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창조의 관점에서 본 ‘가르침의 예술성’에 관한 교육학적 이해: 예술기반 교육연구에 기초한 실행연구

        옥영희 한국조형교육학회 2016 造形敎育 Vol.0 No.60

        본 연구는 기존의 ‘과학적 사고’에 근거한 이론적 탐색에 집중되었던 가르침에 대한 연구를, 교사가 현장에서 직접 경험하고 경험한 사실로부터 새로운 교육적 의미와 가치를 만들어 나가는 ‘창조의 관점’에서 가르침의 의미를 재조명하고자 한 연구이다. 창조의 관점에서 가르침을 이해하는 차원은 가르침에 함의되어 있는 ‘예술성’의 의미를 보다 명료화하고 실제 가르침의 사례를 보여줌으로써 교육학적 시사점을 찾는데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창조를 기반으로 하는 ‘예술기반 교육연구’에 근거하여 연구자의 실제 수업현장의 사례를 중심으로 연구되는 ‘실행연구’ 로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가르침의 예술성의 의미와 교육학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르침의 예술성은 교육예술가가 되고자 노력하는 교사의 몸부림으로 노력 그 자체가 최고의 예술이다. 둘째, 수업에서 다루어지는 예술적 대상과 형식은 지각훈련을 위한 훌륭한 도구가 된다. 셋째, 예술에 의한 질성적 사고는 ‘하나의 경험’의 핵심요소로서 창조적 교육활동의 터전이 된다.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는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넘지 못한 다.’는 불변의 진리(?)와 ‘교사의 예술적 가르침은 교사와 학생 모두가 행복한 삶이 될 수 있음’을 경험하는 작업이었다. 이러한 경험은 구체적으로 교육활동 자체가 예술성을 띠는 교육의 미학화가 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아울러 교육의 미학화는 예술의 의미확대를 통한 예술교 육의 본질적 변화를 촉구한다. 나아가 교사는 학습자의 훌륭한 모델이 될 수 있음으로 교사의 권위회복과 교육현장의 정상화에도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eachers ‘artistic value of teaching’ in pedagogical respect from creative viewpoint. The level to understand teaching from creative viewpoint has significance in finding educational suggestions by clarifying the meaning of ‘artistic value’ that is implied in teaching and by showing some practical cases of teaching.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First, the artistic value of teaching is a struggle of teacher who tries to be an artistic educator, and the best arts are the efforts of teacher. Second, the object and form of arts in class become good tools for sensory training. Lastly, the qualitative thought through arts is a core element of experience and becomes the ground for creative activity of education. These results will have effects as follows. First, they will contribute to interdisciplinary integration through aesthetisation of education. Second, they suggest an essential transformation of artistic education. Third, they suggest transformation over the whole learning activity with wide understanding of teaching. Lastly, they are expected to contribute positively to normalization of school education through recovery of dignity of teachers.

      • KCI등재
      • KCI등재

        Dewey의 일상의 미적경험에 비추어 본 유아미술활동의 교육적 의미

        옥영희 한국조형교육학회 2007 造形敎育 Vol.0 No.29

        Educational Meaning of Early Childhood's Art Activity from the Aspect of Dewey's Ordinary Aesthetic Experience 주제어(key word): 일상(ordinary), 미적 경험(aesthetic experience), 유아(early childhood), 미술활동(art activities)

