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원격ㆍ다원 사용자 환경에서의 순차적 이벤트 공유기에 관한 연구

        유영진(Yoo Young-Jin),오용선(Oh Yong-Sun) 한국콘텐츠학회 2003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1 No.1

        본 논문에서는 원격ㆍ다원으로 구축된 컴퓨팅 환경에서 공동 사용자간에 발생하는 이벤트를 순서화 하여 공유하는 방법과 이를 멀티미디어 자료에 적용하여 구현함으로써 통신망을 이용한 공동작업의 효과를 향상시키는 공유기술을 제안한다. 이 공유방법은 정보통신망의 서로 다른 지역에 설치된 사용자간의 프리젠테이션, 저작, 활용, 이벤트 발생 등을 원활하게 하여 원격교육, 화상회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공동저작 등 원격ㆍ다원 프로젝트의 수행에 있어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기존의 공동 화이트보드(sharing white board) 시스템에 있어서는, 멀티미디어 단위 콘텐츠를 반드시 전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저작하고 이미 저작되어 있는 콘텐츠나 프로그램은 사용할 수 없으며, 원격ㆍ다원으로 접수되는 명령어의 입력순서를 정렬하는 기술이 적용되지 않은 상태였으므로 순서오류에 의한 오동작을 감수해야 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이에, 본 논문은 프로그램의 종류에 관계없이 윈도우 시스템으로부터 입출력 이벤트(event)를 추출하는 기술과 운영체제 내의 프로그램간 전송에 있어 이벤트를 후킹(hooking)하는 기술 및 공유 프로그램의 처리결과를 원격ㆍ다원으로 분산된 환경에 전달하는 알고리듬을 설계하고 이를 구현함으로써 원격ㆍ다원 환경의 모든 참여자가 오류 없이 동일한 결과를 정확하게 공유할 수 있도록 개선하였다. 본 논문의 공유기술은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공동저작, 원격교육에 있어서 공동칠판의 활용, 화상회의에 있어서 프리젠테이션 화면 제공 등에 활용함으로써 온라인 면대면 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sharing method ordering the events occurring between users collaborated with the common telecomputing environment. We realize the sharing method with multimedia data to improve the coworking effect using teleprocessing network. This sharing method advances the efficiency of communicating projects such as remote education, tele-conference, and co-authoring of multimedia contents by offering conveniences of presentation, group authoring, common management, and transient event productions of the users. As for the conventional sharing white board system, all the multimedia contents segments should be authored by the exclusive program, and we cannot use any existing contents or program. Moreover we suffer from the problem that ordering error occurs in the teleprocessing operation because we do not have any line-up technology for the input ordering of commands. Therefore we develop a method of retrieving input and output events from the windows system and the message hooking technology which transmits between programs in the operating system. In addition, we realize the allocation technology of the processing results for all sharing users of the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 without any error. Our sharing technology should contribute to improve the face-to-face coworking efficiency for multimedia contents authoring, common blackboard system in the area of remote educations, and presentation display in visual conference.

      • 저비용, 고효율의 무선가정자동화 시스템 구축방향 연구

        신경철(Shin kyung-chul),오용선(Oh young-sun) 한국콘텐츠학회 2004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2 No.1

        우리나라 정부에서는 ‘홈네트워킹’을 차세대 10대 성장 동력의 하나로 설정하고 이 분야의 연구ㆍ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 새로운 시스템이 현재의 가정에 도입하기에는 엄청난 초기비용과 전용기기의 필요성, 그리고 설치를 위한 까다로운 제약사항이 너무나도 많다. 본 논문에서는 낮은 비용으로도 고효율의 가정 자동화를 꾸밀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여 일반 가정에서도 가정자동화 시스템의 도입이 좀 더 쉽고, 원활해 질것이다. 또한, 모든 기기제어를 RF와 DB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이루어지는 선으로부터의 자유와 설치의 용이성, 원격지 PC와 모바일, PDA에서 조차 제어가 가능해 진다. Government is supporting development of home networking. But, this new system is much expensive to introduce in the home. And limit for establishment is so many in the home. Therefore, in this paper, Present direction of home automation system that can have high efficiency into low expense, induction of automation system is easied in the home. Also, install can be easy and do remote control in PC, HP, PDA because use RF, DB.

      • PLC 기반의 Home Network를 기존환경에 바로 도입 가능한 Home Automation System 연구

        신경철(Shin Kyung-Chul),오용선(Oh Young-Sun) 한국콘텐츠학회 2005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3 No.1

