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onsExpo 모델을 이용한 구강건강행위에 따른 불소노출평가

        오나래(Na-Rae Oh),정미애(Mi-Ae Jeong)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7

        치아를 칫솔질하거나 치약을 사용하는 것과 같은 구강 건강 행위는 구강 건강을 개선하며, 따라서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부분이다. 그러나 화학 물질에 대한 연구도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구강 건강 행위로 인해 야기되어지는 불소 노출에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여 정확한 구강 건강 지침을 제공하고자 한다. ConsExpo 5.0 모델에서 불소 화합물의 경구 노출을 적용한 결과, 일일 불소 인체노출량 추정은 성인남성의 모델 결과 oral external dose는 0.000196 mg/kg, oral acute(internal) dose는 0.000196 mg/kg, oral chronic(internal)dose는 0.000465 mg/kg/day로 추정되었다. 성인여성은 연구결과 oral external dose는 4.1×10<SUP>-6</SUP> mg/kg, oral acute(internal) dose 4.1×10<SUP>-6</SUP> mg/kg, oral chronic(internal) dose 9.99×10<SUP>-6</SUP> mg/kg/day로 추정되었다. Oral health behavior such as toothbrushing ones teeth, using dentifrice and such are an important part of improving one’s oral health and therefore quality of life. However, it is also necessary to research exposure to harmful chemical substance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actors that affect researching fluorine exposure resulting from oral health behavior initiation so that correct oral health guidelines can be provided. As a result of applying the fluorine compound’s oral exposure in the ConsExpo 5.0 model, adult males’ oral external dose was at 0.000196 mg/kg, oral acute (internal) dose at 0.000196 mg/kg/day and oral chronic (internal) dose at 0.000465 mg/kg/day. In the case of females, the oral dose was at 4.1×10<SUP>-6</SUP> mg/kg, oral acute (internal) dose at 4.1×10<SUP>-6</SUP> mg/kg and oral chronic (internal) dose at 9.99×10<SUP>-6</SUP> mg/kg/day.

      • KCI등재

        요양병원 진폐환자의 구강건강인식 조사

        오나래(Na-Rae Oh),윤성욱(Sung Uk Yoon),정미애(Mi-Ae Jeong)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6

        본 연구는 요양병원의 진폐환자를 대상으로 구강건강인식 및 치과진료요구, 구강악안면통증을 조사하여 진폐환자의 구강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은 2015년 3월부터 7월 까지 3개 요양병원의 환자 중 연구목적에 동의한 1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구강건강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평균 월수입이 200만원 이상인 대상자가 200만원 미만인 대상자보다 구강건강 인식도가 유의하게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이는 200만원 이상일 때 구강건강인식도가 0.77배 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진폐환자의 구강건강인식의 향상을 위해서는 구강보건 정책 결정 시 경제적 안정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고 생각되며 진폐환자의 구강건강에 대한 조사 및 연구가 좀 더 체계적으로 이뤄져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oral health awareness, needs of dental treatment and the oral and maxillofacial pains targeting pneumoconiosis patients of care hospital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basic data for preparing a plan to improve the oral health of patients plagued with pneumoconiosis. As the subjects of survey, total 120 patients who have agreed to the research among the patients of three care hospitals, were enrolled between March and July in 2015. As the result of the study on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oral health perception, it was verified that the persons of an average monthly income of 2 million won or more, were shown to have significantly better oral health awareness than the subjects of monthly earning of less than 2 million won (p<0.05), thus showing that the oral health awareness by the people of monthly income of more than 2 million won, was 0.77 times higher compared to the others.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oral health awareness of pneumoconiosis patients, the economic stability of the patient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as a priority when examining the oral health policy decisions and it was recommended that the survey and research on the oral health of patients with pneumoconiosis can be done in amore systematic manner.

      • KCI등재

        고등학생의 구강위생용품에 대한 인지, 실천 및 주관적 구강건강인식도 조사

        오나래(Na-Rae Oh),서수연(Su-Yeon Seo),정미애(Mi-Ae Jeong)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2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의 구강위생용품의 인지, 실천실태와 주관적 구강건강인식도를 조사하여 올바른 구강위생용품의 사용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K지역 고등학생 260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구강위생용품을 인지할수록 구강위생용품의 실천도(p<0.05)가 높은 결과를 나타났다. 주관적 구강건강인식(p<0.05)과도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는 구강위생용품 사용에 올바른 실천을 위해서는 구강위생용품의 교육의 필요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구강위생용품의 올바른 세치제 사용양 인지에서 모1/3사용이 가장 높게 나왔지만, 실천도에서는 모3/3사용이 가장 높게 나왔다. 연구결과 구강보건교육에만 국한 되지 않고 실천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학업으로 인해 의료기관에 접근이 어려운 학생들에게 구강보건교육의 습득경로 대중매체의 경로로 더 보급하고 학교구강보건교육 시행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시행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사료되어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practice status and perceived oral health awareness of oral hygiene products in high school students and to utilize it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hat can use the correct oral hygiene products. The results of the self -filling questionnaire survey of 260 high school students in K area were as follows. (P <0.05), which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ubjective oral health perception (p <0.05). his implies the need for education of oral hygiene products for proper practice in using oral hygiene products. The use of oral hygiene products was the highest in 1/3, but in practice, the total use was highest.It is thought that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that can affect not only the oral health education but also the practice is needed. For the students who have difficulty in accessing medical institutions due to their studies, the way to acquire oral health education is more important than the development of public health education programs and the implementation of oral health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생의 구강위생용품 관리실태에 따른 구강건강인식도

