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방송대형 스마트러닝 콘텐츠 모델 구현을 위한 교과목 시범적 개발

        우영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6 정책과제 Vol.15 No.-

        최근 스마트러닝에 대한 기대와 더불어 스마트 폰이 교육 분야에서 학습 성과 향상을 위한 도구로 인식, 활용될 가능성이 매우 높음이 시사되면서 사이버대학을 포함한 다양한 교육기관에서의 스마트러닝 구현을 위한 노력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이는 방송대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방송대는 새로운 교육방법으로서 스마트러닝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2011년부터 스마트러닝 환경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환경구축을 위한 노력을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본 연구에서는 2014년 실시된 ‘방송대 스마트러닝 구현을 위한 콘텐츠 서비스 중장기 전략 개발 연구’에서 제시한 스마트러닝 콘텐츠 모델에 따라 실제 교과목을 시범개발, 서비스해 봄으로써, 방송대형 스마트러닝 콘텐츠 모델을 구체화하고, 이의 구현을 위해 필요한 제반사항을 점검하여 향후 확장 적용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분석, 시범개발 과목 선정, 스마트모델에 따른 과목의 설계 및 개발 그리고 개발 결과물의 검증 및 반응분석이 실시되었다. 첫째, 선행연구 분석에서는 본 연구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1) ‘대학간 네트워크 기반 평생교육 활성화를 위한 스마트러닝 환경 구축방안 연구(우영희 외, 2012)’ 와 2) ‘방송대 스마트러닝 구현을 위한 콘텐츠 서비스 중장기 전략개발 연구’(김보원, 우영희 외, 2014)가 면밀히 검토 분석되었다. 둘째, 시범개발 과목으로 컴퓨터과학과 정재화교수의 ‘인터넷과 정보사회’ 과목을 선정하였다. 이는 2015년 1학기 신규 교과목으로 공통교양교과목이다. 연구 진행상 1학기 정규 일정에는 진행이 불가능했지만 12월 계절학기 과목으로 시범개발 결과물이 개설되었고, 약 350명의 다양한 학생들이 강의를 수강하였다. 셋째, 스마트 모델에 따른 과목의 설계 및 개발이 2014년 선행연구에서 제안된 스마트러닝 콘텐츠 모델 1단계에 따라서 이루어졌다. 1단계 모델의 핵심인 접근성 향상을 위해 반응형 웹을 적용 PC, 테블릿, 스마트 폰 등 학습자가 어떤 기기를 활용하더라도 동일한 내용을 학습할 수 있도록 설계, 개발하였으며, 현재 보유한 시설과 장비를 최대한 스마트하게 활용하여 증강현실, 전자칠판, 학습자 참여 등을 활용한 보다 역동적이고 상호작용 적인 콘텐츠를 설계, 개발하였다. 넷째, 개발 결과물의 검증 및 반응분석이 DMC 워크숍, 개발자 및 교수자 인터뷰, 그리고 학습자 설문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증강현실, html5, 전자칠판, 행아웃 등의 스마트테크놀로지와 전략이 활용된 스마트콘텐츠가 개발되었으며, 이를 학습자가 어느 기기 (PC, 테블릿, 모바일 등)를 가지고 학습하더라도 동일한 내용을 학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반응형 웹 콘텐츠가 적용 개발되었다. 시범 개발물에 대해 개발 참여자 및 교수자, 그리고 학습자 모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향후 우리대학 다른 콘텐츠로의 확대적용을 제안하였다. (완성 된 강의 콘텐츠는 2015년 DMC 최우수 콘텐츠로 선정되었음)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스마트 콘텐츠를 우리대학 다른 강의로 확대적용하기 위해 정책적으로 고려해 보아야 할 사항들이 1) 연구결과의 적용범위 및 방식에 대한 합의, 2) 반응형 웹 콘텐츠 개발을 위한 인력충원 및 교육지원, 3) 모바일 전달 플랫 폼 개선, 그리고 4) 스마트 콘텐츠 운영 및 발전을 위한 전담팀 구성을 중심으로 논의 되었다. ※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우리 대학의 반응형 웹 콘텐츠의 확대 적용 및 스마트 콘텐츠 개발 확대를 위한 TFT가 2015년 12월 DMC와 전산원에 만들어졌음. 본 연구의 연구협력관으로 참여한 개발자와 전산원 담당자가 TFT 메인 구성원으로 포함됨으로써 연구결과의 원활한 적용이 기대됨.

