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OFDM 레이다에서 딥러닝을 이용한 물체의 거리 및 속도 추정

        오정은(Oh Jeong Eun),조아민(Jo A Min),최재웅(Choi Jae Woong),정의림(Eui-Rim Jeong) 한국통신학회 2022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2 No.2

        본 논문은 OFDM 레이다 시스템에서 물체의 거리와 속도를 추정하기 위한 새로운 합성곱 신경망(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기법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OFDM 레이다를 통해 송신부에서 송신과 동시에 수신도 수행하여 레이다 신호처리를 진행한 후에 물체의 거리와 속도를 추정한다. 제안하는 물체 거리 및 속도 추정 기법인 합성곱 신경망의 구조는 7 개의 합성곱 계층과 1 개의 완전 연결 계층으로 구성된다. 모의 실험에서 제안 기법과 보편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CFAR(Constant False Alarm Rate) 기법의 성능을 비교한다. 물체를 SNR(Singnal to Noise Ratio)이 –20dB 부터 10dB 까지 3dB 간격으로 비교 검증을 진행한다. 그 결과, SNR 10dB 에서 64 심볼을 이용하는 경우 제안 기법의 성능이 기존 기법보다 거리오차는 약 6m, 속도오차는 약 9km/h 줄어들었음을 확인한다. 기존 기법과의 비교 이외에 제안 기법을 환경 별로 성능을 비교한 결과, 클러터가 존재하지 않는 환경에서 SNR 10dB 에서 64 심볼일 경우에 거리오차는 약 0.65m, 속도오차는 약 1.10km/h 로 가장 좋은 성능을 보인다.

      • KCI등재

        제주지역 미취학 아동의 식품알레르기 현황 및 이에 따른 부모의 양육 부담

        오정은(Jeong Eun Oh),김은영(Eunyoung Kim),이윤경(Yunkyoung Lee) 한국영양학회 2021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54 No.6

        본 연구에서는 제주지역 일부 만 6세 이하 미취학 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아동의 식품알레르기 유병률 및 관리, 부모의 식품알레르기 관련 지식도와 양육 부담의 현황을 식품알레르기 유무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 총 387명으로 남아가 51.4%, 여아가 48.6%이었고, 그 중 식품알레르기를 경험한 아동은 16.8% (남아: 58.5%, 여아: 41.5%)로 조사되었다. 식품알레르기를 경험한 아동 중 실제로 의사로부터 식품알레르기 진단을 받은 아동 44.6%로 나타났다. 식품알레르기를 경험한 아동의 주된 증상으로는 구토, 설사, 기침, 복통, 쌕쌕 거림과 호흡곤란 순으로 나타났으며, 원인 식품으로는 난류가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고, 우유, 갑각류, 땅콩 및 콩류, 밀, 쇠고기 등이 뒤를 이었다. 또한 식품알레르기를 경험한 전체 아동의 부모 중 15.4%만이 대체식품을 사용한다고 조사되어 대부분의 부모가 대체식품을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식품알레르기를 경험한 아동의 부모에서 식품알레르기로 인한 양육 부담은 정서적 고충이 일상생활의 제약에 비해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의 식품알레르기 관련 지식도는 식품알레르기 경험 유무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즉, 조사대상자의 식품알레르기 관련 지식과 식품알레르기 관련 교육 및 상담 참여 경험 (보건소 또는 병원)비율과 의지가 식품알레르기 경험이 없는 아동의 부모보다 높아, 자녀의 식품알레르기에 대한 관심과 동시에 그에 따른 양육 부담 및 근심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살펴볼 때, 미취학 아동 부모를 대상으로 한 식품알레르기의 예방과 대처방안 및 대체식품을 이용한 영양관리 등 수요자의 니즈-맞춤형 영양교육과 상담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 자료의 개발이 필요하며, 학부모의 접근성을 고려한 교육 및 상담 장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Food allergies in children are known to impact the quality of life for growing children as well as their parent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tatus of food allergy and its management among preschoolers, and evaluates the effect on parental burden. Methods: In May 2019, five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Jeju area were randomly selected, and parents (n = 638) who had preschoolers younger than 6-year-old were surveyed using a questionnaire. A total of 387 participants were included in the final data analysis. Results: The percentage of children (aged 3 to 6 years old) who experienced food allergies was 16.8%; 44.6% had been diagnosed as having a food allergy by doctors. Food allergies were first experienced in more than two-thirds of the subjects when they were less than a year old. Egg and milk were the most frequent allergenic foods with some skin related symptoms. A mere 15.4% children suffering from food allergies were offered substitutes for their allergenic foods. Lastly, as compared to other parents, the parents of children who experienced food allergies had not only higher nutritional knowledge, but also heavier parental burden including emotional distress. Regardless of their nutritional knowledge, parents of children with food allergy expressed their willingness to attend nutrition education classes, if available in future. Conclusion: For prevention of food allergies and proper nourishment of children with food allergies, there is a necessity to provide customized-nutritional education for the affected parents to help alleviate their parental burden, especially for reducing emotional distress.