      • KCI등재

        아동미술활동에 내재된 탐구활동의 통합적 사고작용에 관한 연구 : 듀이 예술론의 질성적 사고를 중심으로

        옥영희 한국조형교육학회 2013 造形敎育 Vol.0 No.48

        20세기 이전의 서양교육은 이성을 계발하여 진리에 도달한다는 ‘이성적 사고’ 중심 의 교육이었다. 불교용어를 빌어 표현하자면, ‘일체개진(一切皆眞)’의 관점이라고 할 만하다. 이 관점에 따르면, 세상에는 변하지 않는 원래의 모습이나 진리가 있다. 지식 은 이 불변하는 세상에 대한 것이므로, 수시로 변하는 인간의 감각보다는 이성을 계 발하여 진리에 도달해야 한다. 이러한 생각은 플라톤(Plato)의 이데아론에 기인하였다 (Plato, 1961). 이러한 일체개진의 관점이 오랫동안 진리터득의 주된 방향이었고, 교육 내용 역시 이성을 계발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그런데 인간은 주로 이성을 통하여 상황을 분석하고 판단하여 받아들인다는 믿음은 감각에 의존하는 비이성 즉 ‘질성(quality)’을 학문적 관심의 일차적 대상에서 제외시켜 버렸다. 그러나 인간이 세계와 만나는 방식, 혹은 지식을 얻는 방식이 이성 이전에 ‘질성’에 의존한다는 것은 분명하 다. 생각하기 이전에 먼저 몸으로 직접적으로 느끼고 파악되는 것이다. 이처럼 질성을 파악하는 인간 사고의 능력에 주목하여 듀이(J. Dewey)는 ‘질성적 사고’를 강조한다 (Dewey, 1984). 질성적 사고는 정신과 마음 그리고 육체와 감각을 가지고 있는 인간 이 이 두 기관을 동시에 사용할 때 나타나는 사고의 유형이다. 그런데 전통적으로 육 체와 감각을 이용하여 세상을 인식하는 경험을 경멸함으로써 정신과 마음의 작용인 이성만을 인간사고의 전형으로 규정했다 This research set out from the question, "Is the art activity in the field of education unrelated to 'Inquisitive' Activity?" The reason-centered traditional view of education brought about the misunderstanding that the qualitative thinking-centered art activity is out of thinking or unrelated to inquiry, as it excluded the 'quality' from the object of inquiry. Being aware of such problem, this research hopes that the arts education does not remain just as a subject, but the artistic experience should be applied integratively to the whole activity of education, showing the qualitative thinking that works dominantly on the art activity can be a wonderful tool of inquiry. This means that the 'education turned into aesthetics', that makes learners' experience 'a real experience', shall be the basis and core of all the educational activities. It is because the artistic experience in the field of education is the type of 'an experience' and the educational experience sets out from the artistic experience. Followings are the summary of how the qualitative thinking has an effect on the inquisitive activity to complete an inquiry. First, the qualitative thinking means the whole state of quality before being divided into quality and reason and becomes the 'prerequisite of inquisitive activity' by facing a situation directly. Second, the qualitative thinking works as a principle that 'controls and regulates the rational thinking', as a single quality is unevenly distributed. Lastly, as a core subject of 'an experience', the qualitative thinking is the driving force of 'growth' through expansion of inquiry and re-creation of experience.

      • KCI등재

        ‘미적 체험’을 통한 교육적 경험의 변용과 창조

        옥영희 한국조형교육학회 2024 造形敎育 Vol.- No.89

        본 연구는 미적 대상인 예술작품으로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교육적 경험의 변용과 창조가 수업 과정에서 어떻게 전개되는지를 실제 학습활동을 통하여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암기식 교육에 대한 문제점과 그로 인한 학습자와 무관한 죽은 지식으로 학교 현장은 생기를 잃은 지 오래다. 미적 체험은 이러한 교육 현장에 생기를 불어넣고 적극적으로 학습의 동기유발을 가능하게 하는 교육적 경험의 원형이다. 교육과정은 ‘예술기반 교육연구’로 설계하였으며 예술작품을 텍스트화 하고 스토리텔링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피카소의 작품을 통해서는 ‘세상에 대한 확장된 시각’, ‘노력과 발전을 위한 자기반성’, ‘인간의 고귀함에 대한 인식’, ‘긍정적 에너지의 원천’ 등의 교육적 경험으로 재구성 되었다. 각 등장인물의 관점에서 본 소포클레스의 작품에서는, 안티고네를 통해서는 죽음보다 강한 가족애를 바탕으로 자신을 희생해서라도 지키고자 했던 ‘인간의 도리’에 대해, 크레온을 통해서는 자신의 권력 유지를 위해 타인의 희생을 강요하는 ‘오만과 자기도취에 빠진 폭군’의 모습을보았으며, 하이몬에게서는 연인에 대한 책임감과 아버지에 대한 자괴감으로 죽음을 선택할 수밖에 없었던 ‘젊은이의 운명’에 대해 사유하는 시간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시각적 이미지에서 인식적 이미지로의 변용’을 체감하는 계기가 되었고, ‘다양한시각에서의 문제 인식은 안목 확장을 위한 디딤돌이 됨’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 curriculum with works of art that are aesthetic objects, and to present through actual learning activities how the transformation and creation of educational experiences develop in the course of instruction. The school field has long lost its vitality due to the problems with memorization education and the resulting dead knowledge irrelevant to the learner. Aesthetic experiences are the prototype of educational experiences that revitalize this educational field and actively motivate learning. The curriculum was designed as 'art-based educational research', and works of art were textured and classes were conducted through storytelling. Through Picasso's works, it was reorganized into educational experiences such as 'expanded perspective on the world', 'self-reflection for effort and development', 'recognition of human nobility', and 'a source of positive energy'. From the point of view of each character, Sophocles' work saw the image of a tyrant in arrogance and narcissism who forced others to sacrifice to maintain his power through Creon and thought about the fate of a young man who had no choice but to choose death out of responsibility for his lover and self-destruction for his father. These results served as an opportunity to experience the possibility of transformation from visual to cognitive images, and it was found that recognition of problems from various perspectives is a stepping stone for expanding the eye.

