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체' 문제에 대한 기독교교육적인 성찰 : AI‘대화모델'(ChatGPT)과 인간의 지식의 창의성을 중심으로

        원신애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23 기독교교육정보 Vol.- No.78

        After the COVID-19 era, the so-called transhumanism era or posthumanism era is facing the era of ChatGPT while creating various forms of communication. In the midst of urgent changes in the times, the form of communication of subjects is distorted or created in an advanced aspect. Nowadays, the idea that technology can be used to enhance human mental and physical abilities is collectively referred to as 'transhumanism,' which is also compatible with posthumanism. If subjects in the 20th century were stimulating and primary but hidden behind anonymity, subjects in the 21st century raise fundamental questions about who the 'subject' is due to the excessive positivity and transparency of information and digital communication. This paper first briefly reviews the subject concepts of humanism and postmodernism, and examines whether Generative AI of the 'dialogue' model called ChatGPT can replace the subject role of discourse led by humans (natural people). Secondly, the consciousness of confusion provided to us by the information of excessive positivity and the digital interaction of conversation, that is, the confusion of the subject of “which one is which?” is reviewed. Thirdly, the subject of knowledge creation that will arise due to the concern that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will lead the creativity of future knowledge is reviewed. Finally, the subject's knowledge creativity and knowledge ecological paradigm are discussed from the Christian educational point of view.

      • KCI등재

        포스트휴머니즘시대의 인간존재의 피로성에 관한 기독교교육적 고찰 : 영화「마이너리티 리포트」에 대한 성찰을 중심으로

        원신애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22 기독교교육정보 Vol.- No.74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between transhumanism and posthumanism strictly. The former focuses on the situation of "human improvement," or improved human beings by means of science and technology, while posthumanism focuses on the situation of 'post- human beings' which is hard to imagine. Our present era is referred to as the era of transhumanism or posthumanism, and a new generation of this era is named the MZ generation. Even when times and generations change, the fatigue of human existence appears as a behavior of fear of emptiness, leisure, and thought. We are at the peak of human existence fatigue due to the excess positivity and transparency of information and digital communication. First, this study examines the ide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post-human era and attempts to review the perspective from a Christian education regarding the fatigue of human existence caused by excessive positivity in the digital information technology society. Secondly, we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ranshumanism and posthumanism in the text of the movie Minority Report and examine whether the social defense mechanism of ‘pre-’ can offset the fatigue of human existence or make people responsible for their free will. Thirdly, it presents the reflective alternative of Christian education based on the review of the fatigue of human existence of the MZ generation and the approach of critical posthumanism. 트랜스휴머니즘과 포스트휴머니즘을 엄밀히 구분하기는 어렵지만 전자는 '인간의 개선', 즉 과학기술을 통한 인간개선의 상황에 초점을 맞추고, 포스트휴머니즘은 현재의 인간과는 구별되는 상상하기 힘든 인간 ‘이후’(Post-)의 상황에 초점을 맞춘다. 이 시대를 트랜스휴머니즘 또는 포스트휴머니즘의 시대로 일컬으며, 이 시대의 새로운 세대를 MZ세대라고 부른다. 시대와 세대가 바뀌어도 인간 존재에 대한 피로감은 공허함과 여유, 생각에 대한 두려움의 행동으로 나타난다. 우리는 디지털 정보기술사회의 지나친 긍정과 투명성으로 인해 인간존재의 피로성의 정점에 있다. 먼저 이 연구는 포스트휴머니즘 시대의 이념적 특성을 살펴보고 디지털 정보기술사회에서 과도한 긍정으로 인한 인간존재의 피로감에 대한 기독교적 교육적 검토를 시도한다. 둘째,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의 텍스트에서 트랜스휴머니즘과 포스트휴머니즘의 특성을 살펴보고, 'Pre-(先)/예방/ 예견'의 사회 방어메커니즘이 인간 존재의 피로를 상쇄할 수 있는지, 아니면 자신의 자유의지에 대한 도덕적 책임을 지게 할 수 있는지 살펴본다. 셋째, MZ세대의 인간존재의 피로성에 대한 검토와 비판적 포스트휴머니즘의 접근에 터한 기독교교육적인 성찰적 대안을 제시한다.

