism condition is more desirable are necessary. 관광산업에서도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노력을 요구받고 있다. 관광객의 친환경 행동에 대한 참여 촉진은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중요한 전략 중의 하나이다. 관광 상황에서 관광객들은 친환경 행동에 참여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관광 상황에서 관광객들이 친환경 행동에 참여를 촉진하기 위한 전략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관광 상황에서 친환경 행동이 어떠한 요인에 의해 촉진되는지에 대한 분석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대한 책임인식과 개인 규범이 친환경 행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시도하였다. 기후변화에 대한 책임 인식 중 개인 책임인식은 개인규범을 활성화시켜 친환경 행동을 촉진하며, 개인 규범 중 기술적 규범이 명령적 규범보다 친환경 행동을 촉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관광객들의 친환경 행동에 참여를 촉진하기 위해서 관광기업들은 관광객들의 비 친환경행동이 기후변화 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친환경 행동을 하는 것이 바람직한 관광객이라는 인식을 높이기 위한 활동을 전개할 필요가 있다.
관광박람회의 고객자산 동인이 고객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관여도의 매개·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유광민,권유홍 한국관광학회 2014 관광학연구 Vol.38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stomer equity driver's influence on customer loyalty in a travel fair. Customer loyalty is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corporate profits, as such the customer can be considered a corporatation's asset. It is the trend nowadays to increase customer equity, and 'customer equity' is a driver of this change. According to Rust et al. (2000; 2004), there exists three important customer equity drivers: value equity, brand equity, and relationship equity. This study focuses on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role of involveme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equity drivers and customer loyalty. Data was collected from 143 participating companies at the 2013 Naenara Travel Fair. Results support the mediating role of involvement in the causal relationship of customer equity drivers and customer loyalty. Regression analyses indicates that brand equity has a greater effect on customer loyalty than value equity or relationship equity. Practical implications and research recommendations are discussed.
지역별 혁신성과 격차와 성장요인 분해분석 : LMDI의 활용
유광민,김동관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21 산업혁신연구 Vol.37 No.1
Existing studies on regional innovation are mainly focused on innovation competitiveness. Because performance of regional innovation is staggered and definition is too comprehensive and measurement is not easy. However, innovation performance is an important variable in regional innovation, and various attempts are needed to analyze it. This paper set number of patent applications as a metric for regional innovation and examined the gap in innovation among regions using Herfindahl–Hirschman Index(HHI). And Logarithmic Mean Divisia Index(LMDI) decomposition analysis was used to divide increase in regional innovation into scale effects, efficiency effects and structural effects. The results follow. First, and gap among regions are decreasing. Second, research personnel and R&D investment, which are input factors for regional innovation, was different from region to region. Third, almost increase in regional innovation has been dependent by scale effects. Findings provide policy implications that expanding input factors, especially R&D investment, is effective in order to reduce regional innovation and gaps. 지역혁신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기존 선행 연구들은 주로 투입물인 혁신 활동을 중심으로 다루는 사례가 많은데, 이는 지역 혁신성과는 시차를 두고 발생하고 범위에 대한 정의도 포괄적이며 측정도 쉽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혁신성과는 지역혁신의 중요한 변수이므로 이를 분석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특허출원 수를 지역 혁신성과의 측정지표로 설정하고 허쉬만-허핀달 지수를 통해 지역 간 혁신성과의 격차 추이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로그평균지수(LMDI) 분해분석을 활용하여 지역 혁신성과의 증가를 규모 효과, 효율성 효과, 구조효과로 분해하였다. 2001~2018년을 연구범위로 설정하고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첫째, 지역 간 혁신성과 격차는 감소하고 있다. 둘째, 지역 혁신성과의 투입요소인 연구인력과 연구개발비의 성장은 지역별로 상이하게 나타났다. 셋째, 지역 혁신성과의 증가는 대부분 규모 효과가 가장 두드려졌다. 분석결과는 현 시점에서도 여전히 지역 간 혁신성과 격차 감소를 위해서는 투입요소의 확대, 특히 연구개발비의 확대가 효과적이라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전반적으로 지역 혁신성과가 규모효과에 의하여 증가하고 있는데 중장기적으로는 지역 혁신성과가 단위 당 투입의 증가 효과인 효율성에 의한 창출방식으로 전환되어야 국가 전체의 연구개발 투자효율성이 제고될 것이다.
