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저항과 공모 사이- 김승옥의 『내가 훔친 여름』을 중심으로

        오자은 한국현대소설학회 2022 현대소설연구 Vol.- No.88

        In the course of the 1960s Kim Seung Ok’s literature underwent a big change, from the critically highly acclaimed stories like “Record of a Journey to Mujin” to the popular entertaining novels like Common Women. The novella “The Summer I Stole” is one of the transitional works between these two extremes. Published in popular magazines or in newspapers, those works are somewhat kitschy and entertainig, but can be read as the author's serious political and ideological confrontations with the Korean society in the time of rapid economic development. This study of “The Summer I Stole” focuses on the transitional character of the novella. It seems to be a light, entertaining story about two young men on their vagabond journey comparable to a road movie, but doesn't end on a positive tone as is usually the case in such popular narrative genres. There is no happpy end, no final enlightenment. The ambiguous ending of the novel is due to the fact that the main character Lee Chang-Su suffers from mental complexes of a prestigious university student from the countryside. He oscillates between the desire for social success and the antipathy towards the mainstream society. This article shows that his ambivalent emotions are projected upon two other contrastive characters and that his journey and adventure can be interpreted as his own psychological wanderings. In this novella Kim Seungok depicts the complicated internal landscape of an interllectual who is torn between an outsider consciousness in the time of the anti-communist dictatorship and the temptation to be successful in the same system. 김승옥의 문학 세계가 60년대를 통과하면서 높은 문학성을 인정받는 「무진기행」 류의 소설에서 대중성을 표방하는 『보통여자』 류의 소설로 모종의 변화를 겪었다면, 『내가 훔친 여름』은 그러한 변화의 흐름 중간에 놓인 과도기적 작품에 속한다. 이러한 작품들은 일간지 연재소설, 혹은 주간지 소설로서 상당히 통속적인 면을 나타내기도 하지만 ‘통속성’과 ‘대중성’에 완전히 함몰되지 않는 진지한 사상적 모험을 시도하고 있다. 이 글은 『내가 훔친 여름』이 가진 이러한 경계선적 특성에 주목한다. 『내가 훔친 여름』은 우선 흥미진진하게 읽히는 두 젊은 남성의 무전여행 서사로서 영화 장르로 바꾸어 말하면 ‘로드무비’라고 할 만한 형식을 취하고 있으나, 그러한 대중적 서사 형식이 기대하게 하는 것과 달리 마지막에 어떤 성장이나 깨달음으로 귀결되지도 못하고, 유쾌하고 행복한 결말에 이르지도 못한다. 소설의 어정쩡한 결말과 환멸의 분위기는 시골 출신 서울대생 콤플렉스에 사로잡힌 주인공 이창수가 가진 양가감정, 즉 사회 현실에서 탈주하려는 저항적 태도와 사회적 주류에 진입하고자 하는 욕망 사이를 동요하는 이중적 감정에 기인한다. 이러한 양가감정의 기원은 이창수의 욕망과 심리가 투영된 빨갱이 아들 남형진과 사기꾼 장영일의 행보 속에서 드러난다. 이 글은 이창수의 외적인 여정과 모험을 이러한 긴장 속에서 부유하는 심리적 행로로 독해하면서 내가 훔친 여름 이 60년대 후반 여전히 기세등등한 반공주의의 위협과 세련되어 가는 지배 권력의 유혹 사이에 갇힌 지식인의 방황에 관한 소설임을 보여준다.