      • KCI등재

        ‘예술작품’을 활용한 대학의 교양기초교과 개발 사례: 창의·융합 교양영역과 관련하여

        옥영희(Younghee OK) 한국조형교육학회 2020 造形敎育 Vol.0 No.73

        본 연구의 목적은 ‘예술작품을 활용한 대학의 ‘교양기초교과’를 개발하는 것’이다. 각 시대별 문화의 정수라 할 수 있는 ‘예술 작품’을 통하여 그 시대의 문화를 이해하고 그 문화 속에 살았던 인류의 삶을 통하여 성장하는 인간이 시대적, 사회 문화적 배경에서 어떠한 창조적 가능성을 펼치고 실현해 왔는지를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오늘의 삶이나 현실의 문제를 교육학적 관점에서 진단하고 해결할 수 있는 지혜와 인문학적 소양을 기르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교육현장을 직접 경험했을 때에만 그 의미를 제대로 파악할 수 있는 ‘실행연구’로 진행하였으며, 예술에 의한 이해 확장 측면을 고려한 ‘예술기반 교육연구’에 기초 하였다. 수업에 활용된 예술작품은 수업주제와의 ‘연관성’, 작품자체의 ‘객관성’, 학습활동의 ‘효율 성’을 중심으로 엄선하여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 예술작품을 활용한 수업은 학습활동 그 자체가 학생들의 ‘예술작품’ 임을 확인하였다. 학습활동에서의 예술작품은 수업내용의 효과적인 매개체임과 동시에 수업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갖게 하여 학습 동기를 유발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또한 수업내용을 이해하는데 매우 긍정적으로 작용하였으며 학생 스스로에 대한 성찰의 기회를 제공하는 의미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수업과정으로서 학습자들의 ‘예술작품’은 새로운 교육적 의미와 가치를 찾아가는 창의적 사고형성의 근원임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general basic curriculum for college using art works. It is also to understand the culture of the era through the work of art which might be the essence of the culture of each period, and to understand what kind of creative possibility the growing human being could unfold and realize in the epochal and socio-cultural background through the lives of human beings who lived in the culture. Based on this, it i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life wisdom and humanistic literacy that can diagnose and solve the current problems of life or reality from an educational point of view. The research proceeded as an action research which can grasp the meaning only when experienced directly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its method was based on art-based education considering the expansion of understanding by art. The works of art used in the class were carefully selected based on the association with the lesson subject, the objectivity of the work itself, and the efficiency of learning activitie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lesson itself using works of art is the students work of art . The works of art in learning activities was an effective medium of class contents, an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inducing motivation to learn by attracting excitement and interest in classes. In addition, it was very positive for understanding the contents of the class and a meaningful result was gained that provided an opportunity for reflection on the students themselves. As a result, the work of art of learners as the curriculum was found out to be the source of creative thinking formation seeking a new educational meaning and value.