캠핑장 서비스스케이프가 지각된 가치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물리적, 자연적, 사회적 서비스스케이프를 중심으로 -
유광민 한국관광학회 2014 관광학연구 Vol.38 No.10
This study explores the implication of campsite environmental development and management plan by analyzing the relation between physical, social, natural 'servicescape' and customer's perceived value, satisfaction, behaviour intention and the validity of the model that treat the physical, social, natural 'servicescape' as the individual constructs. Analysis confirms the current model has both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And convenience in the physical servicescape, staff in the social servicescape, fascination and compatibility in natural servicescape influence on customers' satisfaction and perceived values, strongly rather than other factors. Perceived values all have an effect on customers' satisfaction and behavioural inten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strategies to increase the attractiveness and the convenience of the physical environment, the staffing of social servicescape, increase the element of fascination and compatibility of the natural servicescape, are the main priority in developing and managing camping sites with competitiveness. 본 연구는 캠핑장의 물리적, 사회적, 자연적 서비스스케이프를 개별적인 구성개념으로 다루는 서비스스케이프 모델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고객의 지각된 가치와 만족도, 행동의도와의 영향관계에 대한 분석을 통해 캠핑장 개발과 관리에 대한 시사점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그리고 분석결과는 개별 구성개념의 측정모델의 타당성이 확보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물리적 서비스스케이프 중에는 편리성이, 사회적 서비스스케이프 중에는 직원이, 자연적 서비스스케이프 중에는 매혹성과 화합성이 고객의 만족과 고객의 인지된 가치에 다른 요인들보다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물리적 환경의 매력성과 편리성, 사회적 서비스스케이프의 직원, 자연적 서비스스케이프의 매혹성과 화합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전략이 캠핑장의 경쟁력을 지닐 수 있도록 개발되고 관리되어야 할 가장 중요한 것임을 시사하고 있다.
유광민,김남조 한국관광학회 2011 관광학연구 Vol.35 No.8
90년대 이후, 국내 리조트 개발은 대기업이 중심이 되어 다양한 형태의 리조트가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운영 중인 리조트 중 제주도를 제외한 지역의 46개 리조트를 대상으로 이러한 현상을 발생시키는 사회 구조적 배경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본 논문은 리조트 개발에 대한 대기업 참여와 입지확산은 자본축적의 유연성 확대와 부동산 개발을 통한 안정적인 자본축적 전략과 이동성 강화에 따른 고급 이미지와 기호가 통합된 건조환경에 의존하는 공간의 구별짓기를 특징으로 하는 소비촉진 전략에 의해 영향 받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From the perspective of commodification of space in the post-modern society, this study analyzed the diffusion of resort location and commodification of resort space in Korea. Specifically, this study explored the development of 46 resorts of Korea which were located all over the country, excluding those in Jeju Island. A critical analysis on the statistical data and related literature showed that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resorts and the expansion of resort location in Korea have been attributed to many factors. First and foremost, the increasement and diffusion of resort locations in the 1990s and 2000s could be explained from the perspective of stable capital accumulation strategy of large companies of Korea. Geographical analysis of the locations of the resorts also suggested that the diffusion of resort location was closely related the increased mobility(i.e., the development of express way development over the last two decades). This study also found that the resort companies used diverse promotion strategies for resort space consumption such as space distinction, which was based on the luxurious images of built environment.