      • KCI등재

        중산층 가정의 ‘기획’과 80년대 ‘워킹맘’의 경계 —『살아있는 날의 시작』을 중심으로

        오자은 한국여성문학학회 2021 여성문학연구 Vol.54 No.-

        This article hypothesizes that the idea of scientific management began to affect South Korean family life in the 1980s. Moreover, this article analyzes works of South Korean fiction from this period that deal with working women and family life from the perspective of Taylorism. The article primarily focuses on Park Wan-Suh’s novel The Beginning of Living Days. Stories of white-collar women with family responsibilities reflect the Taylorization of middle-class family life and its dramatic effects. On the one hand, in the context of new technological comforts, it was imperative that middle-class women restrain from becoming “lazy ladies of leisure,” and they are called on to both work outside the house while also taking responsibility for the housework of cleaning, cooking, and taking care of their children and parents-in-law. On the other hand, they are often viewed with suspicion because people do not believe that a working woman can be as good a mother and wife as a dedicated housewife. Caught in a precarious situation, Cheong-hee. the heroine of The Beginning of Living Days, struggles to deal with her many tasks and obligations by using systematic time-management and Taylorist procedures. She is both the manager of a Taylorist system and a worker who is controlled within that system. However, in the end, it is impossible to make a perfect family in this way. Alienated from her mechanical, self-effacing everyday life, which leads to nothing, Cheong-hee decides to leave her family. However, the ambiguous ending of the novel demonstrates the difficulties and confusion faced by first generation working moms in South Korean society. 이 글은 박완서의 『살아있는 날의 시작』을 중심으로, 80년대 소설에서 보이는 맞벌이 여성이 속한 중산층 가정의 테일러리즘 양상과 균열, 그 동역학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했다. 대졸 사무직 여성들이 일과 가사를 병행하는 문제는 중산층 가정의 테일러리즘화의 과정과 그것이 초래하는 삶의 균열을 가장 극적으로보여주는 장소가 된다. 맞벌이 여성들은 일과 가사일, 자녀 양육 및 교육을 병행하기 위해 체계적인 시간 관리를 해야 하며, 바깥에서 일하는 시간만큼 가사와 가정 일에 결여가 생기지 않도록 최대한 압축적으로 아이들과 함께 시간을 보내야하는 등 질적 효율성의 관리 의무까지 떠안는다. 게다가 끊임없이 가정 안팎의 타자들에 의해 불완전한 의무 수행을 의심받고, 실제로 그것이 미흡하게 수행될 경우 비판과 혐오의 대상이 되는 등, 취약한 위치에 서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살아있는 날의 시작』은 이른바 ‘워킹맘’ 첫 세대의 등장, 그러나 아직 그러한 ‘워킹맘’을 수용할 사회적 논리나 기반이 마련되기 이전의 혼란스러운 과도기의 상태를 보여준다. 위의 문제의식 아래 이 글은 2장에서는 당시 중산층 가정의 여성들에게 요구되었던 테일러리즘의 ‘미덕’과 여기에서 일어나는 긴장과 역동적 계기를 예비적 작업으로 살폈다. 3장에서는 『살아있는 날의 시작』의 맞벌이 여성 청희와 그녀의 가정을 중심으로 이러한 규율과 관리의 작동 방식을 분석했고, 이 과정에서 ‘일하는 여성’들의 경우 가정의 모든 일을 계획하고 관리하는 경영자로서의 역할과 일상의 어셈블리 라인에서 복무하는 노동자의 역할이 맞물려 있는 모순적 구조에 놓여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4장에서는 청희가 겪는 실패와 좌절의 의미에 대해 분석했다. 그녀가 자신의 기계적 일상–삶에 깊은 회의와 환멸을 느끼며 자신이 속한 중산층 가정의 어셈블리 라인을 중단시키기 결정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어정쩡한 봉합처럼 보이는 결말과 그러한 결말이 보여주는 리얼리티의 의미를 살폈다.