      • KCI등재

        영상미디어 시대의 포스트모던 기독교 성인교육

        원신애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4 기독교교육논총 Vol.40 No.-

        The goal of this study is suggest the possibility of Christian education for 'Emerging Adulthood' learned from the postmodern media values by analyzing the drama 'Chongdamdong Alice'. This study focuses on the influence of the humanities related the drama mentioned above. Furthermore, This paper also is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emerging adulthood' from that drama which can be a motive power of our Christian community. First of all, the paper criticizes entertainment storytelling, consumerism, and neoconservatism on the basis of media culture from the drama. Secondly, this paper deals with the symptomatic interpretation of emerging adulthood in fantastic narratives and Todd’s syndrome (or Alice syndrome). In this paper, I examine the drama 'Chongdamdong Alice' in terms of 'cultural contents' related to entertainment storytelling. I believe that Christian educators must learn from how to deal with cultural contents by analyzing storytelling, the humanities, and Christian connotation. Thirdly, this paper explores the significance of mini-narratives and Christian identity learned form Caputo's postmodern idea of undecidability. Undecidability is “the condition that antedates, provokes, permeates, and follows upon decision.” Undecidability contributes to a life of decision-making. The postmodern rejection of universal rationality and meta-narratives in favor of particular stories may appear to be a welcome development as possibilities of de-westernization. Nevertheless, many alleged postmodern pedagogies still operate within, and are fueled by, unacceptable modern dualities. Because the older generations - the Builder and Boomer Generations have their value systems and faith based on meta-narratives of the Korean Christian doctrines, they cannot understand and adjust to the paradigm shift in culture and society that marks the postmodern era. The understanding of generations and postmodernism is very important for the Christian family and church because this understanding is inextricably an understanding of those historical, linguistic, and cultural contexts that must inform any successful pedagogy. With Caputo’ idea of undecidability in mind, we as Christian educators can better engage the ethical responsibilities that postmodernism bestows on us and offer the conceptual resources for bridging the gap between emerging adulthoods and older generations. 본 연구는 일상의 보수주의를 가장 잘 드러내주는 '강남의 보수주의'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드라마 「청담동 앨리스」에 나타난‘앨리스 증후군’을 중심으로 88만원세대 혹은 2030세대와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징을 살펴보고, 기독교 성인교육의 관점에서 재해석을 시도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의 영상문화의 영향력에 대하여 살펴볼 것이다. 본 논문은 영상미디어 시대의 드라마속의 인문학을 살펴봄으로써 성인 모색기의 ‘사유’의 방식을 검토하겠다. 드라마 「청담동 앨리스」에 나타난 ‘앨리스 증후군’에 대한 사회, 심리학적 이해를 통해서 기독교 성인교육에 대한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가 한국교회의 기성세대를 크게 세 층위로 나누어 본다면, 건설세대〮 · 노인세대(Builder Generation), 부머세대 · X세대(Boomer Generation), 버스트 세대(Buster Generation), N세대(Net Generation)이다. 그러나 드라마 「청담동 앨리스」를 통해서 미래세대를 N세대 즉, ‘신세대’라고 말하기엔 그 특성을 모두 설명하기 어렵다. 따라서 ‘성인 모색기’라는 미래세대에 대한 규정은 교회공동체 구성원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교회교육이 ‘성인 모색기’를 이해해야 하고 교육을 위한 대안을 탐색해야 하는 주된 이유는 그들에 대한 이해가 역사적, 언어적, 문화적 상황들에 대한 이해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성인 모색기란 20세에서부터 30세 정도의 연령층이라고 규정하고, 이들은 자신의 신체적 정체성과 현실적 삶의 정황의 간극 속에서 갈등하고 있다고 본다. 최근 들어 교육기간의 연장, 결혼과 출산 연령의 고령화 및 고령화 인구시대라는 새로운 사회적 구조의 변화는 20대를 더 이상 성인기로 규정하는 전통적인 시각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다. 교회공동체는 미래세대를 위해서 성인 모색기에 대한 이해와 교육에 더욱 집중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포스트모던 미디어 교육과 ‘기독교교육’의 조우에 대한 연구 -애니메이션 「토이 스토리」(Toy Story)의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원신애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2 기독교교육논총 Vol.29 No.-

