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육성 콩 품종의 고랭지 재배 시 수량 및 Isoflavone 함량

        옥현충,윤영호,정진철,허온숙,이춘우,김충국,조현묵 한국작물학회 2008 한국작물학회지 Vol.53 No.1

        고랭지에서의 콩 재배 확대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며 고랭지에 적합한 콩 품종을 선발하기 위해 국내에서 육성된 콩 품종을 고랭지에서 재배 한 후 수량 및 isoflavone 함량을 조사하였다. 1. 파종 후부터 생리적 성숙기에 해당하는 9월 말까지 총 133일간의 평균기온은 12℃ 이상을 나타내었고 적산온도 또한 2,000℃ 이상을 나타내어 표고 600~800m 에 위치하는 시험지역이 콩 생육에 필요한 최소한의 온도조건을 충족한다고 볼 수 있었다. 2. 대관령면(표고 800 m)에서는 19개 시험품종 중에서 일품검정콩의 수량이 2.3t/ha으로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isoflavone함량이 가장 높은 품종은 2,000ug/g 이상의 함량을 나타낸 두유콩과 신팔달콩 2호였다. 3. 진부면(표고 600 m)에서는 장원콩과 신팔달콩2호의 수량이 4.0 t/ha 이상으로서 가장 높았으며, isoflavone 함량이 가장 높은 품종은 2,200ug/g 이상의 함량을 나타낸 두유콩, 만리콩, 신팔달콩 2호였다. 4. 표고 800 m 에서의 두유콩과 일품검정콩, 표고 600 m에서의 신팔달콩2호, 만리콩, 청자콩 및 청자콩2호는 수량성과 isoflavone 함량이 모두 우수한 품종이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obtain fundamental information on growth adaptability and isoflavone contents of soybean cultivars in highland area of Korea. For this study, we cultivated nineteen cultivars and investigated yield and isoflavone contents. In Jinbu-myeon located at altitude of 600 m, most of cultivars showed more than 2.5 t/ha seed yield except three cultivars, and the range of isoflavone contents among nineteen cultivars was 715 to 2,545~;~mug/g . Cultivars with both high seed yield and isoflavone contents were Manrikong, Sinpaldalkong2, Cheongjakong, and Cheongjakong2 in this area. In Daegwallyeong-myeon located at altitude of 800 m, the range of seed yield and isoflavone contents was 1.4 to 2.4 t/ha and 437 to 2,370~;~mug/g , respectively. Cultivars with both high seed yield and isoflavone contents were Ilpumgeomjeongkong and Dooyookong in this area. Cultivars selected on the basis of seed yield and isoflavone contents in 2004 and 2005 showed also similar results for yield and isoflavone contents at farmer's field in highland area in 2006. In conclusion, it could be expected to produce soybeans having both higher yield and better quality if the selected soybean cultivars are cultivated in highland area.

      • KCI우수등재SCOPUS

        천궁(川芎)의 줄기 삽식시 발근(發根)과 생육(生育)에 영향(影響)하는 요인(要因)

        옥현충,이홍석,채영암 한국약용작물학회 1997 한국약용작물학회지 Vol.5 No.2

        본 연구는 토천궁의 종묘비 절감과 증식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삽목번식법을 이용하고자 할 때 삽수의 발근과 생육에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실험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발근율은 Perlite(87.5%) 〉 Perlite 2+ Vermiculite 1 (63.3%) 〉 Sand(33.8%) 〉 Upland soil(14.4%) 순이었으며, 생장은 통기성이 좋아 배지 내에 수분과 공기의 출입이 원활한 Perlite 단용처리에서 가장 좋았다. 2. 관수방법과 관수량 실험에서 저면관수로 30분 간격을 두고 15분 관수를 하는 것이 생육이 가장 좋았다. 3. 줄기 삽수시 생육 초기에는 물만을 공급하고 20일경부터 원예연구소 표준액의 농도를 1/2배로 하여 처리하는 것이 발근과 생육에 더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4. 줄기 삽수시 발근 및 생장에 적합한 온도는 30℃=25℃ > 20℃ 순이었고, 일장은 영향을 주지 않았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know the factors affecting rooting and growth in stem cutting of Ligusticum chuangxiong for mass propaga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 (1) Rooting and growth were better in perlite which has higher air permeability. (2) Sub-irrigation with 15min long with 30min interval was more favorable for growth. (3) Proper tempeature for rooting and growth ranged from 25℃ to 30℃ while photoperiod had no effect on rooting and growth.

