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짐시공이 불량한 증고 저수지 제체의 침투 및 동적거동 해석

        이충원,박성용,오현문,김용성,Lee, Chung-Won,Park, Sung-Yong,Oh, Hyeon-Mun,Kim, Yong-Seong 한국농공학회 2015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57 No.4

        It is urgent to redevelop the superannuated reservoir levee through the levee raising for countermeasure to climate change and improvement of storage capacity of reservoir. However, low compaction degree of the raised reservoir levee owing to poor construction condition leads to degradation of the stability of the reservoir levee on seepage and earthquake. In this study, seepage and seismic behavior of raised reservoir levee with low compaction degree was evaluated through numerical simulation. From the simulated results, water level raising possibly induces crack and/or sinkhole on the surface of the poorly-compacted raised reservoir levee owing to the increase of the subsidences at the crown and the front side of that. In addition, relatively larger displacement and acceleration response at the front side of raised reservoir levee in seismic condition may degrade overall stability of reservoir levee. Therefore, reasonable construction management for the compaction of the raised reservoir levee is required for ensuring long-term stability on seepage and earthquake.

      • KCI등재

        터널 단면적 변화를 고려한 각부보강 영향성 평가

        이길용(Gil-Yong Lee),오현문(Hyeon-Mun Oh),조계환(Kye-Hwan Cho),오정호(Jeong-Ho Oh),김종주(Jong-Ju Kim),김용성(Yong-Seong Kim) 한국지반신소재학회 2018 한국지반신소재학회 논문집 Vol.17 No.1

        단층 등 취약지반 조건에서의 터널굴착 시 터널천단 및 측벽변위의 억제를 목적으로 하는 각부보강공이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터널 단면증가 변화율에 따른 각부보강공 설치각도 및 길이를 고려한 지보안전성 확인을 위한 주요 인자로서 내공변위 · 천단침하 · 각부침하 · 각부축력 등의 여러 응력변위 특성 변수들이 있다. 이러한 굴착중 안전성확인을 위한 변수들에 대한 검토 결과, 우각부 침하영향성이 단면증가율 보다 더 큰 변위경향을 보이는 가장 중요한 중점관리 지배요소로 분석되었으며, 터널단면 증가변화율에 대한 각 보강공 길이별 축력의 변화관점에서는 큰 연관성을 보여주지 못하는 터널단면 증가율 대비 작은 증가율을 나타냈다. 또한, 각부 보강공 축력의 발생경향은 터널 단면증가율보다 보강공 마찰지지 개념 메커니즘에 따른 거동 영향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 일정한 길이의 각부 보강공이 선정될 경우 지반불량 구간에서의 터널 단면이 다소 대단면화하여도 무리하게 각부보강공의 길이를 연장시키지 않는 것이 시공성 및 경제성을 고려한 보다 더 합리적인 방법으로 판단된다. In case of excavation of the tunnel under weak ground conditions, such as fault zone, leg pile reinforcement with the purpose of suppressing tunnel crown settlement and side wall displacement is commonly applied. There are convergence, crown settlement, leg settlement, and the axial force of leg as a main factor for confirming the safety of support considering the installation angle and length of leg pile reinforcement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rate of change of tunnel cross-section. In particular, the influence of right corner settlement, among variables for safety confirmation during excavation, has been analyzed as the dominant factor in the most important priority management showing larger displacement tendency than the increase in rate of the cross-section. And, it was analyzed that the occurrence tendency of axial force on leg pile reinforcement showed the influence of behavior according to the friction support concept mechanism of the pile reinforcement rather than the increase in rate of tunnel cross-section, as it showed a small increase compared to the increase rate of the tunnel cross-section which did not show a great correlation from the viewpoint of the change of the axial force by the length of each leg pile reinforcement with regards to the change in rate of increase in tunnel cross-section. If a certain length of the leg pile reinforcement is selected based on the above grounds, even if the cross-section of the tunnel in poor ground condition is somewhat larger, it has been proved to be a more reasonable method considering the workability and economical efficiency by not extending the length of the leg pile reinforcement by force.

      • 다짐이 불량한 증고 저수지 제체의 동적 거동 연구

        이충원 ( Chung-won Lee ),박성용 ( Sung-yong Park ),오현문 ( Hyeon-mun Oh ),김범주 ( Bum-joo Kim ),김용성 ( Yong-seong Kim ) 한국농공학회 2015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5 No.-

        국내의 저수지는 대부분 1970년대 이전에 건설되어 내구성이 취약함은 물론, 노후화로 인한 붕괴위험과 퇴적토사 축적에 따른 유효저수량 감소 등 안전 및 기능상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기후변화 대처 및 저수량 증대를 도모하기 위해 증고를 통한 노후 저수지의 재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그러나 시공관리 불량 등으로 인해 증고 제체가 소요 다짐도에 미달하는 경우, 수위변동에 따른 제정 함몰 및 싱크홀(Sinkhole) 등의 변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지진 관측이 시작된 1978년 이후 우리나라에서 규모 5.0 이상의 지진이 10여 차례 발생하였으며 그 빈도는 증가 추세에 있어, 한반도가 더 이상 지진의 안전지대가 아님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증고 제체의 다짐 시공은 노후 저수지의 성공적 재개발을 위한 관건이 되며, 다짐이 불량한 증고 저수지 제체의 지진시 거동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불포화영역으로 확장된 모래의 반복 탄소성구성식(Oka et al. 1999)에 근거하여 다짐이 불량한 증고 저수지 제체의 동적 거동을 수치해석적으로 고찰하였다. 해석 결과, 증고 제체의 다짐이 불량할 경우 지진발생시 제체 상류측의 변위 및 가속도 응답이 하류측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발생하여 저수지 제체의 안정성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저수지 제체 증고시에는 다짐 시공관리를 철저히 할 필요가 있으며, 유지관리 측면에서 제체로의 우수 침투 최소화를 위한 배수설비의 보강 및 필요시 사면 녹화공법 등이 적용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