      • KCI등재

        문화예술교육 실천사례 : 대학의 교양교과를 중심으로

        옥영희(Younghee OK) 한국조형교육학회 2021 造形敎育 Vol.- No.80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학습활동이 지나치게 효율성과 취업 수단화에 집중됨으로 나타나는 교육 문제의 해결을 위해 최근 학습자들의 앎과 삶의 통합적 관점에서 주목받고 있는 문화예술에 기초한 교육을 실시하고, 그 교육적 의의와 시사점을 찾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은 질적연구로 진행하였으며, 교육현장의 문제를 직접 경험함으로써 그 의미를 파악하고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실행연구에 중점을 두었다. 연구 내용은 첫째, 문화예술에 기반한 교양교과의 내용은 어떻게 구성되는가? 둘째, 문화예술을 기반으로 구성된 교과는 교육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실천되는가? 셋째, 이렇게 구성되어 실천되는 문화예술 교육의 교육학적 의의와 시사점은 무엇인가? 텍스트로 선정된 예술작품을 교육내용으로 구성하고, 학습활동으로 실천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교육적 의의와 시사점을 찾을 수 있었다. 첫째, 문화예술교육은 문맥적 사고함양과 감수성의 확장에 기여하며, 즉각적으로 반응하고 참여할 수 있도록 구체적 맥락과 상황을 조성한다. 둘째, 예술적 인식에 의한 감정이입적 지식은 심상(image)을 통한 지각적 재료를 제공함으로써 지식교육을 완성한다. 셋째, 공감적 상상력을 통한 도덕성 함양과 아울러 마음의 순화 및 교화에 기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education based on culture and arts, which has recently been attracting attention from an integrated perspective of learners knowledge and life, in order to solve the educational problem that university students learning action research focused excessively on efficiency and employment means, and to find its educational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The research was progressed with a qualitative study. By directly experiencing problems in the educational field, the focus was on action research aimed at grasping the meaning and improving it. The conten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how is the content of the liberal arts curriculum based on culture and art composed? Second, how are liberal arts curriculum based on culture and art applied and practiced in the educational field? Lastly, what are the pedagogical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constructed and implemented in this way? By composing works of art selected as text into educational content and practicing them as learning activities, the following educational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could be found. First, arts and culture education contributes to the cultivation of contextual thinking and the expansion of sensitivity, and creates specific contexts and situations for immediate response and participation. Second, Empathetic knowledge based on artistic perception completes knowledge education by providing perceptual materials through imagery. Third, it contributes to the cultivation of morality through sympathetic imagination and the purification and edification of the mind through arts.

