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용득의(龍得義)의 사상을 통한 아카이브 구축과 전망Ⅰ

        유성선,용호선 한국사상문화학회 2019 韓國思想과 文化 Vol.99 No.-

        Key words of Yongdeukeui(龍得義; ?-?) can be summarized into Hongcheonhak, the progenitor of Hongcheon Yongs, Tripitaka Koreana, Geumhaksan Mountain, Hakseoru, and Yongsusa Temple. Yongdeukeui’s date of birth and death in his life is not known. Therefore, the precedent studies and scientific discussion on Yongdeukeui cannot be examined. He is estimated to have directed re-engraving blocks of Tripitaka Koreana in Haeinsa Temple which had been destroyed by fire in the 1st rebellion of Mongolia for 16 years from 1236(The 23rd year of Goryoe Gojong’s reign) as he was a chief executive officer as Munhasijung of the Goryeo Dynasty for 30 years until the 12th year of Goryeo Gojong's reign. After that, he built Yongsusa Temple in Geumhaksan Mountain and made people raise their hopes. And he gave sermons about the Confucian classics and Sirye(詩禮) by founding Hakseoru as Suryeondoryang of Buddhists. He is estimated to have trained a lot of Dasa(多士) and Junjae(俊才). It is thought that Yongdeukeui made a contribution to the promotion of national culture of the Goryeo Dynasty. This discussion’s table of contents is Yongdeukeui’s Thought, life and learning and virtue/ Storytelling and the change of the publication of Tripitaka Koreanarma/ Building Geumhaksan Mountain(金鶴山) and Yongsusa Temple(龍遂[水]寺)/ The meaning and prospect. The writer recognized the necessity of examining the change of the publication of Tripitaka Koreanarma with a study on Yongdeukeui’s life and learning and virtue. And Yongdeukeui’s life in Hongcheon and the locations of Geumhaksan Mountain and Yongsusa Temple were exactly examined with an expert. It is thought that the development of content and building an archive to connect a memorial hall, Sutasa Temple, and Sansogil to one another are urgently required. Through these records, it is possible to locate and build Yongsusa Temple and Hakseoru in Geumhaksan Mountain and work after building the archive is up to experts and administrations and agencies in Hongcheon. The plan to build Hongcheon Archive through Yongdeukeui’s life and learning and virtue seems to be clear. In conclusion, if humanities content and guide app. through Yongdeukeui’s life and learning and virtue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the intellectual archive which supports multimedia resources can be built. 용득의(龍得義; ?-?)의 키워드는 홍천학, 홍천 용씨 시조, 팔만대장경, 금학산, 학서루, 용수사로 압축할 수 있다. 용득의의 생평상 생졸년은 미상이다. 따라서 용득의의 선행연구와 학술적 논의는 전무한 실정이다. 그는 1236년 고려 고종 23년부터 38년의 16년 동안 1차 몽골의 침입 때 해인사의 팔만대장경(고려대장경)이 소실되었던 것을 고려조 문하시중으로 재직하며 고종 12년까지 30년간 최고행정관으로 재 각판을 지휘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그는 만년 금학산에 용수사를 건립하고 중생들에게 희망을 주었으며, 불도들의 수련장으로 학서루를 창건, 경서와 시례(詩禮)를 강론하였으며, 다사(多士) 및 준재(俊才)를 많이 육성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용득의가 분명 고려조 민족문화의 창달에 기여한 것으로 여겨진다. 본 논의의 차제는 학행과 사상/ 팔만대장경(고려대장경)의 간행 추이 및 스토리텔링/ 금학산(金鶴山) 및 용수사(龍遂[水]寺) 자료조사와 건립/아카이브 의의와 전망이다. 논자는 여기서 용득의의 생평과 학행의 연구와 더불어 팔만대장경(고려대장경)의 간행추이를 면밀하게 살필 필요성이 있음을 인지하였다. 그리고 홍천 용득의의 삶을 금학산의 위치와 용수사의 위치를 전문가와 정확하게 살피고, 동면 덕치리의 기념관과 수타사 및 산소길을 연결하는 콘텐츠 개발 및 아카이브 구축이 절실히 요청된다고 할 것이다. 이러한 기록으로 금학산의 용수사와 학서루의 위치 선정과 건립 등은 가능한 일이며, 아카이브 구축 이후의 일은 전문가와 홍천군 행정관서의 몫이다. 용득의 생평과 학행을 통한 홍천 아카이브 구축 방안은 분명해 보인다. 결론적으로 용득의의 생평과 학행을 통한 인문학 콘텐츠 및 안내 앱을 결합한다면 멀티미디어 자원을 지원하는 지적인 아카이브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