      • KCI우수등재SCOPUS

        배향초의 생육시기에 따른 정유성분 분석 및 Estragol 함량의 변이

        옥현충,송지숙,채영암 한국약용작물학회 1999 한국약용작물학회지 Vol.7 No.2

        충북, 경남, 전남으로부터 배향초 종자를 수집하여 수원에서 재배하면서 수집종간 정유와 estragol 생산량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지상부 건물중을 기준으로 생육정도를 비교한 결과, 가령산종과 순천종은 초기 생육이 좋았으며 목포종과 진도종은 개화 후 생육이 좋았다. 반면 담양종은 수집종 중에서 건물중이 가장 가벼웠다. 2. 대체적으로 estragol 함량은 각각 잎 82.3~89.1%, 화기 81.1~89.2%, 줄기 72.0~45.6%였으며, 수집종간에 큰 차이는 없었고, 개화성기에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3. 정유함량은 개화성기에 1.0% (잎 1.0%, 화기 2.1%, 줄기 0.5%)로 수확시기 중 가장 높았으며, 특히 개화성기에 수확한 목포종의 화기는 3.3%의 정유함량을 보여 가장 많은 함량을 보였다. 4. 건물중과 정유함량이 좋았던 개화성기에 가장 많은 정유와 estragol이 생성되었으며, 수집종중에서는 목포종과 진도종에서 가장 많이 생성되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essential oil and its composition, and estragol content at different growth stages in the local collections of A. rugosa. Estragol was the major constituent in essential oil of all collections tested. Estragol content in essential oil was 82.3~89.1% in leaves, 81.1~89.2% in inflorescence, 72.0~45.2% in stem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nine local colletions. At full bloom stage, essential oil conten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 growth stages and the highest content of estragol in essential oil was appeared at this stage. Especially, the content of essential oil in the inflorescence of Mokpo collection was 3.3%, which was the highest among the collections. Mokpo and Jindo collections produced much more essential oil and estragol than the other collections both at full bloom and ripening stages.