        This paper will demonstrate how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modern media literacy and Christian education in reading the animation,Toy Story. Nowadays, we are faced with the New Media Era which includes digital media, the Internet, SNS, and Smart-phones such as the 4G LTE(4 Generation Long Term Evolution). I believe that the task of Christian education is related to how we realize the importance of media literacy and interpret many media productions such as movies, animation, and so on. First, this paper will suggest the significance of postmodern media literacy and cultural cognitive constructivism. Secondly, it is my contention that we explore and understand human beings in terms of cognitive science and the psychological aspects such as the feelings of loss, denial, negotiation and acceptance learnt from the animation, Toy Story . Toy Story trilogy will be my main example since many children around the world have watched and grow up with this animation and have felt various emotions from compassion to conflict over the last 15 years of the Toy Story production. Through Toy story, I examine the assumptions of the cultural interactions and cultural cognitive constructivism theories. Thirdly, this paper is an attempt for finding th possibility of encountering postmodern media literacy with Christian education. In this paper, I think that storytelling in Christian education, the Bible as well as ‘cultural contents’ of the media era is not only the old way of teaching but also a way of the origin of digital cultural society. In this sense, Christian educators must learn how to deal with the media by reconsidering the meaning of imagination by analyzing the cultural cognitive constructivism from the animation, Toy Story . In the New Media era, it is necessary that Christian educators have to learn how to utilize media literacy due to postmodern perspective. Hopefully, this paper proposes the task of Christian educators for the postmodern media literacy in using digital media productions such as animation. 이 논문은 애니메이션 『토이 스토리』(Toy Story)의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포스트모던미디어 교육과 기독교교육의 조우의 가능성을 살펴볼 것이다. 오늘날 우리는 소위 뉴 미디어 시대-디지털 미디어 문화, 인터넷, 소셜 네트워크, 제 4세대 통신 스마트폰 문화시대-를 직면하고 있다. 인류 문명은 문자의 발명으로부터 시작해서 근대를 거쳐 인쇄술의 발달로 인해 인간지식은 위력을 갖추고 과학이란 도구와 함께 산업혁명은 시작되었다. 21세기는 컴퓨터의 시대로서 정보기술 혹은 정보혁명과 더불어 인간의 삶과 문화 양식 전체가 변화되고 있다. 시대에따라 차이는 있으나 인간의 모습과 인간지식은 새로운 이미지(image)를 입고 재생되고 있다. 이미지는 단지 시각적인 문제가 아니라 우리가 존재하는 사회나 문화에 의해 형성된것이다. 이미지의 작동은 연속적인 인간문화의 산물이며, 이미지와 이미지 언어는 다양한분야의 참여를 이끌어 낸다. 영상문화 시대를 시각적 이미지의 강조와 확산으로 본다면,시각적 이미지가 우리 생활양식과 의사소통에서 중요한 부분이다. 이러한 의사소통의 시대적 변화 속에서 연구자는 본 논문에서 첫째로 포스트모던 영상미디어 문화 읽기의 중요성과 문화 인지적 구성주의를 검토하겠다. 둘째, 포스트모던 영상미디어 문화 읽기를 통하여 애니메이션 『토이 스토리』의 스토리텔링에 대한 기독교교육의이해를 살펴보겠다. 셋째, 포스트모던 미디어 교육의 의의를 살펴보고 포스트모던 미디어문화 읽기와 기독교교육의 조우의 가능성과 방향성을 제시할 것이다.