      • KCI등재

        여성 ‘베르테르’와 (불)가능한 여성 성장서사-이문열의 『레테의 연가』를 중심으로

        오자은 한국문학연구학회 2019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67

        이 글은 이문열의 『레테의 연가』를 여성 성장소설로 독해하면서 그 속에서 이야기되는 여성의 성장이 가지는 함의를 비판적으로 재구성하려는 시도이다. 실제로 이문열은 이 작품으로 젊은 여성에게 자기 성찰의 계기를 제공한다는 창작 의도를 밝힌 바 있으며, 이러한 의도는 희원이라는 젊은 여성을 주인공으로 하는 성장소설적 구성으로 구체화된다. 유부남과의 '불륜'은 흔히 성장소설의 문법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사랑의 위기와 실연에 해당되는 것이며, 아직 정확한 삶의 향배가 결정되지 않은 여주인공이 자신이 속한 속물적 세계와 불화하고 여러 인물형들을 만나고 깨달으며 예술과 삶 사이를 갈등하다가 일정한 답을 찾아간다는 줄거리 또한 전형적인 성장소설의 문법에 충실한 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이때 특히 흥미로운 것은 성장 과정의 주체인 희원이 소설의 형식이나 소설 속의 암시를 통해 드러나듯이 베르테르의 여성 버전으로 구상되었다는 점이다.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은 전형적인 성장소설은 아니지만, 이후 전형적인 성장소설의 근본 바탕이 될 예술적 자아와 세속적, 속물적 세계 사이의 불화라는 구도를 선구적으로 보여준다. 로테에 대한 불가능한 사랑 속에 예술적 지향의 베르테르가 속물적, 계산적 세계 속에서 겪는 모든 갈등과 불화가 응집되어 있듯이, 희원이 화가인 민승우에게서 결코 포기할 수 없는 사랑의 대상이자 예술적 이상을 발견하는 것은 자신에게 예정된 공허한 삶의 경로에서 이탈하여 시인의 꿈을 실현하려 하는 열망에 상응한다. 다만 희원은 베르테르만큼 파괴적이지 않아서, 결국 사랑의 불가능함을 받아들이고 그 이후의 삶으로 나아간다. 이는 자아가 어떤 체념을 통해 세계와의 화해와 성숙에 이른다는 성장소설의 전형적 서사를 구현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 성장의 성격을 더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희원의 성장 과정에서 결정적 역할을 하는 민승우라는 인물을 자세히 분석할 필요가 있다. 민승우는 희원에게 공허한 삶에서 벗어나게 해줄 예술적 이상으로 여겨지지만 정작 그 자신은 오히려 희원을 평범한 삶으로 돌려보내기 위해 안간힘을 쓴다. 그는 방황하는 희원에게 가야 할 길을 안내하는 교육적 인도자로 등장하는데, 그것은 도덕성을 예술의 본질적 가치 가운데 하나로 보는 그의 보수적이고 고전적인 예술관 및 세계관과 관련이 있다. 그는 이러한 믿음을 고수하면서 시대의 주류적 예술관과 더 나아가 시대의 전반적 흐름에 저항하는 인물로 그려진다. 그에게 희원과의 사랑을 불륜 관계로까지 발전시키지 않는 것은 자신의 세계관적 일관성을 지키는 시금석이 된다. 그러나 이로 인해 성장의 서사는 새로운 삶의 길을 찾으려 하는 희원을 전통적인 여성의 자리로 돌아가게 하는 반성장의 서사가 된다. 희원이라는 여성 인물의 방황은 1980년대 한국 사회의 급격한 문화적 변동과 위기를 반영하며, 희원의 연애와 예술적 열망을 순치시키는 민승우는 이러한 변화의 물결에 반시대적으로 대응하고자 하는 작가의 입장을 대변한다. 이때 핵심적인 것은 민승우라는 이상화된 예술가 인물이 1980년대의 급격한 사회문화적 변화 속에서 점차 정당성을 상실해가는 보수적, 전통적 가치관에 예술적 품위를 부여하는 기능을 한다는 데 있다. 이로써 한 젊은 여성의 방황과 그 극복이라는 성장 서사는 사회문화적 변동 속에서 점 ... This article reads Yi Mun-yol’s “Love Songs of Lethe” (first published in book form in 1983) as female coming-of-age novel and tries to reconstruct the implications of the narrative of the female protagonist’s development critically. This work can be taken for coming-of-age novel or Bildungsroman, insofar as it relates the growing up of a young sensitive person, Hi-won, in search of answers to life’s