      • KCI등재

        듀이(J. Dewey)와 들뢰즈(G. Deleuze) 예술론에 함의된 ‘창의성’의 교육학적 재개념화

        옥영희(Young-hee OK) 한국조형교육학회 2018 造形敎育 Vol.0 No.68

        본 연구는 듀이(J. Dewey)와 들뢰즈(G. Deleuze) 예술론에 함의된 창의성의 개념을 교육학적으로 재해석하여 21세기가 요구하는 창의적인 인재 육성에 관한 시사점을 찾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Ⅱ장에서는 우선 듀이 예술론의 핵심인 ‘하나의 경험’ 개념을 중심으로 전통철학이 배제했던 ‘질성적 사고’의 존재와 성격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더불어 들뢰즈 예술론에서는 초기의 의미·해석의 대상으로서의 예술과 후기 새로운 감각의 창조로서 예술에 대하여 탐구하였다. Ⅱ장을 기초로 Ⅲ장에서는 예술론에 함의된 창의성의 개념과 교육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나아가 듀이와 들뢰즈 예술론이 교육활동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듀이와 들뢰즈는 일찍이 창의성의 개념을 무엇을 만들어낸다는 ‘제작’의 개념이 아니라 새로운 발상이라는 ‘사고’의 개념으로 인식한 학자들이다. 듀이 철학의 핵심인 예술적 경험은 질적 직접성을 특징으로 하는 질성적 사고가 경험의 완결과정에 없어서는 안 될 필수 요건임을 밝힘으로써 최근 전체 교육활동에서의 예술성의 의미와 창의성을 설명하는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고 있다. 들뢰즈 역시 우리의 삶을 지배하는 많은 지식, 체계, 습관들에 대하여 새로운 사유의 방식을 창조하기 위해서는 감각을 통해서 가능함을 보여주고자 햐였다. 이러한 두 학자의 예술론에 함의된 창의성에 관한 새로운 이해는 다음과 같은 교육적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교육의 개념은 결과적 지식의 ‘재현’에서 과정적 지식에서의 ‘창조’로 전환되어야 한다. 둘째, 교육활동은 ‘이성’ 중심의 교육에서 ‘감성(감각과 질성)’ 중심의 교육으로 전환 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interpret the concept of creativity implied in the art theory of J. Dewey and G. Deleuze, and to find implications for creative human resource development required by the 21st century. For the purpose, focusing on the concept of an experience , which is the core of Dewey s art theory, the existence and nature of qualitative thought , which was excluded from traditional philosophy, was examined. As for Deleuze s art theory, the arts as the object of meaning and interpretation at the early stage and the arts as the creation of perception and emotion, that is, the creation of new sense at the late stage, were examined. The educational suggestions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out that the concept of education changed from the representation of traditional conclusive knowledge to the creation of procedural knowledge. Second, it was recognized that it is necessary to shift from the education based on reason to the education based on emotion . From the viewpoint of Dewey, humans grow and lead life by constantly re-organizing their experiences. G. Deleuze also attempts to explore for new speculation by experiencing the differences repeatedly. Therefore, the core of empirical philosophy or difference philosophy is newness . Newness is the quality as the essence of arts, which is experienced as sensation in Deleuze. Therefore, the arts is the subject indeed that completes the experience, and true life and education become possible not by repeating the same thing but by repeating the creation of the difference .

      • KCI등재

        슈타이너와 듀이의 예술론에 기초한 교과의 예술적 구성과 운영

        옥영희(Younghee OK) 한국조형교육학회 2023 造形敎育 Vol.- No.85

        본 연구는 슈타이너의 ‘교육예술’과 듀이 ‘예술론’에 기초한 교과의 예술적 구성과 학습활동의 실천적 사례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교육현장에서 예술적 요소를 가장 손쉽게 경험 할 수 있는 방법, 즉 질성이 본질인 예술작품으로 교과 내용을 구성하고 예술가가 작품을 제작하는 전 과정에서의 경험을 교육활동에서도 경험되기를 희망하며, 문헌연구와 실행연구로 진행하였다. 그 결과 첫째 교과의 예술적 구성은 연관성, 객관성, 효율성에 준거하여 예술작품을 선정하고 이를 문학장르로 재구성하여 텍스트화 하였다. 둘째, 문학 형식으로 재구성된 교육내용을 스토리텔링으로 진행하였으며, 이 과정에서의 몰입 체험은 흥미 유발과 학습 동기 부여의 근거가 되었다. 셋째, 스토리텔링으로 진행되는 수업 과정에서의 학습자들의 감상과 평가는 새로운 교육적 의미와 가치의 창출로 이어지는 창조된 교육적 경험이었다. 이러한 모든 과정은 수업의 질개선을 위한 교사의 확고한 신념과 부단한 노력이 전제될 때 가능함을 깨닫게 된 성찰의 시간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logic of artistic construction of subjects and practical examples of learning activities based on Steiner's 'Erziehungskunst' and Dewey's 'Art Theory', focusing on subjects. The content of the curriculum is composed of works of art whose quality is the essence, that is, the most convenient way to experience artistic elements in the field of education. Literature research and action research were conducted in the hope that the artist's experience in the entire process of producing works can be experienced in educational activities. As a result, the artistic composition of the first subject was based on relevance, objectivity, and efficiency, and the artwork was selected and reconstructed into a literary genre and converted into text. Second, the educational content reconstructed in the form of literature was conducted through storytelling, and it was found that the immersion experience in this process was the basis for inducing interest and motivating learning. Third, learners' appreciation and evaluation in the course of storytelling were created educational experiences that led to the creation of new educational meanings and values. All of these processes were a time of reflection that realized that it was possible when the teacher's firm belief and constant efforts to improve the quality of classes were premi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