      • KCI등재

        포스트모던 시대의 「대중인문 교양교육」과 기독교 평생교육의 가능성-영화 「시」의 인문학적 성찰을 중심으로-

        원신애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3 기독교교육논총 Vol.33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Christian education related to the movie ‘Poetry’. This paper focuses especially on the influence of humanity which displays a newly emerging non-university humanity study is linked with lifelong education in terms of adult education movement. In addition,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uggest the possibility of Church education for the aged learners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ities. Also, this study focused on the symbol and the meaning of death from the movie mentioned above. There are several worthy findings as follows:First, the paper provides education with the significance of death portrayed in the movie, ‘Poetry’ set in the media era of the 21st century. Secondly, we are able to review the common issue that affects all generations through the symbol of death. Thirdly, the opportunities of a life long education strengthened in the sense that all generations found the mutual interdependency among the community of the ordinary daily lives between teaching and learning. The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the digital media for all generations. Finally, the aged learners faced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death and the crisis of old age. So they learned to overcome the fear of old ageby leaning on a lifelong education. Hopefully, this paper can contribute to both the old and the new generations overcoming intergenerational strife through understanding the symbol of the media. It is my intention that the argument for the symbol of death and a lifelong education from the movie will be covered by the digital era. I believe that both church education and humanity studies for the aged learners should be interlinked to make space for mutual communication which include the local population. 평생교육의 맥락에서 ‘학습’은 학습자의 경험의 변화가 내적인 통일성과 통전성(holistic)을 획득하는 전 생애적 과정으로서의 인문학적 사유방식이며 평생에 걸친 인간 발달과업의 하나가 된다. 포스트모던 시대의 평생학습으로서의 인문학습의 부활은 「대중인문교양」이라는 대중의 욕구로 자리매김 되었다. 평생교육의 「대중인문 교양교육」은 대중화 되었고, 인문학은 더 이상 특수한 계층의 전유물이 아니다. 기독교 평생교육의 과제는 대중의욕구 즉, 인문학에 대한 관심과 욕구를 어떻게 교회교육의 현장에서 녹아낼지를 고민해야할 것이다. 따라서 포스트모던 시대의 기독교교육은 평생교육 현장에서의 인문학의 부활과 활성화에 주목해야 한다. 이 시대의 기독교교육은 간학문적 연구를 위해 노력해왔다. 그러나 아직도 교회교육의 현장에서는 간학문적 노력 - 특히 인문학과의 연계성을 고려하지 못하고있다. 소위 대형교회 몇몇만이 교회에서 노인학교, 아버지 학교, 결혼준비 학교, 다문화 교회교육(예배) 반 등을 운영하고 있을 뿐이다. 국가지원의 평생학습도시를 중점으로 한 평생학습도시, 평생학습축제 등이 지역적으로 활성화 되면서 이젠 교회와 지역사회 연계성은 약화되고 있다. 교회교육의 구색을 갖추기 위한 프로그램운영으로는 지역사회와 연동이 없을 뿐만이 아니라, 교회의 교인들만을 중심으로 하는 교리교육 체제를 벗어나기 어렵다. 기독교 공동체는 포스트모던시대에 논의의 초점이 되고 있는 인문학을 중심한 평생교육의 「대중인문 교양교육」의 부활에 주목해야만 한다. 본 논문은 기독교교육의 노인을 위한 인문학적 성찰의 필요성과 평생교육의 가능성에대하여 살펴볼 것이다. 특히 영화 「시」에 나타난 노인을 위한 인문학적 성찰을 살펴봄으로서 교회공동체가 지역공동체로서 어떠한 역할을 해야 할지에 대한 기독교 평생교육의가능성을 검토할 것이다. 평생교육의 인문학 부활과 기독교 평생교육의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해서 영화 한편을 분석하여 연구를 일반화시키는데 한계가 있겠지만 평생교육이 전생애가 걸쳐서 이루어진다고 가정할 때, 영화 「시」속에 나타나는 노인을 위한 인문학적성찰은 일련의 메타포(metaphor) - 비유적 상징이 될 것이다.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소비문화에 대한 기독교교육의 성찰 : 드라마 「펜트하우스」를 중심으로

        원신애,Won, Shin-Ae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21 기독교교육논총 Vol.- No.66