questions. The two pivotal elements of the plot, Hi-won’s thwarted love with Min Seung-u, a married artist, and the conflict of her inner drive toward artistic self-realization with stuffy social norms and conventions make the novel even more typical of this genre. While the traditional Bildungsroman focuses on male development, Yi Mun-yol creates its female version which puts a female character into the role of developing subject. The Inversion of gender roles in the constellation of the figures get more conspicuous when the novel is read in contrast with “Sorrows of Young Werther”. Yi Mun-yol’s protagonist reminds us strongly of the famous hero of Goethe as she falls tragically in love with a married person, and writes about her feelings in her diary, an another form of self-expression like the almost monologic Wertherian letters. She is a female Werther while her lover Min Seung-u is comparable to Lotte in his rather passive and sensible attitude toward their forbidden love. Although Goethe’s first novel is not usually considered as Bildungsroman, the tragic fate of Werther is conditioned by the same conflict between Individual and society as that which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protagonist of this genre presupposes. Hi-won is different from Werther only in the sense that she accepts the reality in the end and go forward to the life after her unattained love, which makes her a typical protagonist of coming-of-age novel. It is in this “development process” that the male character Min Seung-u plays an active role as a kind of mentor: he persuades her to return to a life with “moral integrity” that is more conformist and conventional and rehabilitates the traditional gender constellation (man teach/lead and woman learn/follow). Yi Mun-yol’s female Bildungsroman is to understand in the context of rapid industrialization and modernization of South Korea in the 1970s and ‘80s, which gave young women new possibilities to break out from the traditional gender role as wife and mother and confronted them with such questions like, “what should I become in my life” “what should I make out of my life”. But Yi Mun-yol reacts to the social and cultural changes of his time with his conservative aesthetic and political ideology. That is expressed above all in the return to the traditional gender scheme in the end of the novel.