유광민,김남조 한국관광학회 2011 관광학연구 Vol.35 No.10
Tourist space has been regarded as a space of social class.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nsumers' social class based space differentiation strategies of 15 Korean ski resorts.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using three different methods in 2010: questionnaires survey on resort staffs, visiting homepages and on-site observations.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Korean ski resort tended to differentiate their resort space and facilities for different types of consumers. Particularly, the Korean ski resorts had a separate entrance for a facility or space of high social class. In addition, in many cases, the Korean resorts located more expensive and luxurious lodging facilities on a separate place of higher altitude area. Facilities and spaces for high class were also likely to have a better landscape and window view.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location and placement of the ski resort facilities might be the result of consumers' social class based differentiation strategies of Korean ski resorts. The strategies might reinforce the class identity of resort consumers and stimulate their consume desire. 본 연구는 국내 스키리조트를 대상으로 리조트 소비시설에 작용하고 있는 계층적 질서와 소비촉진전략을 분석을 통해 리조트 시설의 입지에 작용하고 있는 원리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 자료는 리조트 개발이나 운영전략 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리조트 홈페이지와 현지 방문조사를 통해 수집되었다. 본 연구에서 리조트 시설은 소비계층에 따라 유형이 구분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입구 그리고 공간의 구분, 고도, 이동통제, 시선두기 차이 등의 방법을 통해 소비계층에 따른 시설을 차별화하기 위한 공간 전략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리조트 시설의 입지나 배치는 사회계층에 따른 소비를 촉진하기 위한 소비계층 구분과 이를 반영한 공간분리, 이용자의 시선차이와 움직임의 차이를 반영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리조트 시설의 입지와 배치는 소비계층에 따른 소비자의 욕망 자극과 소비계층의 정체성을 강화시키기 위한 공간적 전략의 결과이다.
유광민 한국관광학회 2012 관광학연구 Vol.36 No.10
Onyang hot-spring resort was formerly used as a hot-spring cure by Kings of the Joseon Dynasty was changed into a destination visted by members of the former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and by upper social class members whom visited the site for honeymoon purposes. This study conducted analysis how Onyang Hot-spring resort became an upper social class honeymoon destination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Onyang, in the former modern society, was an object of mimetic desire as space of sacred hot-spring cure. The colonial modern society newly reconstructed the model of mimetic desire on and space of Onyang hot-spring resort, where it became an example of a modern object of mimetic desire to persue. And hot-spring resort was also organized culturally as an admire object which served to justify Japanese colonial rule. Honeymoon is conducted by mimetic desire to play a role of sacred model Onyang hot-spring resort which became object of mimetic desire of modern society could be preferred as honeymoon destination. Preference and change as honeymoon destination can be explained by the model change of mimetic desire and cultural change of tourist gaze about destinations.
관광지 재생 연구방향 모색을 위한 관광지 재생 의미와전략 선행연구 분석
유광민,장병권 한국관광학회 2012 관광학연구 Vol.36 No.5
This paper seek to contribute to the study of tourism destination regeneration by analysing the historical and contextual elements of destination regeneration and past strategy studies. Academic interests pertaining to tourism destination regeneration has been deficient; perhaps partly due to the lack of mutual agreement on the concept and how it’s defined. Previous related studies which focused on Butler‘s Resort Life Cycle Model do not address considerations related to information on social factors or the regeneration strategies of capital and agencies. The analysis confirms that tourism destination regeneration should also be considered according to a development paradigm with recognition of social and relationship change; prompting a multidimensional strategy which includes the physical surrounding, political and economical, and cultural factors.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ories that can better understand the social relationship and other practices to have space production and reinforce the application of tourism destination regeneration studies. 이 연구는 관광재생의 의미와 재생 전략에 관한 선행연구에 대한 분석을 통해 관광지 재생연구 방향을 모색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관광분야에서의 관광지 재생에 대한 학문적 관심은 매우 부족한 상태이다. 그리고 관광지 재생의 의미에 대한 이해 또한 합의되어있지 않다. 버틀러의 리조트 라이프사이클 모델에 의존하여왔던 이전의 관광지 재생연구들은 자본과 행위주체의 전략과 관광지를 변화시키는 사회적 요인에 대한 이해와 정보를 제공해주지 않는다. 관광지 재생은 사회변화에 따른 개발패러다임과 사회적 관계의 변화에 대한 이해를 추구해야 하며, 이는 물리적 환경과 정치경제적인 그리고 문화적 영역을 포함하는 종합적인 전략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서는 관광지 재생전략에 대한 이해를 강화시키고 관광공간의 생산을 발생시키는 사회적 관계와 실천을 이해할 수 있는 이론의 적용과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