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암모니아 누출에 따른 주변 농작물의 환경피해

        남근우 ( Gnu Nam ),이연희 ( Yeonhee Lee ),김인자 ( Inja Kim ),전다영 ( Dayoung Jeon ),염혜성 ( Hyeseong Yeom ),신창현 ( Changhyun Shin ),김재영 ( Jae-young Kim ) 한국환경농학회 2023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23 No.0

        본 연구는 실제 암모니아 누출에 따른 화학사고 영향범위를 평가하기 위해 OCA (Off-site consequence analysis) 분석에 따른 사고시나리오 별 영향범위를 평가하고, 사고 반경 내 농작물의 암모니아 오염도를 측정함으로써 암모니아 누출에 화학사고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피해영향범위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KORA (Korea off-site risk assessment supporting tool)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사고영향범위를 분석한 결과, 최악의 사고시나리오는 사고지점으로부터 1.6 km, 대안의 사고시나리오는 666 m의 피해예측 범위로 산정되었고, ALOHA (Areal location of hazardous atmospheres) 소프트웨어 구동 결과는 약 2.4 km를 나타내었다. 한편, 사고지역 당일 풍향(남동풍)에 따라 가시적 농작물 피해범위는 67 m 내외로 확인되었고, 가시적 피해범위 내 고구마 잎의 암모늄 농도는 69.6~218.0 mg/kg 범위로 가시적 피해가 확인되지 않은 지점의 고구마 잎(12.9~23.5 mg/kg)보다 최대 16.9배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었다. 반면 OCA 결과를 반영하여 최악의 사고시나리오 내 자생하는 쑥과 대안의 사고시나리오 내 자생하는 쑥을 채취하여 암모늄 함량을 조사한 결과, 62.2~77.8 mg/kg, 49.0~67.8 mg/kg 범위로 가시적 피해지점보다 낮은 경향이었으나, 대체적으로 암모늄 잔류 여부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가시적 피해를 입은 지점과 인근 주변 환경의 초기 오염도 확인 판단에 도움이 될 지표로 판단되었다. 이와 같은 실제 화학사고 사례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기초자료를 축적하고, 나아가 실제 사고 피해 영향범위를 판단하는 기준을 마련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