      • KCI등재

        『여성문학연구』의 현재와 현재성

        오자은 한국여성문학학회 2019 여성문학연구 Vol.48 No.-

        The article was written to review the agenda that the 〈The Academic Society of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has produced to mark its 21st anniversary, while also looking at how Women’s Literature Research has developed. To that end, we reviewed the results and meanings of the 10 years of the Women’s Literature Research published from 2010 to 2019. First of all, for 10 years, we have classified the special plans, feature papers, and general papers of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according to the subject and subject of the study, limited to the section of ‘Modern Literature’ as a preliminary We also looked at the mainly cited theorists and looked at the trends and issues of the time. The problems that Women’s Literature Research has encountered over the past decade are largely twofold. It is a matter of overcoming the disconnects from women’s literature and securing new continuity. In particular, it is believed that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setting the stage for re-implification of Korean literature as a whole. In addition, other important features such as disgust, refugees and feminism popularization issues looked at the recent agenda items presented by women’s literature research as “present issues.” This is an active academic response from the Women’s Literature Study to various social and political issues Korean society has experienced in recent years. But beyond accepting these agenda items widely and dealing with women’s issues, we should now make efforts to find “new agenda” that we should address in the future. There should also be a continuing search for how such a method should move forward. 『여성문학연구』는 1998년 창립된 이후 1999년에 1호 창간을 시작으로 학회지『여성문학연구』를 만 20년 동안 발간해 왔다. 이 글은 창립 21주년을 맞아 한국여성문학학회가 그동안 생산해 온 의제들을 검토하면서 동시에 『여성문학연구』 가 어떻게 ‘지금-여기’의 문제와 반응하며 혹은 그 너머를 바라보며 교호해 왔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씌어졌다. 이를 위해 2010년부터 2019년까지 지난 10년간 발행된 『여성문학연구』의 학문적 기억을 톺아보았으며 그 성과와 의미를 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우선 예비적 논의로서 ‘현대문학’ 분과에 한정하여10년 동안 『여성문학연구』의 특집 기획들과 특집 논문들, 그리고 일반 논문들을연구 주제와 연구 대상에 따라 분류해 보았다. 또한 주로 인용된 이론가들을 살피며 그간의 동향과 쟁점들을 검토하였다. 지난 10년 동안 『여성문학연구』가 천착해 온 문제는 크게 두 가지로 정리된다. 여성문학의 단절성을 벗어나 새로운 연속성을 확보하는 문제, 그리고 이를 위해 여성문학을 분절하거나 왜곡시키는 굴절점들이나 착시 현상들을 어떻게 해석하고 의미화 할 것인지에 대해 문제화해 온 것이 바로 첫 번째이다. 특히 이러한맥락에서 젠더적 관점에서 한국문학사에 접근하거나 80년대 여성문학에 대한역사화를 시도하는 연구들이 최근 다양한 지면들에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을생각해 보았을 때, 『여성문학연구』가 학계 바깥의 지면들과 서로 교호하면서 한국문학 전체에 대한 재구와 재의미화의 장을 마련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맡을 수있을 것이라 여겨진다. 그뿐 아니라 또 하나의 중요한 특징으로 ‘혐오’와 ‘난민’, ‘페미니즘 대중화이슈’ 등, 『여성문학연구』가 최근 제시하고 있는 의제들이 이전보다 ‘현재적인이슈들’이라는 점을 살폈다. 이는 최근 몇 년 간 한국 사회가 겪은 여러 가지 사회적, 정치적 진통들에 대한 『여성문학연구』의 적극적인 학문적, 이론적 대응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이러한 의제들을 폭넓게 수용하고 발전적으로 재생산하며 ‘지금-여기’의 여성 문제를 다루는데 현재적 위치를 점하는 것을 넘어서, 이제는 우리가 앞으로 다뤄야 할 ‘새로운 의제들’을 발굴하는 일에 노력을 기울일필요가 있다고 본다. 그러한 발굴과 확장의 방식이 앞으로의 새로운 10년간 어떤 형태가 되어야 할지에 대한 고민과 모색 또한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1980년대 박완서 단편 소설에 나타난 중산층의 존재방식과 윤리

