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공지능 창작 문예물의 저작권 문제에 관한 고찰 -저자와 저작물의 법적 보호 가능성을 중심으로

        오태호 한국문예창작학회 2024 한국문예창작 Vol.23 No.1

        이 글은 생성형 인공지능 시대를 통과하고 있는 2024년 2월 인공지능이 창작한 문학 작품의 저작권 문제를 살펴보기 위해 작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미국에서 저작권 문제의 법적 논쟁을 보여준 ‘그래픽노블’ 『새벽의 자리아』 사건의 개요를 검토하고, ‘인공지능 비람풍’의 장편소설 『지금부터의 세계』와 ‘인공지능 시아’의 시집 『시를 쓰는 이유』에 대해 ‘저자와 저작물의 판단’을 유추해 보며, 기성 작가가 대화형 인공지능인 ‘ChatGPT’를 활용하여 소설을 공동 창작하여 출간한 단편소설집 『매니페스토』를 통해 ‘저자와 저작물, 저작권’ 등의 판단에 대한 추론을 진행해 보았다. 결론적으로 인간 소설가 김태연과 ‘인공지능 비람풍’의 작업으로 탄생된 『지금부터의 세계』는 ‘최초의 인공지능 창작 장편소설’이라기보다는 김태연과 인공지능이 따로 작업을 수행한 뒤 짜깁기를 통해 만들어낸 ‘저자 김태연과 인공지능 비람풍의 공동창작물’에 해당한다. ‘인공지능 시아’의 시집 『시를 쓰는 이유』는 저자 ‘슬릿스코프(=김제민과 김근형)’가 인공지능 시아를 활용하여 만들어낸 ‘인공지능 시아의 단독창작물’이다. 『매니페스토』는 ‘소설가 7인과 ChatGPT’가 각각 협업을 수행하여 8인의 공동저자를 표방하며 만들어낸 공동창작물에 해당한다고 주장하지만, ‘인간만이 저자’라는 법적 판단을 전제로 한다면 7인의 소설가만이 저자이며 ChatGPT는 도구로 활용되었다고 판단된다. 이렇게 보면 앞으로도 인간과 인공지능 사이에서 ‘저자와 저작물, 저작권 관련 논의’는 지속될 가능성이 높으며, 누가 어떻게 창작하고 누가 어떻게 얼마나 텍스트와 공감할 수 있을 것인가가 최대의 화두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향후 온전히 인공지능의 창작물로 공표되거나 인간 창작 주체가 인공지능의 ‘도구적 활용’을 명기하여 창작된 작품이 확산된다면 문학 시장은 보다 폭넓은 외연을 확보하게 될 전망이다. 왜냐하면 전문가적 글쓰기로서의 순수문학에 대한 진입장벽이 높은 독자와 예비 작가들이 생성형 인공지능 도구를 활용하여 대중적 글쓰기를 수행함으로써 새로이 저자와 독자의 외연을 넓힐 수 있다는 점에서 유의미한 대중문학의 장이 열릴 것이기 때문이다. This article is written to examine the copyright issue of literary works creat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in February 2024, which is going through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ra. Specifically, we reviewed the outline of the case of the “comic book” Zarya of the Dawn that showed the legal debate over copyright issues in the United States, inferred the “judgment of authors and works” on the novel “The World from Now” and the poetry collec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SIA” Why I Write Poems. We collaborated with the interactive artificial intelligence “ChatGPT” and established writers to create novels, and made inferences on the judgments of “authors, works, and copyrights” through the recently published short story collection Manifesto. In conclusion, the feature novel The World from Now created by the work of Kim Taeyeo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Virampung’ is not a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creation feature novel’, but rather a ‘collaborative creation of author Kim Taeyeo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Virampung’ created by collaboration between Kim Taeyeo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he poetry collec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SIA’ Why I Write Poems is a ‘Exclusive Cre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SIA’ created by author Slitscope and Kakao Brai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SIA. Manifesto corresponds to a co-creation created by 7 Novelists and ChatGPT to advocate 8 co-au-thors in collaboration, but given the legal judgment that ‘Only Humans are Authors’, it is judged that only 7 novelists are authors, and ChatGPT was used as a tool. In this way, “discussions on authors, works, and copyrights” between human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re likely to continue in the future, and it is expected that who will be able to create, how, and how much they will be able to empathize with the text will be the biggest topic.

