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러시아 및 중앙아시아 가정 중․고교 이주청소년의 학업생활과 지원에 관한 사례 연구

        오덕열,배은주 한국인격교육학회 2024 인격교육 Vol.18 No.2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 일반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러시아 및 중앙아시아 출신 외국인가정 중・고교 청소년들의 학업생활 모습을 확인하여 이들이 겪고 있는 다양한 어려움을 파악하고, 필요한 교육지원방안을 모색하여 지역사회의 건강한 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러시아 및 중앙아시아 출신 외국인가정 중・고교 청소년들의 학업생활과 교육지원방안은 무엇인지에 대한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반구조화된 면담 후 반복적 비교 분석을 하였고, 영역 분석 및 분류분석 이후 성분 분석을 통해 범주를 확정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중학생들은 한국어 수준에 따라 교과 학습과 교우관계에 큰 차이를 보였으며 방과후에는 관심분야 및 진로에 관한 학습을 다양하게 하였으나, 관련된 정보를 얻기가 쉽지 않았다. 고등학생들은 대학 진학에 대부분의 시간을 쏟고 있었으며, 특히 외국인 특별전형을 위한 토픽(TOPIK) 공부에 주력하고 있었다. 방과후 활동과 다양한 경험들도 역시 대학 진학과 연결되어 있었다. 그러나 상담이나 장학금 수혜, 진학정보 입수 등에서 어려움이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유엔아동권리협약에 따라 이주청소년에게는 체류자격과 무관하게 ‘불리하지 않도록’ 지원과 배려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체계적인 수준별・맞춤형 한국어학습 기회, 러시아어 전공 대학생 멘토링, 이중언어 역량 강화, 전문적인 심리상담 및 진로진학 상담, 사회적 포용기반 강화와 자치 및 교류 활동 지원 등이 요청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middle and high school youth from Russian and Central Asian foreign families attending general schools in Incheon City grow into healthy members of the community. To this end, they check their school life, identify various difficulties they are experiencing, and seek necessary educational support measures. Therefore, the interview was conducted. After the semi-structured interview, repetitive comparative analysis was performed, and the category was confirmed through component analysis after area analysis and classificat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middle school students showed a big difference in subject learning and companionship according to their Korean level. After school, various studies were conducted on the field of interest and career path, but it was not easy to obtain related information. High school students were mostly focusing on TOPIK study for special admission for foreigners. After-school activities were also related to college admission. However, there were difficulties in counseling, scholarship benefits, and obtaining information on college entrance. According to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migrant youth need support and consideration so as not to be disadvantageous regardless of their status of stay. Therefore, customized Korean language learning, mentoring of Russian college students, strengthening bilingual capabilities, professional psychological and career counseling, strengthening the foundation for social integration, and support for autonomy and exchange activities are necessary.

      • KCI등재

        뉴노멀 시대 평화ㆍ통일교육의 방향과 과제

        오덕열 한국인격교육학회 2021 인격교육 Vol.15 No.1

        The Moon Jae-in government is showing the reflection of the principles of peace education as an educational philosophy while implementing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differentiated from the previous government. However, due to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due to Covid-19, face-to-face classes were not properly operated, and online education centered on video classes was conducted. However, due to the non-communicative structure, it encountered a limitation that it was difficult to conduct education-like educ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view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through real-time video lectures. To do so, first of all, the principles of peace education must be studied under a new media platform. Second, the implications of peace capability in real-time video lectures must be improved. Third, it is necessary to independently set the direction toward online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not an alternative to face-to-face classes. As such, the change in the learning environment, represented by the development of the media platform, is a great reason to seek directions and tasks for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in the future. 문재인 정부는 이전 정부와 차별화된 평화ㆍ통일교육을 시행하면서 교육철학으로서 평화교육의 원리가 반영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코로나19에 따른 교육 환경의 변화로 인해 대면 수업은 제대로 운영되지 않았으며, 영상 수업 중심의 온라인 교육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비소통적인 구조로 인해 교육다운 교육이 수행되기 어렵다는 한계에 부딪쳤다. 따라서 실시간 화상강의를 통한 평화ㆍ통일교육의 검토가 필요하다. 우선 새로운 미디어 플랫폼 하에서 평화교육의 원리가 탐구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실시간 화상 강의에서의 평화역량의 함의를 제고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대면 수업의 대체제가 아닌 온라인 평화ㆍ통일교육으로의 방향을 독자적으로 설정해야 한다. 이렇듯 미디어 플랫폼의 발전으로 대변되는 학습 환경의 변화는 향후 평화ㆍ통일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과제를 모색해야 하는 큰 이유가 된다.