        오자은 민족문학사연구소 2012 민족문학사연구 Vol.50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existence of middle classes appeared in Park Wan-Seo’s short novels in 1980’s. Under the forementioned theme, following stand points for analyses were established including personal experience of Korean war, construction of Gangnam and new town in 1970’s to 1980’s, and pro-democratic political college students. The author intended to document a new viewpoint for discussion of middle classes described in Park Wan-Seo’s novels, through analyses of their mindset and existence as conscious, economical and political significance. In chapter 2, the way of main character’s maintaining her own daily life through re-experience of Korean war as a daily ritual was discussed. In chapter 3, imagination and reassignment of middle classes to associate their courtesy and space were analyzed. In chapter 4, an issue of reducing political issues to a daily ethics as emergence of political colleg activist was discussed. At first chapter, experience of Korean war functioned as a kind of ritual for punishment of minor deviation from ethics and maintenance of daily life. Middle class families re-experience the trauma of disintegration of their own families during Korea war, and reflect peaceful and quiet present through pseudo-decease of the mother. After the ritual, daily life became recovered and more concrete. In chapter 2, by “Finding flowers” the change of imaging space and re-arrangement of logics in middle classes were discussed, in the 1980s when intensification of local disparities in Seoul and reorganization of region and courtesy were ongoing. Imagination of residence location was originated from the association of region and courtesy, so that arrangement of courtesy was different between location. The author analyzed this issue through “Lost” which described segregation of Seoul, which implied discipline and obedience, and Seong-nam, which implied liberation and intemperance. In chapter did discussed how the middle class family respond to a political symbol appeared as a form of activist college students. In “A epsiode of sundown” unfamiliar fear of middle class family against political activists was elaborated by his background and personal history; a sense of insecurity on any vague and unstable issues was tried to be accepted as a moral and ethical substitutes by a typical middle class families, and that deprives all the political issues of their political fundamentals. Also, such a viewpont transforms political activists into an issue of unhappy personal background of early growth, so that keen political oppositions in the 1980’s were covered into a personal sense of guilt and repentance of common mothers. Above strategy was a kind of modest compromise to maintain peaceful daily life without political turmoil. This is the foremost significance of Park Wan-Seo’s novels in appreciating unique existence of middle class families, apart from political and historical evaluation of their beings.