      • KCI등재

        한반도 통합문학의 가능성 탐색-월북 이후 이기영의 대표 작품을 중심으로-

        오태호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2 한국학연구 Vol.- No.67

        In this paper, among Lee Ki-young’s post-North Korea works, short stories Gaebyeok , medium-length novels Hyeonggwan , long novels {Land}, and large-scale novels {Tumen River} We conducted an exploration of the possibility of integrated literature from a Korean Peninsula perspective. Since the 1920s, he has been regarded as a representative realist as a jockey of Korean literature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and as the best writer in North Korea after liberation and division, confirming the possibility and impossibility of “integrated literature on the Korean Peninsula” as a starting from the 1920s. In the two works of the liberation period, Gaebyeok and Hyeonggwan , the reality of the time was able to face living characters. First of all, Gaebyeok is a work that realistically embodies the landscape of North Korean society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capturing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characters, including unstable landlord ‘Hwang Jusa’ and timid tenant farmer ‘Won Cheomji’. Hyeonggwan is a text that vividly captures the scenery of the end of Japan through anecdotes such as Kim Bu-deuk, a farmer, and Park Chul, a writer with a history of ideological criminals, while depicting conflicts between Japanese and farmers over forced labor against the backdrop of rural areas just before liberation. On the other hand, {Land} and {Tumen River} are works that clearly reveal narrative limitations due to excessive purpose. Of course, in the {Land} three-dimensional imagery takes place in the part where the double view of Soon-i’s mother against the main character Kwak Ba-wi is revealed. On the other hand, however, the part describing Kwak Ba-wi’s thoughts and minds, which cannot help admiring and admiring “Great Leader Kim Il-sung,” is a precursor to “Great Figure Literature,” and is a representative part of the schematic shape of a planar figure. In the {Tumen River}, the part where Gomson preaches the importance of education to Sidong is a narrative virtue that brings the importance of writing study to life. However, the summary of the inner side of Sidong, who is full of pride as an “anti-Japanese guerrilla member” of the Kim Il-sung unit, is problematic in that the three-dimensional nature of the character is intensified and planarized. Lee Ki-young’s literature corresponds to a text that simultaneously shows the possibility and impossibility of integrated Korean literature. The text of the liberation period after North Korea’s defection is judged to be a text that provides the necessity of integrated literature in that it has a sense of being a representative realis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land} and {Tumen River} announced after the division, it confirms the impossibility of integrated literature in that the three-dimensional nature of characters is being planarized along with the weakening of artistry. Nevertheless, assuming that Lee Ki-young’s text is a mirror reflecting the times as a substance of North Korean literature, the author Lee Ki-young is a three-dimensional text that raises the need to expand the scope of integrated literature on the Korean Peninsula. 본고에서는 이기영의 월북 이후 작품들 중 단편소설 「개벽」, 중편소설「형관」, 장편소설 「땅」, 대하소설「두만강」등을 대상으로 한반도적인 시각에서 통합문학의 가능성에 대한 탐색을 진행해보았다. 1920년대 이래로 일제 강점기 한국문학을 대표하는 농민문학의 기수로서 대표적인 리얼리스트로 평가받고, 해방과 분단 이후 ‘북한 최고의 작가’로 평가받는 그의작품세계를 점검함으로써 분단 체제를 극복하는 단초로서의 ‘한반도 통합문학’의 가능성을 확인해볼 수 있었다. 해방기의 두 작품인 「개벽」 과 「형관」 에서는 당대 리얼리티가 살아 있는 인물들을 마주할수 있었다. 먼저 「개벽」은 불안한 지주 황주사와 소심한 소작농 원첨지 등을 비롯하여 인물들의 개성적 성격을 입체적으로 포착하면서 해방기 북한 사회의 풍경을 현실적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형관」 역시 해방 직전의 농촌을 배경으로 강제 징용을 둘러싼 일제와 농민들의 갈등을 그리면서, 농민 김부득과 허달삼을 중심으로 사상범 전력이 있는 문사 박철 등의 일화를 통해 일제 말기 풍경을 생생하게 담아내고 있는 텍스트에 해당한다. 반면에「땅」 과 「두만강」은 ‘토지개혁’과 ‘한국전쟁’, ‘민족해방운동’ 등의 주제에 대한 목적성이 과잉되어 서사적 한계가 분명하게 드러나는 작품들에 해당한다. 물론 「땅」에서 주인공 곽바위에 대한 ‘순이 어머니’의 이중적 시선이 드러나는 대목 등에서는 입체적 형상화가 이루어지지만, ‘위대한 수령 김일성’에 대해 흠모와 감격을 금하지 못하는 곽바위의 생각과 마음을 묘사하는 대목은 ‘수령형상문학’의 전조로서 평면적 인물의 도식주의적 형상화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부분에 해당한다. 「두만강」에서도 곰손이가 씨동이에게 교육의 중요성을 설파하는 대목 등은 글공부의 중요성을 실감나게 전달하는 내용으로 당대 리얼리티가 살아나는 서사적 미덕에 해당하지만, 김일성 부대의 ‘항일 유격대원’으로서의 자부심에 넘치는 씨동이의 내면을 요약 기술한 대목 등은 인물의 입체성이 거세되어 평면화된다는 점에서 문제적이다. 이기영의 문학은 거시적인 차원에서 한반도적 통합문학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텍스트에 해당한다. 월북 이후 해방기의 텍스트는 일제 강점기에 대표적인 리얼리스트로서의 감각을 내장하고 있다는 점에서 통합문학의 필요성을 제공해주는 텍스트라고 판단된다. 반면에 분단 고착화 이후 발표된「땅」 과 「두만강」의 경우 당문학적 서사를 전면에 내세우면서 서사성의 약화와 함께 인물의 입체성이 평면화되고 있다는 점에서 ‘통합문학의 가능성’을 회의(懷疑)하게 한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기영의 텍스트가 북한문학의 실체이자 시대를 비추는 거울로서 서사적 리얼리티를 내포하고 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한다. ‘해방 이전의 이기영’과 함께 ‘분단 이후의 리기영’은 리얼리즘적 관점에서 한반도 통합문학의 외연을 넓힐 필요를 제기하는 입체적 텍스트인 셈이다.