      • KCI등재

        남북 교류ㆍ협력 시기 통일교육의 새로운 실천을 위한 비판적 실행연구: 통일교육원의 ‘찾아가는 학교통일교육’을 중심으로

        오덕열 한국교육인류학회 2018 교육인류학연구 Vol.21 No.4

        In 2018, the two Koreas held three inter-Korean summits. The two Koreas entered the era of exchange and cooperation by forming a single team in the Pyeongchang Winter Olympic Games, South Korean troupe performing in Pyongyang, the reunion of separated families and the disarmament of the joint security zone. But Unification Education still remains in a state of educational delay based on security. Therefore, I would like to examine what meaning and limitations the ‘School Unification Education’ has and look for a new direction of practice. So, I did critical action research. As a result, it was revealed that unification education based on peace studies and peace education was demanded. For this practice, it is necessary to disassemble the antagonist, convert to the concept of 'human security,' value orientation of coexistence rather than competition, accurate review of facts. In the future,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aim for 'unification of people' that can solve the conflict between North and South based on peace studies. 2018년, 남북은 세 차례에 걸친 정상회담과 더불어 평창 동계올림픽 단일팀 결성, 남북평화 협력기원 남측예술단 평양공연, 이산가족상봉행사, 공동경비구역 무장해제 등의 사업을 진행하며 남북 교류ㆍ협력의 시대로 진입했다. 그러나 통일 미래세대를 기르는 통일교육은 여전히 안보를 바탕으로 하는 교육지체 현상에 머물러 있다. 따라서 통일교육원의 ‘찾아가는 학교통일교육’은 어떠한 의미와 한계점을 가지는지 검토하고, 남북ㆍ교류 협력시기의 통일교육의 새로운 실천 방향을 비판적 실행연구로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로 평화학 및 평화교육 기반의 통일교육이 요청됨을 밝혔으며, 그 실천을 위해 적대자상 해체, ‘인간안보’ 개념으로의 전환, 경쟁이 아닌 공존의 가치 지향, 사실관계의 명확한 검토 등이 수반됐다. 향후 통일교육은 평화학을 기반으로 남북의 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사람의 통일’을 지향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평화교육 분야 질적연구의 현황과 과제: KCI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오덕열 한국인격교육학회 2021 인격교육 Vol.15 No.2

        In the 2000s, research on peace education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However, qualitative inquiry, which has grown in quantity, is very insignificant. However, unlike the visible quantitative growth, qualitative inquiry is very insignificant. Qualitative inquiry is a research methodology requested in the field of peace education because it can portray the field in more detail and capture the dynamic meanings that occur within it. Therefore, the current status and future tasks of the qualitative inquiry of peace education were reviewed. Twenty-seven studies were conducted with action research, field study, interview utilization study, case study, and other studies. The main themes were peace education class research, school violence research, and foreign case studies. The future challenges of qualitative inquiry in the field of peace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peace education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hrough various research methods. Second, a detailed review of qualitative inquiry methodologies is needed. Third, a researcher's reflective study is requested. Fourth, the challenge of qualitative writing is needed in various attempts. 2000년대 들어 평화교육 관련 연구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양적으로 성장한 가시적 모습과는 달리 질적연구는 매우 미미한 수준이다. 질적연구는 현장을 보다 세밀하게 그려내고, 그 안에서 일어나는 역동적인 의미들을 포착할 수 있기에 평화교육 분야에서 요청되는 연구방법론이다. 따라서 평화교육 질적연구의 현황과 향후 과제를 검토하였다. 분석 대상으로 삼은 27편의 연구는 실행연구, 현장연구, 인터뷰 활용 연구, 사례연구 기타연구 등으로 수행되었다. 주요 주제는 평화교육 수업 연구, 학교폭력 관련 연구, 외국의 사례연구 등이었다. 평화교육 분야 질적연구의 향후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연구방법을 통한 평화교육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둘째, 질적연구방법론에 대한 세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셋째, 연구자의 성찰적 연구가 요청된다. 넷째, 다양한 재현의 시도로써 질적 글쓰기의 도전이 필요하다.