      • KCI등재

        위안의 서사와 불화의 서사: 1980년대 교양소설의 두 가지 문법 -이문열과 이인성의 소설을 중심으로

        오자은 한국현대문학회 2018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56

        In spite of their significant differences in writing style and artistic and social attitude Yi Mun-yol's “Days of Youth” and Yi In-seong's “Into an Estranged Time” can be both regarded as the pioneering and the most successful works of Bildungsroman in the modern Korean literature insofar as the struggle of a young man of artistic and literary interests with the world and his endeavour to find his own self stand at the center of both novels. This article carries out a tho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these two representative Korean Bildungsromans and examines the question why this old european genre get an actual meaning in the literary and social context of the Korean 1980s and what differences they show in concretizing the generic schema. In 1970s and 80s when the South Korean society was defined by rapid industrialization and oppressive anti-communist dictatorship and the free development of an individual was severely endangered, the key question of the genre about a young man’s finding and building his own independent self identity seemed to the young generation more than of literary concerns, especially to the college students with liberal minds and artistic sensitivities. It means that the Korean Bildungsroman of 1980s can be understood as a literary reaction to the social reality which made the question of the defence of self-identity an urgent issue. Though confronted with the same problems, the two writers let their heroes take different paths of self-realization. While Yi Mun-yol depoliticize the art and literature and tries to harmonize the youthful yearnings of his literary ambitious and rebellious hero Young-hun with the conformist middle-class life of his later self, Yi In-seong’s nameless hero sees the only way of self-realization in an endless negation of everything established and settled and denies to become any identifiable self. These two contrary attitudes of the novelists are reflected in their respective narrative styles. Yi Mun-yol narrates more realistically an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ero’s ‘mature’ self, while Yi In-seong carries the avant-garde writing style which tends to the destruction of narrative coherence to its extreme. 80년대 초는 이후 한국 문학사에서 ‘교양소설’을 논의할 때, 지속적으로 호명될 걸출한 두 작가의 연작 소설, 이문열의 『젊은 날의 초상』과 이인성의 『낯선 시간 속으로』가 출간된 때이다. 우선 교양소설이 아직 완성에 이르지 못한 젊은이가 현실과 투쟁하면서 다양한 체험을 통해 자신을 발견하고 이 세상에서의 자신의 사명을 어떻게 확신해 나가는가를 서사의 근본적 구조물로 삼는다면, 이 두 소설은 두 작가의 글쓰기 스타일과 지향점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공히 전형적인 교양소설의 문법을 충실히 따른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본격적인 교양소설이 이 시기에 연이어 등장하고 모두 독자의 큰 반향을 얻은 것은, ‘어떻게 자기를 찾을 것인가’라는 교양소설 장르의 근본적 물음이 급격한 산업화와 억압적 정치 현실로 요약될 수 있는 80년대 초의 한국 현실 속에서 첨예한 의미를 획득하게 된 것과 밀접하게 관계된다. 그것은 특히 예민한 내면과 예술적이고 자유로운 성향을 가진 20대 초반의 문청 남자 대학생에게 절박하게 대답되어야 하는 문제였고, 젊은이의 ‘형성’ 과정, 즉 불안정하고 부정형 상태인 젊은이가 ‘자아와 세계의 불일치’에서 ‘조화’로 가는 성숙의 과정을 그리는 교양소설이라는 장르는 이러한 문제와 문학적으로 대결하기에 매우 적합한 틀을 제공해주었다고 할 수 있다. 이 글은 80년대 초반의 대표적인 교양소설 『젊은 날의 초상』과 『낯선 시간 속으로』가 당대 현실에 대한 장르적 대응이라는 전제 하에, 우선 이 두 편의 소설이 공유하고 있는 소설적 구조와 정서에 대해 검토한 다음, 두 소설이 이러한 공통점에도 불구하고 교양소설이 제기하는 근본적 문제에 대하여 상이한 태도와 접근 방식을 취하고 있으며 그것이 당시 현실에서 자아의 구원에 이를 수 있는 두 가지 대안적 가능성에 상응함을 밝히고자 했다. 2장에서는 『젊은 날의 초상』과 『낯선 시간 속으로』가 문청 대학생의 세계와의 대결이라는 점에서 매우 유사한 줄거리 구성을 보인다는 점, 그리고 두 소설의 주인공의 활동 영역이 모두 ‘유배’의 시공간으로 나타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유배의 시공간이 자아의 구원을 위해 미적 가치를 추구하는 주인공들이 세계와 갈등 관계에 있음을 상징하는 동시에, 세계에 포섭되어버리지 않으면서 자아를 형성해갈 수 있는 실험적 장으로 기능하고 있음을 규명하였다. 3장에서는 이문열의 소설에서 자아와 세계의 갈등과 긴장이 어떻게 해결되는지 서술하였다. 『젊은 날의 초상』의 주인공 영훈은 중산층의 평균적 삶에 도달하고자 하는 소망과 아름다움을 향한 문학적, 예술적 열망 사이에서 분열된 존재로서, 결국 미적 이상을 도달 불가능한 초월적 위치로 끌어올림으로써 평균치의 삶에의 안착을 정당화하고 분열에서 벗어나 결국 삶으로 돌아올 수 있게 된다. 방황의 청산과 화해의 과정은 삶에 안착한 화자의 시선에서 젊은 날의 방황을 바라보는 회고적 형식을 통해 안정감 있는 위안의 서사로 완성된다. 4장에서는 이인성 소설의 주인공이 걸어가는 대조적 행로를 추적하였다. 교육자, 학자의 집안이라는 무게가 주는 중압감 속에서 성장한 주인공은 자신에게 외적으로 강요되는 모든 정체성을 거부하고 연극 속에서 고유한 자아를 찾고자 한다. 그러면서 진정한 연극, 진정한 자아는 끝없는 자기 부정과 변신, 다른 연극, 다 ...