      • KCI등재

        역사적 비극을 서사화하는 '애도로서의 치유' 지향 소설 연구 - 김숨의 『떠도는 땅』(2020)과 한강의 『작별하지 않는다』(2021)를 중심으로

        오태호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22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74

        이 논문은 역사적 비극을 현재로 호출하여 사건 피해자들의 목소리를 복원함으로써 소외된 타자를 향한 애도로서의 치유 지향 소설을 연구하였다. 김숨과 한강의 최근 작업은 역사적 상흔을 낮은 목소리로 복원하고 있다는 점에서 상통된다. 물론 27명의 목소리를 병치하고 있는 김숨의 {떠도는 땅}(2020)과 개인사의 추적을 전면에 내세운 한강의 {작별하지 않는다}(2021)의 서사는 상이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작가의 작업이 지닌 유사성과 차이를 추적하면서 역사적 비극을 서사화하는 ‘애도로서의 치유’가 지닌 함의를 분석하였다. 김숨의 작업은 1937년 조선인 강제이주 사건을 중심으로 여전히 ‘고려인’들의 디아스포라적 삶의 터전으로 자리하고 있는 공간의 기원을 탐색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한강의 작업은 1948년 ‘제주 4·3 사건’ 이후 아직도 희생자와 유가족의 고통이 제대로 보상받거나 치유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유의미한 노력이라고 판단된다. 두 작가의 작업은 역사적 희생자들에 대한 애도를 향해 있지만, 작가 스스로에게뿐만 아니라 독자들에게도 애도로서의 치유를 지향하는 성과를 제공하고 있다고 파악된다. 역사적 비극의 추체험은 지극히 고통스러운 형상화 작업의 일환이지만, 그러한 고통스러운 작업의 결과물을 통해 기억의 공유 속에 사건 이후의 타자적 존재들에게 진정한 애도와 치유의 동행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애도와 치유는 동전의 양면이다. 물론 정상적 애도가 치유의 첫 걸음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애도의 여건이 조성되는 것이 선결 조건이다. 그러나 1937년 연해주 강제이주 사건이나 1948년 제주 4.3 사건의 여진은 2020년대에도 여전하다. 역사는 마치 과거의 유물인 양 외면되거나 대상화된 채 망각의 세계에 내던져져 있는 것이다. 이때 김숨과 한강은 사후적 애도를 위해 소설가의 윤리를 되짚어보며 장편소설을 생산한다. 그리고 그 소설들은 역사의 희생양들을 향한 지극한 사랑의 서사로 완성된다.