      • KCI등재

        전후 복구 시기 북한 사회주의교육의 인격교육적 함의: 경험집을 중심으로

        오덕열 한국인격교육학회 2020 인격교육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socialist education in North Korea is constructed during the post-Korean War reconstruction period. The purpose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saramdaum education. Education in North Korea at this time is often assessed in the form of people's mobilization to stabilize the system. However,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education from the people's perspective. For the study, the literature was analyzed based on primary data published at that time. It examines the educational policy and how it is understood by the people who accept it.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Teachers' and parents' aspirations, along with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plan to overhaul the educational system, have become an important element in building the educational foundation. In addition, continuous re-education of teachers were carried out through correspondence education, and monotechnical education was implemented, which is the basis of the 'learning system at work.' This is similar to the process of personality development, in which charity and autonomy are increased, changing from self-centered to others-centered. It is also a philosophy of saramdaum education to cultivate human beings who can get out of competition. The saramdaum education is a major educational philosophical background for the comparative review and reflection on inter-Korean education. Therefore, follow-up studies are required. 이 연구는 전후 복구 시기 북한의 사회주의교육이 어떻게 건설되는가를 확인하고 그 특징을 규명한 후 인격교육적 함의를 탐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시기의 북한 교육은 체제 안정을 위한 인민 동원의 형태로 평가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와는 다르게 인민의 시각에서 교육을 바라보고자 했다. 연구 목적을 위해 당시에 출간된 1차 자료를 중심으로 문헌을 분석하는 데, 교육 정책과 그것을 받아들이는 인민이 어떻게 만남을 가졌는가에 중점을 둔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육 시스템을 재건하려는 북한 당국의 계획과 더불어 교원과 학부모의 열망은 교육적 토대를 구축하는 데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또한 통신교육을 통해 끊임없는 교원 재교육을 실시했고, 일하면서 배우는 교육 체계의 기반이 되는 단과적 기술교육이 시행되었다. 이는 애타성과 자율성이 함양되고, 자기 중심적에서 타인 중심적으로 변화되어 가는 인격발달의 과정과 맞닿아 있다. 또한 경쟁에서 벗어날 줄 아는 인간을 길러내고자 하는 인격교육의 철학과도 그 맥을 같이 한다. ‘사람다움’에 관심을 두는 인격교육적 논의는 남북 교육을 비교 검토하고 성찰하는 주요한 교육철학적 배경이 될 수 있기에, 이에 따른 후속 연구가 요청된다.

      • KCI등재

        전시관 기반 민주시민교육의 방향과 과제 탐색: 민주인권기념관을 중심으로

        오덕열,김은아 한국인격교육학회 2023 인격교육 Vol.17 No.2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o cultivate the values, attitudes, norms, knowledge, and capabilities that citizens should have in a democratic society has been steadily carried out in the history of Korean society. With the opening of the Democray and Human Rights Memorial Hall, Korea Democracy Foundation, which has laid the foundation for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s attempting to challenge the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based on exhibition hall. The direction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s an education connected exhibition that embodies history and presentity together, not just a space to commemorate a specific object or a special period, is as follows. First, rather than teaching a specific event called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it should have the goal of realizing better democracy in everyday life by remembering and commemorating the history and processes that have achieved democracy. Second, it should aim for scalability as an education connected exhibition. Third, it should be not a lecture-oriented education, but an education in which learners themselves explore democracy and human rights. Fourth, a safe space for discussion should be provided regardless of political position. Fifth,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educational cooperation structure with various institutions that are striving for democracy and human rights. 민주주의 사회에서 시민으로서 가져야 할 가치, 태도, 규범, 지식 및 역량을 함양시키기 위한 민주시민교육은 한국사회의 역사 속에서 꾸준히 수행되어 왔다. 그동안 민주시민교육의 근간을 마련해 온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는 민주인권기념관 개관을 계기로 전시관 기반의 민주시민교육으로의 도전을 꾀하고 있다. 특정 대상이나 특별한 기간만을 기념하는 공간이 아니라 역사와 현재성을 함께 구현하는 전시 연계 교육으로서의 민주시민교육이 나아갈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민주인권기념관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은 ‘민주화운동’이라는 특정한 사건을 그대로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민주주의를 성취해 나갔던 역사와 과정들을 기억하고 기념함으로써, 일상 속에서 더 나은 민주주의를 실현하려는 목표를 지녀야 한다. 둘째, 전시 연계 교육으로서의 확장성을 지향해야 한다. 셋째, 강의가 중심이 되는 일방향적인 교육이 아닌 학습자 스스로 민주주의와 인권을 탐구해 나가는 교육방법론적인 제고가 요청된다. 넷째, 정치적 입장과 관계없이 공론의 장이 펼쳐지는 안전한 공간이 마련되어야 한다. 다섯째, 민주주의와 인권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여러 기관들과 교육적 협력 구조를 마련해야 한다.