        디지털 시대가 본격화 되면서 가정의 정보가전기기들이 디지털 가전기기로 바뀌고 이를 하나의 네트워크로 구성하고자 하는 노력들이 홈네트워크(Home Network)와 가정자동화(Home Automation)를 구축하려는 바람으로 일고 있다. 하지만 이 새로운 시스템은 현재의 가정에 도입하기에 엄청난 초기비용과 전문기기의 필요성, 그리고 설치를 위한 까다로운 문제 등 제약사항이 너무나 많다. 또한 가정자동화의 기본 바탕인 자동화 설비기기의 중요성은 부각되지 않은 채 주요 가전기기의 자동화 기술만 홍보하고 있어 기 건축된 아파트나 가정에서의 가정자동화 시스템의 도입은 다른 세상 이야기와 같다. 본 논문에서는 전문적인 가정자동화기가 아직 갖추어져 있지 않은 범용적인 일반가정에서 PLC 기반의 통신기술을 사용하여 새로운 배선 공사 필요 없이 모듈화된 설비기기로의 교체와, 또한 기존의 가전기기를 최대한 활용하여 전용기기 못지않은 가정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방향과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로 인해 전체적인 시스템 초기 구축비용 면에서도 저렴해 지고, 쉬운 설치와 사용방법으로 인해 가정자동화 시스템의 보급에 큰 기여를 할 것이다. Government is supporting development of home networking. But, this new system is much expensive to introduce in the home. And limit for establishment is so many in 1he home. Therefore, in this paper, Present direction of home automation system that can have high efficiency into low expense, induction of automation system is easied in the home. Also, install can be easy and do remote control in PC, HP, PDA because use PLC or HN RF, DB.

      • USN 환경을 도입한 35평 아파트의 유비쿼터스 가정자동화 시스템의 설계

        신경철(Shin Kyoung-Chul),오용선(Oh Young-sun),김우성(Kim Woo-Sung) 한국콘텐츠학회 2005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3 No.2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구현되고 있는 가정자동화 시스템(Home Automation systems)들의 단조로운 제어에서 탈피하여, 진일보된 지능형 유비쿼터스 환경을 가정에 도입하기 위한 시스템을 설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SN)를 기반으로 구성한 홈네트워크(Home Network)에 지능형 환경(Intelligent Environment)을 도입하여 가정자동화 요소들의 지능화된 연계와 MicroSoft의 월드모델(World Model)에 입각한 가정자동화 시스템(Home Automatic Behavior System)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제안된 시스템을 기반으로 35평형 아파트 기준의 가정자동화 시스템을 설계함으로써, 진일보된 지능형 홈의 개념을 정립하고, 기존의 가정자동화 시스템에 비하여 사용자 중심의 유비쿼터스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월드 모델을 도입한 진정한 의미의 가정자동화 시스템을 설계하고자 하는 것이다. 설계된 시스템은 사용자 위치를 추적하고 그에 관련하여 설정된 상황모델을 만족할 때 자동으로 수행되는 행동규칙을 가지고 있어 진일보한 Home Automatic Behavior System으로 평가할 수 있다. Government is supporting development of home networking. But, this new system is much expensive to introduce in the home. And limit for establishment is so many in 1he home. Therefore, in this paper, We escape from monotonic control of Home Automation and draw a plan Intelligent Home Automation to be developed. We reflect Home Network to the foundation and propose Home Automation on Ubiquitous Sensor Network, We Design of Ubiquitous Home Automation System for 35-Pyung Apartment Based on USN Environment.<br/> This becomes the Home Automatic Behavior System which is executed to the automatic to be improved.

      • 모바일 u-health 서비스 플랫폼 설계

        민병원(Byoung-won Min),오용선(Yong-sun Oh),한동수(Dong-soo Han),구종영(Jong-young Koo) 한국콘텐츠학회 2009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7 No.1

        제안된 u-health 서비스 플랫폼은 바이오 데이터 채집과 저장, 그리고 바이오 데이터 분석 및 결과 통보의 일련의 과정을 모바일u-health 서비스 프로세스로 해석하였다. 모바일 환경에서 건강관리 시스템 구축을 지원하는 서비스 플랫폼은 모바일 u-health 응용 서비스를 쉽게 탑재하여 운영할 수 있도록 설계 되었으며, 서비스 플랫폼의 효용성 및 유용성을 고려함으로써 u-health 사용 서비스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In the proposed u-health service platform mobile u-health served an a series of process of bio data collection and storage and bio data analyses and results notice, and I interpreted it to a process. I became a design so as the service platform which supported health management system construction easily loaded service applied mobile u-health, and to be able to operate it in mobile environments, and took utility of a service platform and usability into consideration, and I got the crux of u-health use service.

      • 대용량 멀티미디어 사용자를 위한 디지털 콘텐츠 통합모델에 관한 연구

        임용묵(Lim Yong-Muk),박상조(Park Sang-Cho),김희남(Kim Hee-Nam),김영득(Kim Young-Deuk),김우성(Kim Woo-Sung),오수현(Oh Soo-Hyun),오용선(Oh Yong-Sun) 한국콘텐츠학회 2005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3 No.1

        콘텐츠 관리와 유통, DRM 기술은 각각 독자적으로 개발되어 왔으며 다수의 콘텐츠 서비스는 사용자 중심이기 보다는 유통 시스템 안정화 및 콘텐츠 보안과 같은 시스템 중심으로 발전해 왔다. 본 논문에서는 대용량 멀티미디어 사용자를 위한 DRM 기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관리 및 유통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모델은 콘텐츠 관리, DRM, Watermarking 기능을 통합 지원하며, 사용자 중심의 Indexing DBMS와 내용 기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검색엔진으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공한다. Content management, distribution system and DRM technology have been developed respectively, many contents services are more focused on the system like stability of distribution system or contents security than user-orient. In this paper, we would suggest multimedia contents management based on DRM and distribution model for the users of massive multimedia. The suggested model will be a total solution of content management, DRM and Watermarking functions as well as it will offer convenience to the users with Indexing DBMS which is focused on us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