      • KCI등재

        최학수의 장편소설에 나타난 수령 형상의 의미 고찰

        오태호 상허학회 2008 상허학보 Vol.24 No.-

        ‘Choi Hak-su’ is a writer who is well known in North Korea by his novel <The Time of Pyengyang>(1976), the novel about ‘speed of Pyengyang’ that is a symbolic phenomenon of ‘Chunrima movement’. After this novel, he joined ‘4·15 wirter’s group’ and participated the ‘Selection Books <History of Immortality>’(for short, ‘Selection Books’) that are referred as the model of ‘Juche ideological literature’. From the ‘Selection Books’ that are about historical events in Kim Il-sung’s chronology, Choi Hak-su wrote <The Foot of Mountain Baekdu>(1978) that is about ‘the foundation of Korean independent organization’ in the May of 1936, <Abrok River>(1983) that is about ‘Bochunbo Battle’ in the June of 1937, and published <Triumphal Return>(2002) that is about Kim Il-sung’s return to Korea right after the Korean Independency. The common aspect of those novels of Choi Hak-su is the rack of solidity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Leader(Kim Il-sung)’. It is because that he strictly followed the principles of ‘Forming the Leader in literature’. In his novel <The Foot of Mountain Baekdu>, the Leader was created as the man without fault or inner conflict. In the revision book of <Abrok River>(1992), he recreated Kim Il-sung as the leader of heroic battle with great leadership. In <Triumphal Return>, Choi Hak-su showed how Kim Il-sung became the chairman of ‘The Korean Communist Party’ with the image of ‘triumph champion’. In <The Time of Pyengyang>, he made Kim Il-sung as an ideal leader who could solve all problems and rejoin all characters. It is difficult to expect South Korean historic novels when you read North Korean ‘Selection Books’. The myth of great Leader, Kim Il- sung’s shadow oppress writer’s imagination in the name of real history. What can North Korean writers do for it? The agony of ‘4·15 wirter’s group’ lies here. The answer would be the literary freedom that could break the principles of ‘Forming the Leader in literature’, even it looks difficult. 최학수는 ‘천리마운동’의 대표적 형상인 ‘평양 속도’를 매개로 하여 장편소설 『평양시간』(1976)을 창작함으로써 북한에서 문명을 널리 알린 작가이다. 이후 ‘4·15 문학창작단’ 소속 작가가 되어 ‘주체문학의 본보기’로 거명되는 ‘총서 『불멸의 력사』(이하 ‘총서’로 약칭)’를 창작하게 된다. 그리하여 김일성의 일대기를 역사적 사건 중심으로 형상화하고 있는 ‘총서’에서 1936년 5월 ‘조국광복회 창립’을 다룬 『백두산 기슭』(1978)과 1937년 6월 ‘보천보 전투’를 형상화한 『압록강』(1983)을 창작하였고, 해방 직후 김일성의 귀국을 다룬 『개선』(2002)을 출간한다. 북한문학을 대표하는 최학수의 소설들에서 나타난 수령 형상은 입체성이 부족하다는 점에서는 유사해보인다. 그것은 ‘수령형상문학’의 창작 원리를 그대로 받아들여 작품을 창작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백두산 기슭』에서의 수령 형상은 동요하는 내면이 거세된 무오류의 영도자로 그려진다. 그리고 개작본 『압록강』(1992)에서의 수령 형상은 김일성의 영웅적 투쟁과 영도력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윤색된다. 『개선』에서의 수령 형상은 김일성의 ‘개선 장군’으로서의 이미지와 조선공산당의 제1인자로 부각되는 내용을 그리고 있다. 『평양시간』에서의 수령 형상은 모든 등장인물들의 고민과 갈등과 문제의식을 해소해주는 이상적 자아의 모습으로 그려진다. 총서에서 수령을 둘러싼 주변 인물들이 적절한 내면을 소유하지 못한 것으로 그려져 있다면, 『평양시간』의 인물들은 끊임없이 자기자신을 들여다보고 회의하는 반성적 개인의 모습을 띠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북한의 총서를 읽으면서 역사적 사실에 작가의 상상적 개입이 두드러진 남한의 역사소설, 박경리의 『토지』나 황석영의 『장길산』, 조정래의 『태백산맥』 등의 장면을 기대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창작자의 상상력을 억압하는 객관적 역사의 장면이 신화와 수령의 이름으로 거대하게 가로막고 서 있기 때문이다. 어렵겠지만 수령형상문학의 원칙을 과감하게 일탈할 수 있는 문학적 자유, 그것이 아마도 총서의 여백을 살릴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조해일의 「매일 죽는 사람」에 나타난 죽음 모티프 연구