      • KCI등재

        평화감수성 함양을 위한 평화교육으로서의 통일교육 연구

        오덕열 한국인격교육학회 2019 인격교육 Vol.13 No.1

        Due to the changes in inter-Korean relations, the issue of peace and unifi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is becoming an important concern of society. As a result, education on peaceful unification is demanded, but it is still far from the limit of establishing peace as a result of unification in the education field. Peaceful factors should be observed in the ‘process’ of unification education as peace education. Unification education as peace education has the following points. First, learners should utilize their own methods of education. Second, the attitude of looking at conflict from the perspective of 'harmony' is necessary. Third, we need to view North Korean society in an integrated way. Fourth, a multicultural education perspective based on peaceful sensitivity is needed. Based on these factors, three unification education activities were approached as an action research. As a result, learners have expanded their thinking about unification and peace, and improved their peace sensibility to understand others.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aim at cultivating a peace sensibility that internalizes peace as 'process'. The educational efforts of learning through reflection should continue. 남북 관계의 변화로 인해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 문제는 사회의 중요한 관심사로 부각되고 있다. 이에 따라 평화통일교육의 필요성이 요청되고 있지만, 교육현장에서는 평화를 통일의 결과물로 설정하는 한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평화교육으로서의 통일교육은 ‘과정’ 속에서 평화적 요소가 관찰되어야 한다. 평화교육으로서의 통일교육은 첫째, 학습자가 스스로 찾아가는 교육방법으로의 제고, 둘째, 갈등을 ‘해결’이 아닌 ‘조화’의 관점으로 바라보려는 접근, 셋째, 북한 사회를 통합적으로 바라보려는 시각, 넷째, 평화감수성에 기반 한 다문화교육적 관점 등의 지향성을 가진다. 이를 토대로 실천한 세 가지 통일교육 활동들은 학습자들에게 통일과 평화에 대한 사고의 지평을 넓혀주었으며, 타자와 더불어 살기 위한 평화감수성 함양에 도움을 주었다. 향후 통일교육은 ‘과정’으로서의 평화를 내면화하는 평화감수성 함양에 목적을 두고 성찰을 통한 배움이라는 교육적 노력이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문동환의 삶을 통해 본 교육 실천의 의미 탐색: 인물탐구를 통한 자전적 연구를 중심으로

        오덕열 한국인격교육학회 2019 인격교육 Vol.13 No.2

        My academic foundation, majoring in unification, is education and anthropology of education. However, the life and thoughts of academic mentor Moon Tong-hwan have a great influence on my life, and the encounter with him reminded me of the meaning of education praxis. Therefore, I would like to explore the meaning of education practice through autobiography through people search. Moon Tong-Hwan lived a life establishing the theory and praxis of Christian education. His theory can be summarized as Self-establishment, human liberation, Minjung education, lifesaving, and wandering theology.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Moon's life and thoughts through autobiographical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mazing change of life' is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of education. Second, the Korean trend of Christianity suggests the direction of our education. Third, Korean Unification should be viewed as an important task of nation. Fourth, we should seek theory through practical life. Moon’s idea is also meet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saramdaum education. 통일을 주요한 연구주제로 삼고 있는 나의 학문적 기반은 교육학과 교육인류학이다. 그러나 학문적 스승인 문동환의 생애와 사상은 나의 삶에 큰 영향을 끼쳤고, 그와의 만남은 교육 실천의 의미를 다시금 깨닫게 했다. 그렇기에 인물탐구를 통한 자전적 연구로 교육 실천의 의미를 탐색해 보고자 한다. 문동환은 기독교교육의 학문적 기틀을 다짐과 동시에 교육 실천에 따른 현장성을 함께 정립해오는 삶을 살았다. 그의 기독교교육론은 자아확립, 인간해방, 민중교육, 생명 살림, 떠돌이 신학 등으로 정리될 수 있다. 문동환의 사상을 자전적 연구로 살펴 본 교육적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의 놀라운 변화’의 추구는 교육 실천의 토대가 된다. 둘째, 그리스도교의 한국화는 우리 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한다. 셋째, 통일을 국가의 중요한 과업으로 보고 있다. 넷째, 실천적인 삶을 통해 이론을 모색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동환의 사상은 ‘사람다움’을 추구하는 인격교육의 이론적 토대와도 맞닿아 있다.

