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에서 시행한 지지적 궐 시멘트 치환술

        박윤수(Youn Soo Park),이종윤(Jong Yoon Lee),강진석(Jin Seok Kang),오일빈(Irvin Oh) 대한정형외과학회 200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39 No.2

        목적: 젊은 환자에서 중등도 이상크기의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에서 보존 요법으로 시행한 지지적 골 시멘트 치환술의 단기 결과를 보고하기 위함. 대상 및 방법: 1998년 3월부터 2000년 2월에 수술한 41 대퇴골두, 3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나이는 34.2세(남자; 33명, 여자;5명)였다. 수술 전 평균 Harris 고관절 점수는 48.6점이었다. Ficat-Arlet에 의한 방사선학적 병기상 제1기가 2 고관절(5%), 제Ⅱ-a기는 7 고관절(17%), Ⅱ-b기가 8 고관절(2%) 그리고 Ⅲ기가 24 고관절(59%)이었다. 자기 공명 영상에 의한 괴사 정도 지표에 의하면 8 고관절(20%)이 B등급이었고, 나머지 33 고관절(80%)은 C등급이었다. 수술 방법은 괴사골의 제거 후 골 시멘트를 충진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24.6개월이었다. 최종 추시 상 3 고관절이 소실 되었다. 결과: 수술 후 즉각적인 고관절통의 감소는 38 고관절(86%)에서 관찰되었다. 최종 추시 상 평균 Harris 고관절 점수는 77.3점이었다. 방사선학적 병기의 진행은 11 고관절(27%)에서 보였으며, 나머지 30 고관절(73%)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인공관절 치환술은6 고관절(15%)에서 시행되었으며 이들은 모두 괴사 정도 지표는 C등급이었다. 결론: 지지적 골 시멘트 치환술은 기존의 구제법에 비해 기술적으로 쉽고, 수술 후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자기 공명 영상의 괴사 지표가 수술 후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였다. 장기적인 추시 관찰이 필요하다. Purpose: To report early results of supportive bone cement replacement for medium to large size osteonecrotic femoral heads in young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Forty-one osteonecrotic femoral heads in 38 patients, who received operation from Mar. 1998 to Feb. 2000, were reviewed.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34.2 years (men; 33, women; 5). The preoperative mean Harris score was 48.6. Radiologic staging of Ficat showed Ⅰ in 2 hips (5%), Ⅱ-A in 7 hips (17%), Ⅱ-B in 8 hips (20%) and Ⅲ in 24 hips (59%). According to the index of necrotic extent (INE) by MRI, 8 hips (20%) were grade B and the remaining 33 hips (80%) were grade C. The operative method used was debridement of necrotic bone and bone cement replacement. Mean length of follow-up was 24.6 months. Three hips were lost to final follow-up. Results: Postoperative immediate pain relief was observed in 38 hips (86%). Mean Harris score at the final follow-up was 77.3. Radiologic progression of stage was observed in 11 hips (27%), and no progression in the remaining 30 hips (73%). Arthoplasty was performed in 6 hips (15%), which were INE C in all cases. Conclusion: Supportive bone cement replacement is easier than other salvage techniques and produced a good result. INE was an important factor effecting postoperative results. Long term follow up is necessary.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환축추간 경관절 고정 시 후방 나사못 삽입을 위한 전산화 단층 촬영

        정성수(Sung-Soo Chung),이종서(Chong-Suh Lee),정광훈(Kwang-Hoon Chung),이종열(Jong-Yul Lee),오일빈(Irvin Oh) 대한정형외과학회 200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39 No.3

        목적: 환축추간 고정에 있어서 가장 든든한 생역학적 안정성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은 환축추간 경관절 나사못 삽입이지만, 삽입에 따른 동맥이나 신경 등의 손상이 염려된다. 이러한 위험을 피하고 이상적인 나사못 삽입을 설정하기 위하여 횡축 및 나사못 삽입방향으로 전산화 단층 촬영을 하여 나사못의 길이 및 삽입방향 등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경추 질환의 병력이 없는 20명의 건강한 지원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10명, 여자가 10명이었으며 평균나이는 각각 25.4세,27.4세였다. 시상면에 대한나사못의 삽입 방향을 축추의 후면 추궁판과 후방 관절 사이의 이행부를 삽입지점으로 하여, 환추 전방환의 피질골의 중심을 지나는 연장선이 향하는 각도로 정하고, 이 각도로 전산화 단충 촬영을 축방향으로 삼차원 재구성(3-D reconstruction)하여 영상을 얻은 후 나사못의 길이, 협부 내측 및 외측 피질골의 직경과 더불어 환추 전방환의 가장 앞쪽에 위치한 피질골과 환추 외측괴의 중앙 전방 피질골 사이의 길이 및 각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나사못의 길이는 남자의 경우 평균 37.6 ㎜ (35.1-40.5 ㎜)였고 여자는 37.2 ㎜ (33.6-43.4 ㎜)였다. 협부 내측 피질골의 직경은 남자의 경우 4.3 ㎜ (3.3-5.2 ㎜)였고 여자의 경우는 4.0 ㎜ (2.8-5.6 ㎜)였다. 환추 전방환의 가장 앞쪽에 위치한 피질골과 환추 외측괴 중앙 전방 피질골 사이의 길이는 남자와 여자에서 각각 6 ㎜와 5.7 ㎜였다. 모든 계측치에서 남녀에 따른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 결론: 환축추 해부의 개인적 차이, 특히 축추 협부의 피질골 직경 크기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환축추간 경관절 나사못 삽입에 있어서 삼차원 재조합 전산화 단층 촬영은 상당히 유용할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o avoid neurovascular injuries and to establish the ideal trajectory of screw insertion, a computed tomographical evaluation was conducted. Materials and Methods: Twenty volunteers without cervical disease were employed for this study. Axial and oblique CT scans were selected for evaluation. Oblique CT scans were obtained in the direction of provisional screw insertion, starting from the junction of the lamina and the inferior articular facet of the axis and extending to the center of anterior tubercle of the atlas. In the axial and oblique recon-structed views, the screw length, the diameters of the medial and lateral cortexes of the isthmus, the vertical distance, and the angle of C1 were measured. Results: The screw lengths averaged 37.6 ㎜ (35.1-40.5 ㎜) in males and 37.2 ㎜ (33.6-43.4 ㎜) in females. The diameters of the medial cortex of the isthmus were 4.3 ㎜ (3.3-5.2 ㎜) in males and 4.0 ㎜ (2.8-5.6 ㎜) in females. No measurement was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males and females. Conclusion: Due to individual variations of atlantoaxial anatomy, especially in terms of the size of cortl-cal diameter of the isthmus, 3-D reconstruction CT is a useful tool for planning transarticular C1-2 screw inser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