        오태호 우리어문학회 2010 우리어문연구 Vol.37 No.-

        본 논문은 조해일의 「매일 죽는 사람」을 통해 도시 소시민에게 강요된 죽음 모티프의 양상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 작품은 산업화 시대로 명명되는 1970년대 한국 사회에서 소시민적 생존 현실의 지난함을 알레고리적 제목을 통해 상징적으로 제시한다. 그 재현된 세계 안에는 죽음의 그림자가 넘쳐나지만, 작품 말미에서는 생명의 싹으로의 반전이 시도된다. 편재적 죽음이 제공하는 ‘낯익은 두려움’ 속에서도 발상의 전환을 통해 생명의지를 재확인함으로써 인간 존엄의 휴머니티가 강조되는 것이다. 작가는 관찰자적 시점을 적극 활용하여 ‘그’의 매일 죽는 일상을 밀착 취재하듯 조명함으로써 산업화 시대에 자본의 생계형 압박이 심화되는 약육강식의 도시 현실이 소시민들에게 절망적 한계와 실존적 죽음을 반복적으로 강제하고 있음을 드러낸다. 하지만 직업적 죽음과 심리적 죽음을 반복적 일상으로 내면화한 존재는 역설적이게도 매일 부활적 생명을 연명하는 존재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 작품에서 착목한 죽음 모티프란 반어적으로 ‘생명 의지’의 담금질을 위한 서사적 장치에 해당한다. ‘그’는 죽음 의식의 압박과 생명 연장의 기운을 내포한 야누스적 존재감으로 부재한 듯 실재하며 생존을 이어가는 소시민의 초상을 보여준다. 그리고 생명의지로의 인식 전환을 견인하는 왼발의 발견은 역설적 생의 의지가 죽음 의식을 전복하는 기제로 작동할 수 있음을 우의적으로 제시한다. 「The man who dies everyday」 by Hae-il, Jo represents social reality of Korea in 1960's-1970's. This represented world is full of dead shadows, but this work devises a reversal to bud of life. This work has a virtue that considers life valuably even though be confined in the site of dead. The writer attends to real world in 1970's like law of the jungle and desperate people at this time. So the writer represented this reality as 'his' death everyday. But the being of dying everyday is the being of living everyday paradoxically. So 'death consciousness' in 「The man who dies everyday」 is like 'life will' ironically. 'He' shows portrait of the moderns like janus contains energy of death and life. And 'his' left foot offers readers paradoxical 'life will'.