      • KCI등재

        종교적 배경을 가진 결혼이주여성의 교육적 의미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통일교 일본여성을 중심으로

        오덕열 한국인격교육학회 2018 인격교육 Vol.12 No.3

        In Korea, which is becoming a multicultural society, married migrant women with diverse migration backgrounds are living. However, the existing multicultural research advances various discussions with the background of 'poverty' because of the interest in married immigrant women settling through marriage brokerage business. This study examines the life of married immigrant women who are Unification Church believers as a narrative inquiry and focuses on its educational meaning. Education was able to find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e women of the Unification Church in Japan in that they pursued change in order to move to a better life. Three Japanese women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chose 'blessed marriage' as a religious belief that expresses their faith. And they think that living in Korea, the Holy Land of the Unification Church, is a blessing. They also have the perception that they are peace delegations for reconcili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and that they are responsible for their missions through their children. This religious background is reflected in the image of a mother who is projected into her children and wants to achieve a happy family. Children are internalizing moral and ethical lives through their mothers in their daily lives. This result can be used as basic data as a multicultural educational principle of future Korean society where various members live together. 다문화사회로 변화되어 가고 있는 한국 사회에는 다양한 이주배경을 가진 결혼이주여성들이 살아가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다문화연구는 결혼중개업을 통해 정착한 결혼이주여성에 관심을 둠으로 인해 ‘빈곤’을 배경으로 여러 논의를 진척시켰다. 이 연구는 독특한 이주배경을 가진 통일교 결혼이주여성의 삶을 내러티브 탐구로 살펴보고 교육적 의미에 주목하고자 한다. 교육은 더 나은 삶으로 나아가기 위해 변화를 추구한다는 점에서 통일교 일본이주여성들의 교육적 의미를 발견할 수 있었다. 연구 참여자인 세 명의 일본 여성은 자신의 신앙을 발현시키는 종교적 믿음으로 ‘축복결혼’을 선택하였고, 통일교의 성지인 한국에서의 생활을 축복이라 생각하고 있다. 또한 한일 양국의 화해를 위한 평화 사절단이라는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자녀들을 통해 선교적 역할을 담당한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종교적 배경은 자녀들에게 투영되어 행복한 가정을 이루고자 하는 어머니의 모습으로 비춰진다. 자녀들은 일상 속에서 어머니를 통해 도덕적, 윤리적 삶을 내면화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다양한 구성원이 어우러져 살아가는 미래 한국 사회의 다문화교육적 원리로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통일교육에서 ‘접경지역’의 교육적 의미와 새로운 공간 탐색

        오덕열 한국인격교육학회 2022 인격교육 Vol.16 No.3

        The 'border area' is the main subject of unification education, and generally deals with the space replaced by the DMZ as the main educational content. However, an approach that reflects regional characteristics is nee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ducational meaning of exploring new spaces in the border area. The unification education of the Ministry of Unification is based on the discourse at the national level, so the reflection of locality is weak. On the other hand, Unification education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which is being promoted around the Ministry of Education's Plan to Revitalize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shows some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Gangwon-do Office of Education, and Incheo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which are all border areas, are making efforts to reflect the border situation on land/sea. However, the border area, which is used as a material for unification education, is recognized as a special area where anxiety persists. In addition, it does not capture the appearance of enjoying different history and culture in each border area. Therefore, I studied the appearance of a new border area that is different from the DMZ, where you can see the lives of the residents. It is the Hoengsan-ri village, Yeoncheon-gun, Gyeonggi-do, and Jeonryu-ri port of, Gimpo-si. In this way,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to organize the storytelling of division and unification through the search for new spaces in the border area. ‘접경지역’은 통일교육의 주요한 소재가 되고 있는데 대체로 DMZ로 치환된 공간을 주요한 교육 내용으로 다루고 있다. 따라서 지역적 특색이 반영된 접근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접경지역의 새로운 공간 탐구 교육적 의미를 살펴보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통일부의 통일교육은 국가 차원의 담론이 토대가 되기에 지역성의 반영은 미약한 편이다. 반면 교육부의 「평화ㆍ통일교육 활성화 계획」을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는 시ㆍ도교육청 주관의 통일교육은 지역별 특성이 어느 정도 나타난다. 접경지역이라 할 수 있는 경기도교육청, 강원도교육청, 인천광역시교육청은 모두 육상ㆍ해상의 접경 상황을 반영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그러나 통일교육의 소재로 활용되는 접경지역은 불안감이 상존하는 특수한 지역으로 인식된다. 또한 접경지역마다 다른 역사와 문화를 향유해온 모습을 담아내지 못한다. 따라서 연구자는 DMZ 중심의 모습에서 벗어나고, 주민들의 삶을 그려낼 수 있는 접경지역의 모습을 탐색해 보았다. 경기도 연천군의 횡산리 마을에는 임진강평화습지원, 연강갤러리 등의 의미 있는 장소가 있다. 경기도 김포시 전류리포구는 분단 이전 조업이 성행했던 역사가 담겨 있다. 이와 같이 접경지역의 새로운 공간 탐색을 통해 분단과 통일의 스토리텔링을 구성해가는 통일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