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12주간 복합트레이닝이 여자 스턴트 치어리딩 선수들의 기능성 움직임, 자세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장상우,이민희,이채빈,이효준,왕임여,김상훈,백성수 한국운동재활학회 2015 한국운동재활학회 학술대회 Vol.2015 No.10

        스턴트 치어리딩은 다양한 고난이도의 기술을 요구하는 팀별 경쟁 스포츠이기 때문에, 우수한 경기력 향상과 부상예방을 위한 트레이닝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12주 복합트레이닝이 여자 스턴트 치어리딩 선수들의 기능성 움직임과 자세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스턴트 치어리딩 선 수로 활동하는 여자 14명을 선정하여, 트레이닝집단 8명, 통제집단 6명으로 구분하였다. 복합트레이닝 프로 그램은 서킷 웨이트 트레이닝과 기능성 움직임 개선 트레이닝을 선수들에 적합하게 수정 및 보완하여 구성하 였고, 각 집단은 12주 동안 주 3회, 약 90분간 본 연구자에 의해 실시하였다. 기능성 움직임 검사, 자세 안정 성 측정은 트레이닝 전·후에 동일한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기능성 움직임 검사는 deep squat, hurdle step, in-line lunge, shoulder mobility, active straight leg raise, trunk stability push up 그리고 rotary stability, 총 7가지 검사점수를 3명의 측정자에 의해 기록하였다. 기능성 움직임 검사 결과의 신뢰성을 확보를 위해 사전·사후 동일한 측정자와 측정자 간 신뢰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세 안정성 측정은 밸런스 장비를 사 용하여 정적 및 동적 자세 안정성의 전체 방향지수, 전·후 방향지수 그리고 좌·우 방향지수 불안정성 지수를 측정하였다. 자료 처리 방법은 window SPSS 21.0을 이용하여 반복측정 이원변량분석과 종속 t-검정을 실시 하였다(p〈05). 기능성 움직임 검사에서 트레이닝집단의 평균 총 점수는 12.75±0.73점에서 17.79±1.41점으 로 향상 되었으며, 각 항목의 시기별 동작에 대한 평균 점수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 다. 따라서 복합트레이닝이 운동성, 이동성, 안정성 등을 향상시켜 기능성 움직임 검사 점수를 증가 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세안정성 측정에서는 트레이닝집단의 정적 자세 안정성(우성) 전체 지수가 0.99±0.24에서 0.68±0.12로, 전·후 방향지수는 0.69±0.18에서 0.44±0.09로 나타났다. 또한, 좌·우 방향지 수는 0.54±0.17에서 0.38±0.07로 불안정성 지수가 감소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동적 자세 안정성(우성) 전체 방향지수는 0.99±0.33에서 0.65±0.18로, 전·후 방향지수는 0.61±0.15에서 0.45±0.11로 그리고 좌·우 방향지수는 0.51±0.24에서 0.35±0.13으로 불안정성 지수가 감소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 게 나타났다. 통제그룹에서는 모든 방향지수에서 불안정성 지수가 높아졌으나, 트레이닝집단에서는 정적 및 동적 균형감을 증가시킴으로써 불안정성 지수가 낮아져 자세 안정성을 확보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 다. 그러므로 복합트레이닝은 여성 스턴트 치어리딩 선수들의 정적 및 동적 자세 안정성을 증가시켰고, 기능 성 움직임 검사 점수를 증가 시켰다. 결국 여성 스턴트 치어리딩 선수의 복합트레이닝 중재는 기능성 움직임 검 사 점수의 증가로 부상 발생률을 감소시킬 수 있고, 훈련 및 경기 중 선수들의 안정성을 높여, 경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운동재활이 자폐스펙트럼장애 어린이의 자율신경기능에 미치는 영향

        이민희,장상우,이채빈,이효준,왕임여,김상훈,백성수 한국운동재활학회 2015 한국운동재활학회 학술대회 Vol.2015 No.10

        자폐스펙트럼장애는 신경발달장애로 사회적 의사소통 및 상호작용 장애와 반복적인 행동의 특징이 있다. 자폐 스펙트럼장애의 자율신경기능 조절장애로 인한 다양한 문제행동은 비장애인들이 이해하고 수용하는데 어려움 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운동재활이 자폐스펙트럼장애 어린이의 자율신경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연구 참여에 동의한 자폐스펙트럼장애 어린이 24명으로 통제군 14명, 운동군 10명 으로 구분하였다. 운동재활은 운동지도자와 자폐스펙트럼장애 어린이의 일대일 비율로 회당 40분씩 주 2회 총 24주간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자율신경기능은 SA-3000P(MEDICORE, Korea)를 이용하여 자율신경계의 활성화와 비율 및 균형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운동군의 부교감신경 활성인 High Frequence(HF)는 집단별과 시기별 상호작용이 있었으며, 교감신경 활성인 Low Frequence(LF), Very Low Frequency(VLF)는 감소하였다. 즉, 운동재활에 참여한 자폐스펙트럼장애 어린이들의 자율신경계 활성은 증가하였다. 또한, 운동 재활에 참여한 자폐스펙트럼장애 어린이의 부교감신경의 비율인 HF%는 증가하였고, 교감신경의 비율인 LF% 와 균형인 LF/HF ratio은 감소하였으며, 자율신경을 의미하는 Total Pressure(TP), Standard Deviation Normal to Normal(SDNN)은 증가하는 것으로 불균형적인 자율신경기능의 균형적으로 변화하였다. 즉, 운동재 활은 자폐스펙트럼장애가 있는 어린이의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비율과 균형을 유지하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자폐스펙트럼장애 어린이의 지속적인 운동재활의 참여는 자율신경기능의 정상화에 효과적 인 치료적 대안이 될 수 있고, 나아가 자폐스펙트럼장애 어린이들이 비장애인 어린이들과 어울려 함께 체육 및 스포츠 활동을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 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