        오나래(Na-Rae Oh),정미애(Mi-Ae Jeong)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7

        본 연구는 대구·경북에 소재하는 대학생 222명을 대상으로 구강위생용품 관리실태에 따른 구강건강인식도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얻었다(p<0.05). 연구대상자가 사용하는 칫솔이 2개인 남성은 43명(19.4%), 여성은 50명(22.5%)이었고(p=0.047), 전공계열은 문과인 대상자는 칫솔을 2개사용 하는 대상자가 18명(8.1%)로 이과전공대상자 75명(33.8%)으로 차이를 나타냈다(p<0.001). 칫솔을 휴대하지 않는 대상자 중 남성은 72명(32.4%), 여성은 46명(20.7%)로 남자가 휴대하지 않는 대상자가 많았고(p<0.005), 이과계열 대학생이 휴대하는 대상자는 83명(37.4%), 문과 대학생의 경우 21명(9.5%)으로 나타났다. 구강건강인식도는 여성이 남성에 비해 3.031배였고(p<0.001), 전공계열이 이과인 집단이 문과인 집단에 비해 2.57배였다(p<0.001). 칫솔을 살균하는 하지 않는 대상자는 살균하는 대상자에 0.459배로 구강건강 인식도가 낮았다(p<0.05). 우리나라의 대학생의 구강보건청책의 수립 및 평가를 위해 객관적 구강건강상태만을 지표로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구강건강인식도가 구강건강상태 뿐만 아니라 사회경제학적 변수, 구강건강에 관한 변수의 효과까지 반영하는 만큼 다양한 구강건강인식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연구하여 반영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oral health perception according to the actual condition of oral hygiene products management in 222 college students in Daegu and Kyungbuk province (p<0.05). The subjects in the study were 43 men (19.4%) and 50 women (22.5%) with two toothbrushes (p<0.05), and the major subjects were 2 tooth brushes The subjects were 18 (8.1%) and 75 subjects (33.8%) were subjects of science major (p<0.001). Among the subjects who did not carry a toothbrush, 72(32.4%) were male and 46 (20.7%) were female. The number of subjects who did not carry the male was higher (p<0.05) The subjects were as follows: 83 (37.4%), and 21. Oral health awareness was 3.031 times higher than that of male (p<0.001), and the major group was 2.57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general population (p<0.001). Subjects who did not sterilize the toothbrush had 0.459 times lower oral health perception (p<0.05). In order to establish and evaluate the oral health policy of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only the objective oral health status is used as an index. However, it is necessary to study and reflect the variables affecting oral health awareness as much as the oral health awareness reflects not only oral health condition but also socioeconomic variables and the effect of variables on oral health.

      • KCI등재

        보건계열과 비보건계열 학생의 신체이형장애와 자가우울에 대한 비교분석

        오나래(Na-Rae OH),정선아(Seon-A Jeong),정미애(Mi-Ae Jeong)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3

        신체이형장애는 정상적인 용모를 가진 사람이 용모에 대해 상상으로 변형이나 결손 등의 문제가 있다는 생각 또는 사소한 결손을 과장되게 변형된 것으로 보는 생각 등에 집착해 있는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을 보건계열 학생과 비보건계열 학생을 대상으로 신체 이형장애와 우울증에 대한 조사를 통해 이 두 군을 비교하고 우울과의 관련성에 대해서도 알아 보고자 하였다. 본연구의 대상자는 강원도에 소재한 K대학교 4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중 200명 비보건계열, 200명은 보건계열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을 총 319부를 자료분석에 사용하였다. 그 결과보건계열 학생과 비보건계열 학생들은 신체변형장애의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신체변형장애 성향에 다양한 요인들이 있겠지만 특히 보건계열 비보건계열 모두 신체 변형 장애가 심할수록 자가우울이 높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신체변형장애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며 특히 보건계열학생들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신체 변형 장애와 자가 우울에 대한 임상적으로 구체적인 연구가 더 이루어 져야 한다고 생각된다. A body dysmorphic disorder refers to a state that individuals whose external appearance is normal consider their appearance to be meta- morphosed, or think theres something wrong with it, or view a trifle deficiency as severely disfigu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body dysmorphic disorder and depression of health-related and health-unrelated majors in an effort to compare the two groups. And its also meant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dysmorphic disorder and depress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00 students at K college located in Gangwon Province. Out of them, the major of the 200 students belonged to the health science track, and that of the 200 students didnt. After a self- administered survey was conducted, the answer sheets from 319 respondents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re appeared no differences between the health-related majors and the health-unrelated majors in body dysmorphic disorder. Although there might be various factors to concern body dysmorphic disorder, both groups found themselves to suffer from more depression when they had a severer body dysmorphic disorder, and their body dysmorphic disorder exer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self-rated depression. Therefore the careful management of body dysmorphic disorder was required, and its especially needed to make research in that of health-related majors. At the same time, more detailed clinical research efforts should be directed into body dysmorphic disorder and self-rated depre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