      • KCI등재

        설계시간계수 및 Simulation 기반 철도역사 이용시설 LOS 분석

        오태호,이선하,천춘근,김은지,유병영 한국ITS학회 2016 한국ITS학회논문지 Vol.15 No.3

        최근 국내철도역사 인프라의 다변화(환승, 쇼핑 등)로 이용객이 증가하고 있는 반면, 이를 고려하지 못한 철도역사 설 계로 이용객의 철도역사에 대한 만족도 수준은 낮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들어, KTX 광주송정역의 경우 2015년 개통 이후 이용객이 약 3배 이상 증가하여 역사 내 이용객 혼잡과 같은 불편함을 초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철도역사 이용 시설의 적정규모 산정을 위하여 도로공학의 설계시간계수 개념과 보행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이를 위 해서는 분석과정을 크게 2단계로 구분하였다. 1단계는 교통학적 측면에서 도로설계 시 이용되는 설계시간계수의 방법론 을 인용한 철도역사 이용객 산출, 2단계는 보행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철도역사 시설물별 서비스수준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 보행 시뮬레이션 활용으로 철도역사 시설물별 서비스수준 분석 가능여부가 검증되어 향후 역사 설계 시 시설물 별 적정 서비스수준 따른 면적 제시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Recently the passenger of railway satisfaction levels are lowered. the reason why the railway station was built without considering the increased passenger due to diversification(transfer, shopping, and etc.) of the domestic railway station infrastructure. Especially, in case of KTX Gwangju-Songjeong Station, the number of its passenger has been increased about more than three times since its opening in 2015, so that there are much inconvenience generated in the station congested with passengers. his study aims to excute using Pedestrian simulation and Design Hourly Factor concepts of Highway Engineering, in order to designing the optimum area through the passenger demand forecast for each station. For this analysis was divided into the second stage. Frist, the railway passenger was calculated by using the methodology of Design Hourly Factor that is used during road design in the aspect of traffic engineering. Second, we tried to analyze the level of service in each railway station facility through the pedestrian simulation. Analytical results show that utilizing pedestrian simulation provides verification for calculation of LOS of each railway station facility. Therefore, In the future when designing railway station of facilities will be possible to suggest the facilities area based on LOS

      • SCOPUSKCI등재

        잡종견에서 발생한 다발성 낭종성 신증

        오태호,윤화영,한홍율 한국임상수의학회 2001 한국임상수의학회지 Vol.18 No.1

        Five-month-old a female mongrel puppy weighing 3.5 kg showed no systemic disorder and particular discomfort except abdominal distension at the first visit. On physical examination an irregular abdominal mass was palpated. One month later she was clumsy and uncoordinated. In addition, lethargy and anorexia were appeared. Then she became comatose and died in spite of initial therapy. In radiographic examination enlargement of both sides of kidney was observed. The hematological examination the dog had WBC of 16,250/$\mu$l, RBC of $7.2{\times}10^6$ $\mu$l, PCV of 32%, total protein of 8.0 g/dl, and fibrinogen of 900 mg/dl. In serum chemistry BUN was 87.4 mg/dl and creatinine was 5.1 mg/dl. Urinalysis revealed pH of 5.6, SG of 1.009 and protein of 500 mg/dl. In urine sediment test many RBCs, leukocytes, inflammatory cells and a few epithelial cells were observed. On histopathologic examination the size of right and left kidney were 15 cm, 16 cm in length, 6 cm, 6 cm in widths, respectively. Both sides of kidney were filled with brown-orange fluid and had irregular capsular surface. The cysts of various sizes were located throughout the cortex and medulla. No abnormality was found in any other organs. Histologically, cyst was lined by cuboidal to slightly flattened tubular epithelium and surrounded by mature fibrous connective tissue. Glomeruli, tubule and renal pelvis remained normal between cysts and exfoliated epithelial cel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