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금연치료 요법으로의 침 자극에 대한 신경학적 기전

        염미정 ( Mi Jung Yeom ),이혜정 ( Hye Jung Lee ),심인섭 ( In Sop Shim ),박히준 ( Hi Joon Park ),함대현 ( Dae Hyun Hahm ) 대한경락경혈학회 2007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Vol.24 No.1

        목적: 흡연에 따른 건강적 피해가 많이 알려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특히 여성 및 청소년 계층의 흡연이 증가하고 있으며 폐암 사망자수는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완전한 금연이 실패하는 주요 이유는 담배의 중독성에서 비롯되며 금단현상을 극복하지 못해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흡연의 중독성은 담배 주요성분 중의 하나인 니코틴(nicotine)에 의해 유발되며 따라서 모든 금연 요법 및 금연 치료보조 제들은 이 니코틴 작용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억제 또는 대체하느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최근 금연치료 요법으로 한방 침이 주목 받고 있으며 본 논문을 통해 한방 침의 금연효과에 대한 신경학적 기전을 고찰하고자 한다. 방법: 금연을 돕는 전형적인 보조 치료제 및 치료법이 몇 종류 개발되어 사용 중에 있으며 대표적으로 니코틴 대체 요법(nicotine replacement therapy, NRT)이나 항우울제로 사용되는 bupropion 등을 들 수 있다. 이 치료 방법들은 뇌의 도파민계 신경전달 체계에 영향을 미쳐 금연 효과를 발휘하게 되는데 실질적인 금연 성공확률은 그리 높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침의 자극에 대한 도파민계 신경전달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고찰함으로써 침의 금연효과에 대한 의과학적 기전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결과: 침자극은 우수한 금연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치료법으로 기존의 금연 치료요법 및 치료제 들을 보완할 수 있는 보다 확실한 치료요법 중의 하나이며 특히 금연 후에 오는 금단현상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그리고 이 같은 효과는 부분적으로 도파민계를 비롯한 신경전달계를 조절함으로써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 본 논문을 통해 니코틴에 의한 금단현상의 신경학적 기전과 금연과 관련된 신경전달체계에 대한 침자극의 효능에 대해 고찰하였으며 기존의 금연보조치료법을 대체할 수 있는 우수한 의학적 치료법으로써의 침치료법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 청소년의 자해 경험