      • KCI등재
      • KCI등재

        방과후전담사 운영에 대한 담당교사의 인식

        오정은(Oh Jeong Eun),최일선(Il-sun Choi) 한국육아지원학회 2016 육아지원연구 Vol.1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도 공립유치원의 방과후전담사 운영에 대한 담당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공립유치원 방과후과정반 담당교사 16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 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방과후전담사의 역할과 재교육의 경우, 방과후전담사는 방과 후과정반 전반적인 운영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교육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근로 조건의 경우, 적당한 근무 시간은 6시간 이상이 가장 많았다. 바람직한 급여 지급 방식으로는 연봉제(365 일)였으며, 적정 급여액은 시간당 6,500∼7,000원이 가장 많았다. 바람직한 인건비 예산 집행 항목은 교육 청에서의 방과후전담사 인건비 지원이었으며, 무기계약 전환에 대해서는 필요하다는 응답이 많았다. 셋 째, 방과후전담사의 문제점은 전담교사 미 배치가 가장 많았으며, 방과후전담사의 사기 저해 요인은 근로 조건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방과후전담사 운영의 개선방안은 유아교육 관련 자격을 소지 한 방과후전담사 확보를 위해 방과후전담사 인건비의 국가지원이 최우선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eacher’s perception on management of after school caregiver at public kindergartens in Gyeonggi Province. One hundred sixty five teachers responded to a questionnaire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st teachers wanted after-school caregiver who had a licensed Kindergarten Teacher Certificate. Most after-school caregiver seemed to be helpful for the overall operation of after-school classes. Most of the teachers answered that reeducation for the after-school caregiver was needed. Second, the proper working hours would be six hour, and the most desirable method of salary payment was the annual salary system(365 days). The most proper amount of wages for after-school caregiver was 6,500∼7,000 won per hour. Teachers wanted the educational agency to support the personnel expenses for the after-school caregiver among the budget execution items. Most teachers said it was necessary to convert the open-ended contract for after-school caregiver. Third, the biggest problem with the after-school caregiver system was no deployment of teachers in charge. After-school caregiver was demoralized due to the working conditions in most cases. Finally, most of the teachers answered that the government should support the personnel expenses to recruit the after-school caregiver with a certificate related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y also answered that the top priority for improving the problems with the after-school caregiver system was to secure teachers exclusively in charge of after-school classes.

      • KCI등재

        단일융모막이양막성 쌍태임신에서 산전태아간 양막의 자연파수

        오정은 ( Jeong Eun Oh ),배진영 ( Jin Young Bae ),황인아 ( In Ah Hwang ),김미주 ( Mi Ju Kim ),성원준 ( Won Joon Seong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4 No.6

        Umbilical cord entanglement has been reported to occur in monoamniotic twins. However, it can occur in diamnionic twins due to rupture of the intertwin-dividing membrane, and is a cause for concern. A 31-year-old nullipara visited our hospital at 28+3 weeks gestation. A monochorionic diamniotic twin gestation was diagnosed ultrasonographically by visualizing a thin intertwin-dividing membrane and a single placenta. A cesarean section was performed at 35+3 weeks gestation and concordant twin fetuses with entangled umbilical cords were delivered. Gross examination revealed a single placenta with a ruptured dividing membrane. Our case, along with the other cases, confi rms that antepartum rupture of an intertwin-dividing membrane is a clinical condition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all cases of monochorionic diamniotic twin. A careful inspection of the dividing membrane and each cord insertion site should be performed. Once the dividing membrane cannot be easily visualized, the possibility of antepartum rupture should be suspe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