      • 방송대 강좌를 위한 온라인 협력학습 도입방안 연구

        우영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3 정책과제 Vol.12 No.-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과 그에 따른 변화에 발맞추어 대학 교육에서도 오늘날의 학생들에게 지식을 창출하고 공유하는 경험을 제공하고자 새로운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다양한 교수법의 활용을 시도하고 있다. 이중 대표적인 것이 웹기반 협력학습이다. 최근 웹2.0 및 위키, 트위터 등과 같은 사회적 소프트웨어의 발달과 이로 인한 학습자들의 커뮤니케이션과 학습스타일의 변화와 함께 웹을 기반으로 하는 협력학습이 더 주목받게 되었다. 이러한 현실은 20-30대를 주요 학생 구성원으로 가지고 있고, 온라인 기반 원격강의로 수업이 진행되는 방송대에 중요한 시사점을 던져 준다고 볼 수 있다. 특히 2010년부터 2011년까지 원격교육연구소에서 실시된 통합적코스의 개발 연구 결과 2011년 2학기에 처음으로 방송대 학부과정에서도 웹기반 상호작용 과목(김보원.신현욱교수의‘영미단편소설’)이 개발 운영되고, 학습자들이 LMS를 통한 토론 및 과제작성의 학습활동에 참여하여 튜터의 피드백을 받는 등 지금까지 와는 다른 웹기반 상호작용을 경험하고, 이에 대한 학습자들의 평가 또한 긍정적으로 나타나면서 이러한 과목의 확대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고, 2008,2009년 실시된 방송대 강좌에서의 교수학습활동의 다양화 방안연구, 그리고 2011년 실시된 ‘학문영역별로 특화된 이러닝 교수설계 전략 개발 연구’ 결과 방송대 과목에서도 학문영역별로 다양한 협동학습의 필요성이 제시되면서 방송대 온라인 협력학습에 대한 논의의 발판이 마련되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정책과제에서는 방송대에서 온라인 협력학습에 대한 교수자 및 학습자의 요구를 분석하고, 이러한 교육활동의 가능성을 정책적, 교육적, 환경적 요소별로 탐색해 봄으로써 방송대가 미래교육환경에 대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검토, 국내외 사례 분석, 교수 및 학생 요구 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기반으로 방송대 강좌에 적합한 온라인 협력학습의 방향을 도출하고 이에 따른 활용 모델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방송대 온라인 협력학습은 1) 단계적 접근의 적용, 2) 보다 많은 선택권과 다양한 상호작용의 기회 제공, 그리고 3) 튜터 및 그룹리더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함이 제안되었으며, 이 세 가지 기본 방향을 구체화하기 위한 과제 차원, 기술적 요소 차원, 제도적 차원의 필요요소들이 규명되었다. 과제차원의 필요요소로 과제의 수준을 구분하였다. 이는 활동 지속 기간, 과제의 난이도 및 복잡성 정도, 과제의 구조화·자율화 정도, 그리고 사회적 상호작용 수준 및 구성원 간 상호의존도의 정도에 따라 수준 1부터 수준 3까지 제안되었다. 온라인 협력학습이 이루어질 기술적 측면에서는 현재 통합적 코스를 위해 개발·활용되고 있는 LMS의 수정·보완을 통한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제도적 차원의 필요요소로 교수자 인센티브, 튜터 채점권, 협력학습 평가 비율 조정 등의 방안이 제안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는 위의 모든 결과를 반영하여 방송대에 적합한 협력합습 모델을 제안하고, 학습자의 관점에서 각 유형별 시나리오를 작성하였다. 먼저 두 가지 유형의 온라인 협력학습 모형을 제안하였는데, 이들의 구분은 앞서 진술했던 단계별 적용을 위한 것이다. 먼저 유형 Ⅰ은 수준 1, 2에 해당하는 협력학습 활동과 기존의 온라인 강의 수강 방식 중 택일하도록 하는 접근을 취하였다. 유형 Ⅱ는 협력학습 활동 중심으로 구성되며, 교수자 의도에 따라 다양한 난이도 수준의 과제의 적용이 가능한 방식이다. 유형 Ⅰ은 온라인 협력학습 활동 도입 초기에, 유형 Ⅱ는 어느정도 정착·안정기에 접어들었을 시기에 더 적합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온라인 협력학습을 방송대 강좌에 적용하고자 할 때 고려해 보아야 사항을 1) 교수·학습에의 시사점: 설계·개발·운영팀의 구성·활용, 세밀하고 체계적인 오리엔테이션, 스캐폴딩 전략 활용, 풍부하고 적절한 피드백 제공, 참신하고 적절한 온라인 협력학습 활동 구상과 2) 정책적 시사점: 중장기 계획에 근거한 단계적 도입, 협력학습 강좌 설계·개발·운영 지원 전략 수립, 인센티브 체제, 튜터 확보 및 운영, 보다 융통성 있는 평가 제도마련으로 나누어 제안하였다.

      • 문제은행 및 온라인시험 시스템 사용편의성 분석 및 개선사항 도출

        우영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20 정책과제 Vol.2020 No.-

        본 연구는 새롭게 개발된 문제은행기반 온라인시험 시스템이 우리 대학에 맞는 시험시스템에 될 수 있도록 올해 처음 실행되는 계절학기 시험 준비과정 및 활용 결과를 분석하고 교수자와 학습자들의 활용 겸험을 기반으로 사용편의성을 분석하여 개선점을 도출 반영함으로써, 향후 보다 많은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시험(대체 및 기말)으로 확대하기 전에 보다 효과적이고 안정적인 시스템으로 수정, 보완하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시행되었음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