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견갑하건 부착부의 제1부착면에 대한 초음파 소견의 기술적 연구

        손훈상(Hoon-Sang Sohn),위찬국(Chan Kuk Wi),손민수(Min Soo Shon) 대한정형외과학회 2019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4 No.4

        목적: 병변이 없는 견갑하건 부착부를 가진 환자를 대상으로 초음파를 통한 견갑하건의 부착부, 특히 제1부착면에 대한 초음파적 영상 소견 및 그 크기를 기술하고 인구통계적 특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5년 3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견갑하건 부착부에서 병변이 없는 것으로 확인된 시행된 115예(평균 연령 53.4세, 범위 23-74세)를 최종 평가대상으로 하여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초음파를 통한 견갑하건의 부착부에 대한 검사상 가장 상부에 위치하면서 제2부착면 이하 부착면들과 뚜렷하게 구별되는 넓고 평편한 형태와 상방으로 향하고 있는 제1부착면을 확인하였으며 제1부착면의 상완골 간부의 축에 대한 횡축과 종축상의 길이를 측정하였다. 또한 각 예의 나이, 성별, 키, 체중, 체질량지수 및 팔 길이를 측정하였다. 결과: 초음파 검사를 통하여 측정된 견갑하건의 제1부착면의 평균 횡적 길이는 12.75 mm (범위 10.54-14.50 mm, 표준편차 0.712), 평균 종적 길이는 12.22 mm (범위 9.20-13.30 mm, 표준편차 0.888)였다. 성별간 견갑하건의 제1부착면의 크기는 횡적 길이와 종적 길이 모두에서 남성에서 유의하게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p<0.001, p=0.001). 양성의 선형 상관관계를 보이는 키, 체중, 체질량지수, 팔 길이 요소들 중 견갑하건의 제1부착면의 종적 및 횡적 크기 모두에서 키와 가장 강한 양성 선형관계를 보였고(횡적 길이 r=0.749, p<0.001; 종적 길이 r=0.642, p<0.001), 체질량지수와는 약한 양성 선형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 외 좌우부위 및 나이는 제1부착면의 크기와의 통계적 유의성이나 선형 상관관계를 보이지는 않았다. 결론: 병변이 없는 견갑하건 부착부의 초음파적 영상 평가를 시행하여 그 부착부, 특히 가장 상부의 제1부착면의 구조적 및 형태적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견갑하건 파열에 대한 초음파 진단적 검사에 대한 해부학적 기초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ocument the sonographic morphology of the subscapularis footprint, particularly the 1st facet, of the non-pathologic subscapularis tendon and footprint, and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ize of the 1st facet and the demographic variable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March 2015 and December 2017, retrospectively data analysis was performed for the ultrasound (US) scans of 115 consecutive shoulder (mean age 53.4 years, range 23-74 years) with non-pathologic subscapularis tendon and footprint. The sonographic findings of the 1st facet of the subscapularis footprint was a very unique, flat, broad, and plane angle in the upward direction, which were distinguished from the other facets. On US, the transverse (medio-lateral) and longitudinal (superior-inferior) length of the 1st facet on axis of the humerus shaft were recorded. The demographic variables, including age, site, body height, weight, body mass index (BMI), and arm length, were reviewed. Results: On US, the mean transverse length of the 1st facet was 12.75 mm (range 10.54-14.50 mm, standard deviation [SD] 0.712) and the mean longitudinal length was 12.22 mm (range 9.20–13.30 mm, SD 0.888). The transverse and longitudinal length of the size of the 1st facet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males than in females (p<0.001, p=0.001). Of the demographic data (body height, weight, BMI, arm length) that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linear correlation, the correlation with body height (transverse r=0.749, p<0.001; longitudinal r=0.642, p<0.001) showed the strongest relationship, and the correlation with the BMI was weakly rel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ize of the 1st facet to site/ag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or appeared to have no linear correlation. Conclusion: The structural and morphologic features of the 1st facet of the subscapularis footprint on the US were identified. This will provide anatomic knowledge of an US examination for subscapularis tendon path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