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잡지를 통해 본 한말 지식인의 주권인식 연구

        왕신 ( Wang Chen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21 사총 Vol.102 No.-

        1870년대를 전후하여 서양 근대 주권개념은 『만국공법』을 비롯한 여러 경로를 통해 한반도로 전래되었다. 1919년 9월 11일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제1차 개헌에서 『대한민국임시헌법』을 공포한 것은 한반도 역사상 처음으로 ‘주권’이란 용어가 헌법에 명시된 획기적인 일이다. 이러한 서양 근대 주권 개념이 조선에 전래, 정착되는 과정에서 조선인의 주권 인식은 시기와 계층에 따라 다른 양상이 나타나고 있었다. 1905년 을사조약으로 대한제국의 외교권이 상실됨에 따라 국가와 민족의 앞날을 우려했던 사람들은 국권회복을 위하여 앞장섰다. 이후 한반도 내에 다양한 학회지가 창간되었으며, 여러 논설에서 ‘주권’이라는 용어가 빈번히 사용되었다. 이 중에서 조완구, 박은식 등 인사들은 후일 임시정부 시기에도 적극적으로 활동했던 인물이다. 주권 관련 논설들에서는 당시 지식인들의 근대 주권 개념에 대한 인식을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한민국임시헌법』에서 주권 용어 사용 문제의 역사적, 사상적 배경도 엿볼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1905년 을사조약 체결 이후부터 1910년 한일병합 전까지 한반도에서 지식인들이 창간한 『대한자강회월보(大韓自强會月報)』, 『대한협회회보(大韓協會會報)』, 『서우(西友)』, 『서북학회월보(西北學會月報)』, 『기호흥학회월보(畿湖興學會月報)』 등 5가지 잡지를 중심으로 주권 및 관련 용어를 분석함으로써 당시 일부 지식인 계층의 주권에 대한 인식을 고찰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주권이 국가의 구성요소라는 기본 인식이다. 『서우』, 『서북학회월보』, 『기호흥학회월보』 등 5종 학회지에서는 주권이 인민, 토지와 같이 국가 구성의 삼대요소로 다루어진 논설이 많은 편이며 당시 지식인들에게 국가 구성요소로서의 주권 인식이 기본적이었음을 추측할 수 있다. 둘째, 주권의 국가와 사회, 정체와 국체 등의 구별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셋째, 일부 지식인들이 주권에 대한 관심을 갖고 있었으며 이를 습득하고 한반도에 전파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넷째, 대내적으로 군주주권 인식이 드러났다. Around the 1870s, the concept of sovereignty was introduced to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such channels as the legal book of Wanguogongfa(萬國公法), newspapers, and other writings. On September 11, 1919,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promulgated the Provisional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term “sovereignty” was stipulated in the constitution for the first time. While the Western concept of sovereignty was being introduced and established on the Korean Peninsula, the Korean people's understanding of it varied depending on class and time period. In 1905, with the signing of the Eulsa Treaty, the diplomatic power of the Korean Empire was infringed upon and some intellectuals who were worried about the country’s future actively called for the restoration of state power. Since then, many periodicals and magazines have been created in various parts of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term “sovereignty” is utilized often. In these articles on sovereignty, we can glimpse the intellectuals' understanding of the situ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concept of sovereignty.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the understanding of sovereignty of Korean intellectuals from 1905 to 1910, taking the Daehanjaganghoe Wolbo, Daehanhyeophoe Hoebo, Seowoo, Seobukhakhoe Wolbo and Kihoheunghakhoi Wolbo journals as the objects of research.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drawn from the analysis. First, among the journal articles that related to the subject of sovereignty, there are many discussions that introduce sovereignty as the constituent element of a state. Second, the importance of sovereignty in distinguishing state from society, state system, and political system is emphasized. Third, some of the intellectuals were interested in the concept of sovereignty and attempted to learn about and spread it throughout the Korean Peninsula. Fourth, the internal interpretation of sovereignty exhibits a tendency towards Monarchy.

      • KCI등재

        20세기 미국 모더니즘 건축 연구

        왕신(Wang, Chen),곽대영(Kwak, Daeyoung)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5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5 No.2

