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유치원과 어린이집 초임교사의 적응에 관한 비교 연구

        우서경(Woo Seo kyeong),이은미(Lee Eun mi),이소현(Lee So hyun),이현선(Yi Hyun sun) 한국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학회 2016 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연구 Vol.4 No.2

        본 연구는 초임교사가 유아교육기관에서 느끼는 여러 가지 문제들 때문에 고민하고 상심하는 일을 최대한 줄이고, 할 수 있다는 기대와 자신감을 갖도록 전문적인 지원과 정신적인 지원을 함으로써 영유아교육 현장에서의 초임교사로서의 어려움을 극복하는 것에 대해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파악하였다. 연구대상은 유치원,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초임교사 각 112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한 결과 본 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관 적응에 대한 어려움의 인적 요인으로 유치원 초임교사들이 어린이집 초임교사보다 학부모 상대하기에 대한 어려움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육적 요인으로 유치원 초임교사가 어린이집 초임교사보다 프로그램 계획, 실행, 평가하기에 대한 어려움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교육 외적 요인으로는 행사준비와 교실환경구성에 있어서도 유치원이 어린이집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른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적응에 도움이 되는 방안으로 자기성찰 및 의사소통에서의 자기개발이나 선배 교사와의 멘토링이 유치원 초임교사에게 보다 의미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부적인 교육이나 평가는 어린이집과 유치원 초임교사 모두에게 도움이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속연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은 다음과 같다.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규모나 환경이 비슷한 조건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필요하며 양적 연구보다는 질적 방법으로 연구하면 초임교사들의 어려움에 대해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것으로 보여 진다. 또한 유치원 초임교사들이 느끼는 어려움이 어린이집 초임교사에 비해 높게 나타난 요인들에 대한 대책 마련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reason why the beginner teacher is a beginner teacher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providing professional support and spiritual support so as to reduce the worries and feelings caused by various problem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 understood and grasped in depth the overcoming of difficul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0 elemmtary teachers who were working in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arly elemmtary teachers of the kindergarten showed higher difficulty in dealing with the parents than the nursery teachers. Second, as the educational factors, the first - year kindergarten teachers had more difficulty in planning, implementing, and evaluating programs than nursery first class teachers. Third, as the external factors of education, the kindergarten is higher than the nursery school in preparation of the event and composition of the classroom environment.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self - reflection and communication in self - reflection and mentoring with senior teachers were more meaningful for kindergarten first - time teachers. Second, It was not helpful to them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for further study. It is expected that research o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of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s with similar size and environment will be needed and further study on the difficulties of first-time teachers will be done by qualitative methods rather than quantitative researches. In addition, it is necessaiy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the difficulties felt by first - year kindergarten teachers are higher than those of first - time nursery teachers.

      • 유아교사의 좋은 수업을 위환 평가지표 구성요소 개발

        이일주(Yil Ju Lee),우서경(Woo Seo Kyeong) 한국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학회 2015 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델파이 기법을 활용하여 좋은 수업에 대한 전문가 집단의 요구도를 알아보고 그에 따른 자기 평가지표 구성요소를 도출하기 위해 D광역시에 근무하고 았는 전문가 집단 32명을 선정하였고 연구를 분석하기 위해 SPSS 통계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유아교육 전문가 32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개방형 설문조사를 1차로 실시하였으며 2차 텔파이 연구는 문헌분석과 1차 설문조사를 통해서 도출된 31개의 예비문항으로 ‘유아가 즐거워하는 수업(6)’, ‘유아가 중심이 되는 수업(9)’, ‘유아의 발달특성에는 수업(3)’, ‘준비된 교사의 수업(6)’, ‘교육신념이 있는 교사의 수업(7)’ 선정하였다. 2차 델파이 조사는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문항별 평균과 표준편차 변이계수를 구하고 변이계수가 30 이하인 경우 문항이 전문가 집단의 합의도가 없는 것으로 하여 제외 시켰으며, 이를 교수 2인과 박사 2인의 내용 타당도를 거쳐 구성하였다. 델파이 분석 결과 좋은 수업에 대한 전문가 집단의 요구는 ‘유아가 즐거워하는 수업(3)’, ‘유아가 중심이 되는 수업(6)’, ‘유아의 발달특성에 맞는 수업(2)’, ‘준비된 교사의 수업(3)’, ‘교육신념이 있는 교사의 수업(4)’의 5개 범주, 18개 요소가 도출되었다. This study SPSS statistical program in order to select the experts 32 people who worked on the D City to derive a self- evaluation index components accordingly recognize the needs of the expert group on good class to take advantage of the Delphi technique was analyzed research analyzed.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fessionals 32 open questionnaire consisting of persons targeted one was carried out by two car Delphi study literature analysis and primary survey with 31 spare items derived through Lessons to toddlers delight (6) , Class children are the center (9) , Classes meet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infants (3) , Class of prepared teachers (6) , Educational beliefs class teacher (7) we were selected. Second Delphi Survey stylized excluded that there is no consensus in the case to obtain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for each question coefficient of variation coefficient of variation of less than 0.30 are experts also question using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which Professor 2, Dr. causal 2 It was constructed through a phosphorus content validity. Delphi analysis of the needs of experts for the good lessons, Lessons to toddlers fun (3) , Class children are the center (6) , Classes meet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infants (2) , Class prepared teacher (3) , Educational beliefs teacher of the class (4) of the five categories 18 elements were derived.

      •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이일주(Yil Ju Lee),우서경(Woo Seo Kyeong) 한국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학회 2016 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연구 Vol.4 No.2

        본 연구는 어린이들에게 자연과 내가 하나라는 생각을 일깨워주고 자연에 대한 지식보다는 자연을 올바르게 보고 받이들일 수 있는 감성과 자연에서 실제로 일어나는 현상을 오감으로 체험하면서 생각과 사고의 변화를 꾀하며 이를 통해 배운 것을 실제 생활 속에서 실천해 내고 자연생태와 더불어 호흡하며 생명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통해 생명의 존엄성을 배우고 긍정적인 인성과 협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생태유아교육프로그램 개발을 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생태유아교육 관련 연구 중 2008년 3월부터 연구된 석사 및 박사 학위 논문을 분석하여 생태유아교육 연도별 연구동향을 알아보고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교육내용을 알아봄으로써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 분석을 통한 학문적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ach the children the idea of nature and I as one, to experience the emotions that can see and accept nature correctly than the knowledge of nature, I would like to use it as a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n eco-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to practice in real life, to breathe with natural ecology, to learn the dignity of life through correct understanding of life, and to improve positive personality and cooperation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research trends of eco -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analyzing the master s and doctoral theses that have been studied since March 2008 among eco - We want to establish an academic foundation through ana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