        이 연구는 기독교교육의 성찰을 위해 보드리야르(J. Baudrillard)의 중요개념인 시뮬라시옹(Simulation)과 시뮬라크르(Simulacra) 등을 중심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한 단면을 분석할 수 있는 드라마 「펜트하우스」의 소비이데올로기, 이미지의 욕망 및 폭력 등에 관해 검토할 것이다. 보드리야르는 시뮬라시옹 개념이 대중매체의 발전에서 생겨났다고 보고, 대중매체는 결국 실재를 사라지게 하는 '시뮬라시옹의 출현' 혹은 '시뮬라시옹의 과정'이라고 설명한다. 보드리야르는 시뮬라시옹 과정이 대중매체가 지배하는 소비사회의 다양한 영역에서 진행되고 있다는 것을 지적한다. 시뮬라시옹은 이미지에 의해 실재보다 더 실재적인 초과실재를 산출하는 과정이며, 시뮬라크르는 시뮬라시옹의 결과이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기독교교육은 비판이론을 통한 비판적 성찰의 준거 기준이 합의 되지 않았다는 부정적 측면으로 인해 거부하지 말고 비판이론의 긍정적 입장을 고려해야 한다. 다시 말해서 대중매체가 주도하는 지배이데올로기와 소비이데올로기의 속성을 봐야한다. 특히 광고나 드라마 영화에서 보여주는 메시지는 시뮬라크르만 남아 실제보다 더 실제 같은 허상임을 보는 관점을 지녀야 한다. 미디어는 말을 하되 상대방의 응답이 이루어질 수 없게 만드는 미디어의 권력을 의미한다. 그것의 대표적인 예표가 텔레비전이며, 연구자가 드라마 「펜트하우스」를 분석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보드리야르는 맥루한(M. McLuhan)의 "미디어가 메시지다"(The medium is the message)라는 명제는 예상치 못하게 모든 내용물과 메시지가 미디어 속으로 사라져 버린 뒤에, 미디어 자신도 증발해 버린다고 지적한다. 그러나 기독교교육은 "하나님 말씀이 메시지"(The word of God is message)임을 가르치고, 배우고, 나누고, 전수하는 것이다. 또한 그 메시지는 내파되거나 함열되는 것이 아니라 영원한 진리로 계속 살아있는 메시지이다. 위기와 불안의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기독교교육은 사회 현상과 관련하여 대중/소비자/교인 개체들을 무저항적이고 무비판적으로 만드는 소비지상주의의 소비문화에 관해 끊임없는 성찰의 장(場)을 마련하고, 일련의 '전망대'의 역할을 감당해야 할 것이다. As a contemporary exponent of Bauderillard's Simulation and Simulacra, this paper aims to reflect on the 'consumer culture' criticized by Baudrillard from the lens of Christian Education in reading the Drama, Penthouse related to the notions of the consumption-ideology, the desire and violence of image in the post-Covid 19 era. As Baudrillard begins to realize that the concept of simulation rooted from mass media in the modern society, he explains mass media as the emerging of Simulation or the process of Simulation will lead to the impulsion of reality, which ends up with vanishing the original reality. Baudrillard is explaining in his argument that the process of Simulation proceeds among various areas of the contemporary society being manipulated by mass media. While Simulation is the process of producing the hyperreality characterized by the excess of images that seems more real than the original reality, Simulation brought about Simulacra as excess reality or consequently exploding reality. Christian educators in the post-Covid 19 must know how to deal with critical theory by considering positive ways of avoiding questioning of how to articulate what the norm of universal consensus is in the specific situation. In other word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nature of the ruling ideology and the ideology of consumption has been influenced or manipulated by mass media. Christian educators especially have to help young people in seeing the messages from the images of the screens, television, soap-opera, and commercial advertising making reality as Simulacre which is more real than the original reality. When the medium becomes the message, the power of medium makes the consumer not reach communication with it. This is the main reason in the controversy about the images on television drama, Penthouse and the impact of images on people's mind. As an exponent of McLuhan's belief that "the medium is the message", Baudrillard argues although the message and a subject of Simulacra(excessive reality) is unexpectedly disappearing, the medium itself is vanished through the silence of image. However, the task of Christian education has to fuel how we teach, learn, share and pass on the Word of God as the Message. Furthermore, it is worth noting that the Message of God cannot be vanished or burst with the impulsion of it, but exists forever. With Baudrillard's ideas of Simulation and Simulacra in mind, the work of Christian education as an observation platform can better engage the reflection on a consumer society of consumerism that makes Church community and a consumer irresistible against the Fake world.

      • KCI등재

        종교적 ‘상상력’의 렌즈를 통해서 본 영화 속의 다문화적 성격과 기독교교육의 가능성에 대한 고찰: 영화 '나니아 연대기'(The Chronicle of Narnia)를 중심으로