        18세기 후반과 19세기 초 유럽의 몇몇 주된 자본주의 국가는 건축 설계상의 복고주의가 잇따라 나타났는데, 그중에 프랑스의 고전주의, 영국의 낭만주의 및 미국의 절충주의를 가장 대표적인 이즘이라고 할 수 있겠다. 19세기 말 예술의 모든 분야에 걸쳐 나타나기 시작한 모더니즘은 제1차 세계대전의 종식과 더불어 전성기를 맞이하면서 미술에서 시작하여 건축으로 그 영향은 번져나갔다. 모더니즘 건축 발전은 1920년대부터 제2차 세계대전 후까지, 특히 1930년대 중반에 놀라운 성과를 얻었다. 동시대 미국의 건축가들은 국내 시장수요 때문에 미국 모더니즘 건축을 발전시켜 나갔다. 그런데 유럽과 다른 것은 미국의 모더니즘 건축은 기능 목적이 부족한 대신에 명확한 시장 목적을 가지고 있어서 유럽의 모더니즘 건축보다 비즈니스 성격를 더 가지고 있었다. 제2차 세계대전 발발 후 유럽의 수많은 디자이너들이 미국으로 건너가 유럽의 모더니즘과 미국의 건축 시장수요를 결합시켜서 미국의 모더니즘 건축 발전에 영향을 주었으며, 공전의 발전을 거듭하여 전 세계로 그 영향력이 확장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모더니즘 건축의 변화 시기 중 미국 모더니즘 건축의 성장배경과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례분석을 진행하였다. 앞으로 현대건축의 시작이라 할 수 있는 모더니즘 건축에 대한 많은 연구로 모더니즘 건축에 대한 이론적 정립과 현대건축의 계보가 확고히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In the end of 18th century and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several major European capitalist countries have appeared revivalist architecture design, which of the most representative are France’s classic resurgence, UK’s romanticism, American’s eclecticism. Modernism which can be found in the whole gamut of arts and writing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started to emerge and finally had its golden time with the end of the Word War I, and it never stopped giving a huge impact on not only arts but design. Modernism architecture development from the 1920 to the end of Second World War, has made remarkable achievements in the 1930. At thr same time, American architects because there was a strong domestic market demand, development of a new architectural forms with modernism architectural forms. Which different form European modernism: America modernism architecture lacking of functional purpose but had a distinct market purpose. After the World War II, a large number of European designers exiled in the American, making European’s modernism combined with American market demand, after the war caused an unprecedented impact. This paper emphasizes the era features of modernism architecture. In the study, in order to achieve the study purpose, case analysis had proceeded simultaneously. From now on, we will have to do our best that lots of study about modernism architecture will establish firm theory and genealogy.

      • KCI등재

        한말 근대 주권 개념의 수용 양상 - 《황성신문》과 《대한매일신보》를 중심으로 -

        왕신(Wang, Chen) 호서사학회 2021 역사와 담론 Vol.- No.98

        근대 서양의 주권 개념(sovereignty)은 1870~1880년대부터 여러 경로를 통해 한반도로 전래되었다. 그러나 1900년대에 들어서면서 조선의 주권이 심각한 위협을 받기 시작함에 따라 당시 한반도에서 근대 주권 개념의 형성과 정착은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었다. 이같은 때에 《황성신문》, 《대한매일신보》 등 여러 신문은 주권 관련 글을 실으면서 근대 주권 개념을 소개하며 주권 개념의 이미지를 주조하였다. 본고는 《황성신문》과 《대한매일신보》에 게재된 주권과 관련된 400여 편의 글을 주요 연구대상으로 삼아 주권, 주권자, 주권국 등 근대 주권 관련 용어들의 의미를 고찰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우선 주권 용어는 《황성신문》과 《대한매일신보》에서 주로 대외적 시각으로 국가 주권의 의미로 사용되었다. 그리고 《황성신문》에서 주권과 국권 용어는 중합(重合)되거나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었던 현상이 발견된다. 이와 달리 《대한매일신보》에는 국권 용어가 주권의 동의어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주권과 구별하며 병행되어 사용된 경우도 존재한다. 다음으로는 《황성신문》과 《대한매일신보》에서는 주권 용어가 모두 군주 주권의 뜻으로 사용된 기사가 있으며 주로 대내적 시각이다. 관련 글의 논자가 서양 지식을 소개하는 과정에서 맹자를 비롯한 유교사상을 기본으로 삼았고, 이는 근대 주권 개념의 모습과 전통 사상의 잔여가 공존하는 현상으로 나타나며, 근대 주권 개념이 한반도에서 정착되는 단계의 결과물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는 국가 주권을 대신하여 한민족의 주권이라는 선포는 민족적 주권 인식의 맹아로 볼 수 있는 대목일 것이다. 민족적 주권 인식은 대외적으로 민족의 주권을 주장하는 동시에 대내적으로 군주 주권에서 인민 주권으로 전환하기 시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Around the 1870s, the concept of sovereignty was introduced to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Korean people"s understanding of it varied depending on class and time period. However, in the 1900s, as Joseon"s sovereignty began to be seriously threatened, the formation and settlement of the modern concept of sovereignty at that time emerged as an important task regarding the Korean Peninsula. Meanwhile, several newspapers, including the Hwangseong Shinmun and the Daehan Maeil Shinbo, published articles on sovereignty, introduced the concept of modern sovereignty, and cast images regarding the concept of sovereignty. This paper examined the meaning of the terms related to modern sovereignty based on 400 articles about sovereignty published in the Hwangseong Shinmun and the Daehan Maeil Shinbo as the main research subjects. Through this analysi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of all, the term sovereignty was used in the Hwangseong Shinmun and the Daehan Maeil Shinbo with the meaning of national sovereignty from an external perspective. In the Hwangseong Shinmun, a phenomenon in which the terms of sovereignty and national authority being used as synonyms is found. On the contrary, in the Daehan Maeil Shinbo, the term of national authority is not only used as a synonym for sovereignty, but there are cases in which they are used as distinct from each other. Next, in the Hwangseong Shinmun and the Daehan Maeil Shinbo, both forms of sovereignty were used to convey the meaning of monarchical sovereignty, mainly from an internal perspective. In the process of introducing western knowledge, the author of the related article used Confucian thoughts including Mencius as a basis. This appears as a phenomenon in which the modern concept of sovereignty and the remnants of traditional ideas coexist and can be seen as the result of the modern concept of sovereignty being settled upon regarding the Korean Peninsula. Lastly, the declaration of the sovereignty of the Korean people on behalf of the sovereignty of the state may be seen as the sprout of recognition of national sovereign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