        염미정 ( Yeom Mi Jung ),여한구 ( Yeo Han Koo ) 한국정신분석심리상담학회 2024 정신분석심리상담(구 정신역동치료) Vol.11 No.0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해 경험을 내러티브 탐구 방법에 따라 자해 청소년의 경험과 의미, 그리고 본질 탐구를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는 S시 소재 O정신과 폐쇄병동 입원환자 중에서 자해 경험이 있고 대안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 3명을 대상으로 2019년 8월부터 2021년 5월까지 진행하였다. 클라디닌(J. Cladinin)의 내러티브 탐구 방법 절차와 과정을 따랐으며, 연구윤리를 준수하였다. 연구결과는 참여자 경험과 이야기에 따라 ‘자해 청소년의 초기 가족 경험’, ‘자해 청소년의 학교 및 관계 경험’, ‘자해 청소년의 자해 경험’, 그리고 ‘자해 청소년의 자기 경험’의 측면에서 각각의 경험을 토대로 ‘어린 왕자’를 모티브로 재구성하였다. 재구성된 5개 주제는 “꽃과 어린 왕자”, “세상을 만나는 왕자”, “왕자가 만난 꽃과 여우”, “왕자와 우물”, “장미의 가시”로 참여자의 경험을 시간, 공간, 그리고 관계 흐름에 따라 정리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른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해 청소년의 부모 경험과 의미는 어린 시절 부모의 관심과 사랑을 원했지만, 심리적 거리감을 경험했다. 둘째, 자해 청소년의 정서 경험과 의미는 부모와 정서적 교감이 적어 외로움과 불안을 경험했고, 부모 이외의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도 재현되었다. 셋째, 자해 청소년의 자해 경험에서 참여자의 자해는 위협, 상처 표현, 희망 제시, 그리고 노력의 의미가 있었다. 위협은 다른 사람에게 위협감을 주는 것으로 방어했고, 상처 표현은 관심과 연민을 자극하여 원하는 것을 얻게 했다. 희망 제시는 의존에서 벗어나 독립적 미래를 희망하는 것이었고, 이를 위해 구체적 방법으로 노력을 시작했다. 본 연구에서 청소년기의 자해는 누구라도 겪을 수 있는 경험으로 심리적 불안정성에 대한 반응과 현상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청소년 자해 경험의 의미는 성장 과정에서 나타나는 심리적 경험으로 관심과 기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초기 가족의 부정적 경험이 성장과 발달과정에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s, meanings, and essence of self-injury in adolescents using a narrative inquiry method on the adolescents’ experiences of self-injury.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three adolescents with experiences of self-injury who were inpatients at a closed-to-the-public psychiatric ward in an undisclosed city who were simultaneously students of an alternative school.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August 2019 to May 2021 and followed the procedures and processes of Cladinin’s narrative inquiry methodology; it was conducted in compliance with research ethics. The research results were reconstructed according to the experiences and stories of the participants using The Little Prince as the motif. Based on the experiences of each participant, a reconstruction was established from the perspective of “early family experiences of self-injuring adolescents,” “experiences of school and relationships by self-injuring adolescents,” “experiences of self-injury in self-injuring adolescents,” and “self-experiences of self-injuring adolescents.” The five reconstructed themes were “flowers and the little prince,” “the prince who meets the world,” “the flower and the fox met by the prince,” “the prince’s well,” and “the thorn of the rose.” The experiences of the participants were organized by time, space, and the flow of their relationship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elf-injuring adolescents’ experiences with their parents and the meaning of the interactions reflected their desire for attention and love from their parents. However, despite their desire, the participants had experienced psychological distance. Second, the self-injuring adolescents’ emotional experiences and their meanings reflected loneliness and anxiety due to a lack of emotional connection with their parents. Such emotions also appeared in their relationships with people other than their parents. Third, the experiences of self-injury in the self-injuring adolescents reflected by the participants encompassed the meanings of threat, expressions of pain, suggestions of hope, and efforts. The meaning of threat refers to defending themselves by threatening others. The expression of pain and wounds triggered interest and compassion for the participants to obtain what they wanted. In terms of hope, the participants were hoping for an independent future by escaping dependence, and they had started making an effort by building specific plans to achieve such goals. As a conclusion,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of self-injury in adolescents was therefore found to be a psychological experience that appears during the growth process, which differs according to each individual’s level of interest and expectations.

      • KCI등재

        돋보기에서 FE까지 현미경의 변천사 - 생명과학적 관점에서 -

        박창현,염미정,엄창섭,Park, Chang-Hyun,Yeom, Mi-Jung,Uhm, Chang-Sub 한국현미경학회 2003 Applied microscopy Vol.33 No.2

        Since the Ptolemaeos' discovery that glass has magnifying power, human desire to see the unseen with naked eyes has lead to the inventions of a series of microscopes. Since the Janssen's first compound microscope in 1595, through the Abbe's non-aberration microscopy, various microscopes using different principles are now being used in various biomedical researches. The discovery of electron by Thompson in 1897 has lead to the first invention of microscope using electron as an illumination source, the electron microscope, in 1931. Now we can see the objects as close as 0.05 nm using 1 MV FE-TEM constructed in 2000. In this review, the authors reviewed the predecessors efforts to develop better microscopes. 본고에서는 유리의 확대력 발견으로부터 현재까지 이르는 전자현미경과 관련된 중요한 이론 및 개발 과정들을 시대별로 검토하였다. Jansen에 의한 최초의 광학현미경 제작으로부터, 분해능의 한계를 해결하려는 노력들, 짧은 광원을 찾는 노력, 그리고 보다 양질의 해상력과 확대력을 얻으려는 여러 과학자들의 부단한 노력들을 특히 전자현미경 원리 및 TEM과 SEM의 초기 개발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생명과학적 측면에서 고찰하고, 아울러 우리나라의 전자현미경 도입 과정을 살펴보았다.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