        원신애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0 기독교교육논총 Vol.23 No.-

        Nowadays, Christian education has been fueled by the work of deconstruction and postmodernism. We are involved in the task of Christian education related to criticism of sexual discrimination, fixed normativity, and phonocentrism. Many young people have been influenced by cyber-space imagery and movies. Furthermore, the Korean Christian community has been faced with a multi-cultural community which has become a pressing issue. It is essential to revie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luence of both the movies and the multi-culturalism. I believe that Christian educators must learn how to deal with the multi-cultural matters by reconsidering the meaning of imagination by analyzing the religious imagination, sympathetic imagination, and women’s subjectivity from the movie, The Chronicle of Narnia. In this paper, it is my intention to elicit on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distinctions addressed by the imagination, multi-media, cyber-culture, and postmodern culture. As a result, I am able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us imagination and the movie’s imagery. On the one hand, we positively can learn the multi-cultural values from movies. On the other hand, we criticize syncretism and entertainment industries, and consumerism on the basis of culture from movies. This paper regards the diction ‘wardrobe’ from the movie as the initiation to ‘understanding’ in terms of education. The assumption that enculturation starts with ‘understanding’ has been advocated by the study of issues related to hermeneutical understanding and constructivism. It is my belief that curiosity offers the possibility of engagement of enculturation, the sharing of our stories, and the use of an embodied imagination. I examine the matter of patriarchal dominance and androcentrism from the movie in terms of feminist studies which seek to overcome the conflicts of binary oppositions and to share of women's narratives. Education involves not only the work of the religious imagination, but also sympathetic imagination resulting to the education of care and the ethic of care. It is worth noting that a rehabilitation of the notion of imagination from the intriguing movie help educators reinterpret a story of our community and one’s own narratives. 본 연구의 목적은 영화 [나니아 연대기: 사자, 옷장, 마녀 편] (The Chronicle of Narnia)를 중심으로 미디어 문화의 다문화적 특성, 포스트모더니즘 교육이론, 구성주의적 해석학, 규범성과 상상력의 관계성을 검토하고 기독교교육과 관련하여 그것의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첫째, 영상문화의 다문화적 성격을 이해하기 위해 미디어 문화, 포스트모더니즘, 그리고 상상력의 관계를 살펴볼 것이다. 영상문화 혹은 미디어(media) 문화가 다양한 문화(multi- cultural society) 속에 급속히 파급되어 새로운 형태의 문화를 형성하고 있다. 미디어 문화는 미디어 혁명시대, 디지털 정보사회, 글로벌 정보사회(Global information Society) 등으로 명명되면서 인간의 상상력을 통한 가상공동체를 형성하고 국가, 경제, 군사적 힘을 기반 한 영토의 경계를 너머서 상이한 문화 차이를 체험하게 하고, 인종과 언어의 장벽을 너머서는 지구촌시대(globalism)시대를 초래했다. 한편, T.V.와 영화를 포함한 미디어 문화는 그 자체가 다양한 문화의 성격과 간접체험이라는 특성을 지닌 점에서 사이버 공간의 가상현실과는 구별된다. 영화 한편을 통해서 타문화권과의 접촉, 갈등, 반목, 화해의 모습을 투사 받게 된다. 특히 영화는 다양한 문화에 침투하여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영화자체가 다양한 문화를 우리가 체험하도록 해준다. 둘째, 영화에 나오는 사남매 중 루시(Lucy)가 처음으로 옷장 문을 통과하여 나니아 세계로 들어가는 것에 착안 하여, 옷장 문을 ‘이해의 입문’으로서의 교육이라고 규정하고, 그것의 교육적 의미를 살펴보겠다. 또한 이해의 입문으로서의 교육과 구성주의 교육의 해석학적 관련성을 검토하겠다. 셋째, 본 연구는 상상력의 유한성과 무한성을 살펴보고, 상상력에 기초한 기독교교육의 가능성을 검토하겠다. 『나니아 연대기』의 작가 루이스(C. S. Lewis)의 종교적 상상력이 영상을 통하여 그대로 전해진다. 이 영화는 소설이 보여주고자 하는 성서적, 도덕적, 교육적 상상력을 영상화 하는데 탁월하다. 성서에서 말하는 희생, 사랑, 죽음, 부활의 의미가 윤리적이고 교육적으로 전달된다. 『나니아 연대기』에서 볼 수 있는 미지의 세계에 대한 주인공들의 지적호기심, 에드먼드의 터키젤리에 대한 유혹, 사자 아슬란의 희생과 사랑 그리고 부활 등은 인간의 상상력의 유한성과 무한성을 보게 한다. 호기심은 인간의 무한한 지적 가능성으로서의 상상력인 동시에 오용될 경우에, 공동체를 파괴시키는 인간의 유한한 한계이기도 하다. 신학적 인간관의 입장에서 볼 때, 인간의 상상력은 인간의 유한성을 내포하지만 교육학적 입장에서 볼 때, 인간의 발전을 위한 무한성을 의미한다. 넷째, 본 연구는 영화 속에서 볼 수 있는 남성 중심적 규범성과 성차별에 대해서 상상력에 기초하여 검토할 것이다. 다른 한편 필자는 연민의 상상력(sympathetic imagination)에 기초한 규범적, 종교적 상상력의 가능성을 살펴보겠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기독교교육의 규범적 기초는 돌봄의 교육이며, 돌봄의 교육이란 여성스러움(femininity)-연민의 상상력에서 시작되고 타자(다문화, 다양성, 다름 등)를 통한 자기-인식에 이르게 됨을 논의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