      • KCI등재
      • KCI등재

        냉담과 오욕: 『무기의 그늘』에 나타난 감정의 동역학

        오자은 한국문학연구학회 2019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69

        This article analyzes Hwang Sok-yong’s Vietnam War novel Shadows of Weapons in terms of the main character’s development during his participation in the war, and tries to show how the South Korean soldier Ahn Young-Kyu suffers from the conflicts between his critical consciousness against the imperialist war and his position as a sort of mercenary of the U. S. army and how he copes with these conflicts which entangle him in deep emotional contradictions. It is in this context that we can understand the narrative instability leading to an unexpected and abrupt end of the novel. To reconstruct the unstable and contradictory inner world of the hero, this study begins with the question how the wartime black market in Da Nang which he is commissioned by the U. S. army to monitor transforms him into an expert of “the PX-capitalism” who functions almost perfectly on the logic of capitalist exchange while concealing any emotional vulnerability. By sticking to the motto “be calm and emotionless” he tries to protect his ego from being destroyed if he would get sensitized to the absurdities of the imperialist invasion and the shameful situation into which he has been drawn by the government of his own country. But this narrative of the capitalist indifference is contrasted persistently with a latent story of Ahn’s suppressed emotional complex which consists in his intermediate position between his somewhat rebellious east asian identity as a disdained second-class citizen in the imperialist world order and his status as a kind of mercenary soldier siding with the imperialist occupier. His psychological complex finds its symbolic e-pression in the name “Madam Butterfly” which he imaginatively gives to a female Korean black market dealer with some past relationships with U. S. officers, as is shown through a close reading of the sparely narrated story between him and this woman in the second part of the article. In its third and last part, the article presents an explanation for the hero’s sudden metamorphosis from a man of indifference to a deeply ashamed and furious subject who kills a NLF Guerilla in revenge for the death of his Vietnamese colleague. Here the killing can be interpreted in two ways: It results not only from violent eruptions of his long suppressed emotional complex, but also from the necessity to restore his emotionless self trained in the logic of PX-capitalism. In this second sense we can read the last violent action of the Korean soldier as an attempt to punish his own moral and critical consciousness and to forget the all disgraceful memories of the war in order to survive in this absurd world. 이 글은 『무기의 그늘』을 베트남전의 PX자본주의 아래 주인공의 운명과 성장의 서사를 통해, 제국의 용병으로 참전한 한국 남성이 내적으로 어떤 분열을 견디어야 했는지 그리고 살아남기 위해 그 분열을 어떻게 봉합해야 했는지, 그 봉합의 대가는 무엇이었는지를 탐구한 소설로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제국의 PX 자본주의가 만들어낸 시장질서 속에 던져진 주인공 안영규의 분열적이고 모순적인 감정 상태와 그것이 (무)의식적으로 산출해낸 서사의 불균형에 주목하였다. 우선 2장에서는 이 소설 초반의 서사를 “애송이” 안상병이 자본주의 질서의 중간상인, 경제 기술자로 변모하는 과정으로 탐구하였다. 감정적 동요를 스스로에게 은폐하면서 시장 속에서 ‘쿨’하게 기능하는 냉담한 시장 주체 또는 철저히 과업 중심적인 캐릭터로서 자신을 정체화 하려는 주인공의 시도는 그가 제국의 전쟁에 참여한 한국인으로서 가진 열패감, 끼인 존재로서 느끼는 혼란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방편이며 생존 방식이다. 그가 달러와 물자의 흐름에, 시장과 거래의 논리에 자기를 맡기는 것은 제국이 벌인 전쟁의 심층부에 자리한 부조리를 정면으로 목도할 경우 겪게 될 자아의 파탄을 막기 위한 차폐막이라 보았다. 그러나 이러한 PX 자본주의의 ‘냉담’의 서사는 끊임없이 어떤 긴장 상태에서 구성되어 가는데, 3장에서는 ‘나비부인’이라는 기호가 암시하는 무의식의 서사를 살폈다. 오혜정이라는 여성으로 표상되는 나비부인의 환상은 시장의 능숙한 경제 기술자로 성장해가는 안영규의 서사 이면에 제국주의-식민지적 질서 속에서 자신의 정체성의 문제와 관련된 복잡한 감정적 행로가 놓여 있다는 점을 드러내고, 이로써 이 소설의 마지막 부분의 변전을 예고하는 기능을 한다. 그 속에서 안영규의 이야기가 단순히 PX 자본주의에 적응해가는 냉담의 서사만은 아니라는 것을, 불균질성의 지대들이 냉담의 서사 아래 산재해 있다는 것을 읽어낼 수 있다. 4장에서는 이러한 불평등의 구조로부터 최대한 거리를 두고 냉담한 태도를 유지하며 주어진 계약 기간 동안만 기능적으로 머물다 떠나려는 그의 외부자적 위치 설정이 서사가 진행될수록 점점 더 뚜렷하게 그 취약성을 드러내는 양상을 살폈다. 여기에서는 스태플리와 토이의 죽음을 통해 느낀 오욕의 감정을 그가 어떻게 폭발시키고 해소하는지에 대한 심층구조를 탐구하였다. 그는 자신의 도덕적 의식을 징벌함으로써, 그리하여 오욕의 기억을 망각함으로써 다시 냉담한 상태로 돌아온다. 외부적 힘에 의해 파열된 자신의 내면을 자기 안에서 봉합함으로써 전쟁을 버티어내는 것이다. 그는 제국의 민낯을 느끼는 감수성을 다시 은닉한 채, 이 제국주의적-자본주의적 세계 속에서 생존 능력을 지닌 남성으로, 냉철하고 발빠른 “도마뱀”으로 성장하여 귀향하게 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