      • KCI등재

        감자 고랭지 재배 시 표고 및 파종시기에 따른 괴경의 비대반응

        김충국,옥현충,정진철,허온숙,서종호,정광호,김시주 한국작물학회 2012 한국작물학회지 Vol.57 No.4

        감자 괴경의 비대 반응을 해석하여 재배기술을 개선하고자 2005년에 표고별 괴경의 비대반응을 분석하기 위하여 대관령(표고 800 m)과 진부(표고 600 m)에서 수미와 대서 2품종을 노지에서 시험하였다. 또한 파종시기별 괴경의 비대반응을 구명하고자 대관령(표고 800 m)에서 4월 19일부터 5월 19일까지 10일 간격으로 4시기에 노지에 파종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표고에 따른 비대반응을 보면 총 건물중은 표고 800 m에 비하여 표고 600 m에서 전 생육기간 동안 높게 유지되었으며, 생육초기인 7월 6일(파종 후 58일)에 증가 정도가 가장 컸다. 총 건물중이 최고에 달한 시기는 표고 800 m에서는 파종 후 110~112일이었으며, 표고 600 m에서는 파종 후 108~111일로 표고 및 품종간에 큰 차이는 없었다. 주당 괴경 건물중은 표고 800 m에 비하여 표고 600 m에서 7월 6일(파종 후 58일)은 적었으나 7월 21일(파종 후 73일) 이후부터는 높게 유지되는 경향이었으며, 2지역 모두 7월 6일(파종 후 58일)부터 8월 8일(파종 후 91일)에 주당 괴경 건물중의 증가정도가 컸다. 주당 괴경 건물중이 최고에 달한 시기는 표고 800 m에서는 파종 후 118~125일이었으며, 표고 600 m에서는 파종 후 118~124일로 표고 간에는 유사하였다. 괴경당 건물중은 표고 600 m에 비하여 표고 800 m에서 증가되었다. CGR은 표고 800 m에 비하여 표고 600 m에서 생육초기인 7월 6일(파종 후 58일)에 증가 정도가 가장 컸다. 파종시기별 괴경의 비대반응은 괴경 건물중(수확시기)은 총 건물중과 동일한 경향으로 수미는 4월 29일 파종 시 가장 증가되었으며, 대서는 수미에 비해 10일이 빠른 4월 19일 파종 시 가장 증가되었다. 괴경의 건물중은 6월 30일부터 8월 8일에 증가정도가 가장 컸다. 주당 괴경 건물중이 최고에 달한 시기는 4월 19일 파종 시는 파종 후 139~144일, 5월 9일 파종 시는 파종 후 121~126일, 5월 19일 파종 시는 파종 후 111~113일로 파종시기가 늦을수록 단축되었다. Field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improve the cultural practice of potato by analysing its tuberization patterns. Tuberization patterns affected by different altitudes was analyzed at two potato cultivation regions, Jinbu (600 m) and Daegwallyung (800 m) using two potato cultivars, 'Superior' and 'Atlantic'. To analyse tuberization patterns affected by different planting time, seed potatoes were planted at every 10 days from April 19 to May 19 in Daegwallyung. Total dry weight was greater in plant grown at the altitude of 800 m than 600 m during the entire growth period and the highest increase was observed at the early growth period, July 6, comparing to other growth period. The total dry weight was the greatest at 110~112 days after planting (DAP) at the altitude of 800 m and 108~111 DAP at 600 m.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ltitudes and between cultivars. Tuber dry weight per plant at the altitude of 600 m was lower than 800 m on July 6 (58 DAP), but it increased rapidly from July 21 (73 DAP). At both altitudes, the increase of tuber dry weight per plant from July 6 to August 8 was higher than the other growth period. The time of growth period at which tuber dry weight per plant was the highest was similar at both altitudes that was 118~125 DAP at the altitude 800 m and 118~124 DAP at the altitude 600 m. Dry weight per tuber at the altitude 800m was higher than 600 m due to the number of tubers per plant. A higher increase of crop growth rate (CGR) was shown at the altitude 600 m on July 6 (58 DAP), comparing to at 800 m. The highest tuber dry weight per plant of each cultivar was shown when the planting time was April 29 for 'Superior' and was April 19 for 'Atlantic'. Both the tuber dry weight of plant and the total dry weight were lower at a later planting time. Dry weight per tuber increased quickly during the period between June 30 to August 8. Tuberization period was shortened as the planting time was delayed.

      • KCI등재

        Weed Suppression by Shading of Canopy and Oryzalexin A in Barley Field

        이춘우,백성범,옥현충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008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20 No.3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 of weed growth according to barley cultivars. Ten barley cultivars were seeded for weed suppression in field. It was average 85.8% shading by barley canopy in the field. Weed dry biomass was influenced according to different barley cultivars. The shading effect, that generally suppressed weed growth, was not significant at 5% level i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hading rate and the weed dry weight. The concentration of oryzalexin A was different among barley cultivars, the correlation between oryzalexin A and the weed dry weight was not significant at 5% level. We concluded that shading and oryzalexin A minimally affected weed growth, and other factors most severely affected weed growth in barley f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