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지구온난화 조건에 대한 멸종위기식물 단양쑥부쟁이 (Aster altaicus var. uchiyamae) 의 생태적 반응

        오명섭 ( Myeong Seob Oh ),박완우 ( Wan Woo Park ),유영한 ( Young Han You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4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4 No.2

        지구온난화 조건에 따른 단양쑥부쟁이(Aster altaicus var. uchiyamae)의 생태적 반응을 알아보기 위해 2012년 5월부터 2012년 11월까지 실험하였다. 유리온실 안을 두구획으로 나눠 대조구(온도 약 2℃상승, CO₂농도 약 340ppm) 와 온난화 처리구(온도 약 3. 5℃상승, CO₂농도 약 470ppm)로 나누었다. 그리고 각각 유기물(0%, 1%, 5%, 10%)과 수분(100ml, 300ml, 500ml, 700ml)을 4구배씩 처리하여 양묘하였다. 그 후 2년생 단양쑥부쟁이를 수확하여 지상부 길이, 줄기 두께, 줄기 무게, 잎 수, 잎 무게, 지하부길이, 지하부 무게, 종자 수와 종자 무게를 측정하였다. 유기물에 대한 생태적 지위폭은 대조구에서 0. 943, 온난화 처리구에서 0. 924였다. 수분에 대한 생태적 지위폭은 대조구에서 0. 954, 온난화처리구에서 0. 929였다. 유기물과 수분에 대한 생태적 지위폭 모두 대조구가 온난화 처리구보다 더넓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구온난화가 되면 단양쑥부쟁이는 생태적 지위가 감소함을 의미한다. 2년생으로 알려져 있는 단양쑥부쟁이가 대조구와 처리구에서 2년째 생식 생장을 하지 않고, 이듬해인 3년째 계속해서 영양생장을 하고 있는 개체들이 관찰되었다. 3년생 단양쑥부쟁이 비율은 온난화처리구(58. 5%)에서 대조구(38. 0%)보다 높았다. 3년생 단양쑥부쟁이의 비율은 대조구에서 유기물이 많을수록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온난화처리구에서는 대조구의 결과와는 다르게 유기물 함량이 많을 때 그 비율은 가장 낮았다. 수분 구배 처리에서는 유기물 구배 처리의 결과와는 다르게 수분이 가장 많은 조건에서 비율이 가장 높거나(69%, 온난화처리구), 가장 낮았다(30. 8%, 대조구).

      • 제4분과 : 야생동물 ; 섬진강 두꺼비 서식처 관리방안 연구

        노선호 ( Sun Ho No ),오명섭 ( Myeong Seob Oh ),조규태 ( Kyu Tae Cho ),유영한 ( Young Han You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5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5 No.1

        두꺼비(Bufo bufo gaugauizans)는 무미목(Anura) 두꺼비과(Bufonidae) 두꺼비속(Bufo)의 양서류로, 국내에 두꺼비속은 두꺼비(Bufo gargarizans)와 물두꺼비(Bufostejnegeri) 2종이 있음. 과거에 두꺼비(Bufo bufo gaugauizans)는 전국적으로 많은 개체가 널리 분포하고 있었으나, 급격한 산업화로 인한 서식지개발, 기후변화, 도로건설로 인한 로드킬 등으로 인하여 지속적으로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음. 특히, 본 연구지역인 동정호일대는 섬진강과 인접하는 하류 유역에 비교적 넓은 범람원을 형성하고 있으며, 현재는 농경지로 개간된 상태이지만 과거에는 동정호를 비롯해 여러 개의 배후습지들이 발달한 지역임. 따라서 두꺼비를 비롯한 다양한 양서·파충류들의 서식지 및 산란지로 이용되고 있음. 그러나 2011년 두꺼비산란지 중 한 곳인 봉대전의 하천정비 공사가 완료됨으로 인해 두꺼비 서식지 환경이 급격하게 변화됨. 또한 2012년에는 주변산지에서 동정호 일대로 산란을 위해 이동하던 중 지방도 1003호선에서 110여 개체가 로드킬을 당함. 따라서 본 두꺼비서식지를 보호하고 개체군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2013년3월에서 2015년 3월까지 두꺼비 서식지의 생물상, 두꺼비의 산란 및 이동, 로드킬 현황을 조사하였다. 생물상조사결과 식물상은 총 32목 58과 195종이 확인되었으며, 동정호지역 137종, 봉대천 64종 황버들 군락 62종, 농경지 53종, 산림 26종의 순으로 조사됨. 식생조사결과 동정호 수역 내부 및 전이지대는 마름, 갈대, 이삭사초, 줄, 여뀌 등이 군락을 형성하고, 동정호 사면부 및 육역으로는 망초, 튤림, 환삼덩굴, 며느리배꼽, 돌콩, 강아지풀, 코스모스가 군락을 형성함. 왕버들군락은 정수식물로 갈대, 줄, 꽃창포군락, 습생식물로 이삭사초, 여뀌, 나도겨풀 군락, 부엽식물로 노랑어리연꽃, 마름 군락, 부유식물로 개구리밥, 좀개구리밥 군락, 침수식물로 붕어마름 군락 등이 확인됨. 포유류는 총 2목 4과 4종이 관찰되었으며, 법정보호종은 수달, 삵 2종이 확인됨. 조류는 총 10목22과 32종이 관찰되었으며, 법정보호종은 황조롱이, 솔부엉이, 소쩍새 3종이 확인됨. 양서·파충류는 양서강 총2목 4과 9종, 파충강 총 2목 4과 5종이 관찰되었으며, 법정보호종은 남생이, 금개구리 2종, 생태계교란야생생물은 황소개구리 1종이 확인됨. 담수어류는 총 3목 5과 7종이 관찰됨. 법정보호종은 출연하지 않았으며, 생태계교란야생생물은 블루길 1종이 확인됨.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은 총 4강 8목 17과 20종이 관찰되었으며, 왕버들군락 내 수생생물의 주요 먹이원은 물벼룩류와 종자벌레등으로 확인됨. 두꺼비의 산란 및 이동을 확인한 결과 매년 3월~4월에 왕버들 군락 내 웅덩이에서 수십만 개체의 유생이 관찰되고 있으며, 두꺼비는 동정호일대의 남서측 구릉성 산림과 왕버들 군락을 이동하며, 서식·산란하는 것으로 판단됨. 한편, 지방도 1003호선 일대에서는 2012년 이후 로드킬은 확인되지 않았음.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