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여성친화적 인사정책이 직무동기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중앙행정기관 여성공무원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이영안(李永安),강제상(姜齊相),이홍재(李洪宰) 한국정책과학학회 2010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14 No.4
본 연구에서는 중앙행정기관 여성공무원들의 여성친화적 인사정책에 대한 인식이 직무동기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여성관련 인사정책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여성친화적 인사정책을 여성경력개발정책, 인사상 여성우대정책으로 구분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결과 경력개발정책은 직무동기와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분석되었지만 여성우대정책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여성공무원들의 직무동기 및 조직몰입 향상을 위한 여성친화적 인사정책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In this paper, we tried to present a method to improve women-related personnel policies by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perception regarding women-friendly personnel policies of the female public officials at the central government offices on job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do this, we divided women-friendly personnel policies into the policy for the career development of women and the personnel management policy giving preference to women. The results fro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vealed that the career development policy had positive influences on job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owever, that preference policy for women had no statically significant impacts thereon. Based on such analysis results, we presented an improvement method for women-friendly personnel policies in order to improve job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female public officials.
강영안 대동철학회 2011 大同哲學 Vol.57 No.-
논리실증주의의 대두와 하이데거의 존재신학 비판 이후, 신학자와 철학자들은 “신에 관한 이야기가 아직도 가능한가?”하는 물음에 직면한다. 이 글은 타자성의 철학을 전개한 레비나스가 이 물음에 어떻게 답하는지를 살펴본다. 레비나스는 그의 작업 후반기에 이르러 비교적 자주 신에 대한 언급을 할 뿐 아니라 신의 문제와 자신의 타자성의 철학의 깊은 연관성을 드러낸다. 신 문제에 관한 레비나스의 입장이 비교적 선명하게 드러난 작품은 레비나스가 1975년과 76년 소르본에서 했던 마지막 강의와 이 강의와 비슷한 시기에 쓴 신과 철학이란 논문이다. 이 글은 이 두 저작을 중심으로 첫째, 하이데거의 존재 신학 비판과 레비나스의 연속성을 드러낸다. 두 번째로 하이데거의 존재 신학 비판을 레비나스가 어떻게 계승하면서 동시에 극복을 시도하는지를 탐구한다. 세번째로 타자와 무한의 이념이 신 문제와 밀접하게 관련되는 방식으로 드러낸다. 끝으로 레비나스는 무신론자인가라는 물음을 통해 레비나스의 신 개념이 안고 있는 애매성을 드러낸다. Philosophers and theologians of the 20th and 21th centuries are facing with the question "How is it still possible to talk about God after the rise of the logical positivism and Heidegger's criticism of ontotheology?" This paper is devoted to a search for the possible answer of Levinas on this question. Levinas frequently has mentioned about God more and more in his later phase of his work and showed great interest in the possibility to talk about God. His position is pronounced mostly clearly in the class notes of his last lecture at Sorbonne in the years of 1975 and 1976, edited and annotated by Jacques Rolland and published in 1983, and a 1975 paper titled "God and Philosophy." Focussing on these two writings of Levinas, first of all, the continuity of Heideggerian critique of traditional metaphysics and Levinasian philosophy of God is discussed; second, the way how Levinas tried to go beyond Heidegger's "ontological difference" is traced; third,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idea of the infinite and the Other on the one hand and the problem of God, on the other, is disclosed. The ambiguity Levinasian idea of God implies is shown in terms of the question "Was Levinas an athesit?"
임영안,권오기,김기수,Leem, Y.A.,Kwon, O.K.,Kim, K.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8 전자통신동향분석 Vol.33 No.6
Mid-infrared optical sensors have a number of compelling advantages for remote sensing and the simultaneous measurement of mixtures. However, they still have difficulties in accurate detection owing to signal interferences among a large number of molecular fingerprints in the mid-infrared band, which result in very slow commercialization. Higher sensitivity and higher selectivity are required to overcome this obstruction in measurement technology. In this paper, we review and analyze the trends of mid-infrared sensor technologies enhancing the sensitivity and selectivity.
강영안 한국생명과학회 1994 생명과학회지 Vol.4 No.1
과학과 형이상학은 포퍼에게서는 분명히 구별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형적인 형이상학적 이론인 실재론, 비결정론, 출현이론은 과학 활동의 전제 조건으로 수용된다 하지만 폴라니에게서는 과학과 형이상학이 서로 다른 차원으로 분리되지 않는다. 형이상학적 믿음은 과학 자체의 구조를 이루고 있다. 과학은 형이상학적 개념이라 할 수 있는 진리, 선, 미, 정의 등의 본질적 가치에 따라 현실의 드러냄을 목적으로 삼는 인간의 통합적 행위이다. 다라서 폴라니에게 형이상학은 두 가지의 차원을 갖는다. 한편으로 형이상학에는 주관적인 차원이 있다. 도덕적 태도, 지적 열정, 이론의 미적 차원에 대한 감각, 종교적 관점 등 주체로서의 인간의 자기 이해와 관련된 차원이 있다. 진리에 대한 열정과 현실의 의미 추구를 자신의 과학적 활동의 본질적 부분으로 볼 수 있는 과학자는 바로 그 자체는 하나의 훌륭한 형이상학자가 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