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의존도에 관한 잠재프로파일분석

        염동문(D. M. Yeum) 한국재활복지공학회 2017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Vol.11 No.2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의존도 프로파일을 탐색하고, 프로파일에 나타난 집단별 특성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의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orea Chil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의 초등학생 5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1,585명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의존도에 대한 잠재프로파일분석으로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적합도 지수와 잠재계층 분류율에 따라 3개 계층 유형이 선택되었다. 유형 1은 모든 지표에서 낮게 나타나 저의존집단(50.1%)으로, 유형 2는 모두 지표에서 높게 나타나 고의존집단(10.7%)으로, 유형3은 모든 지표에서 중간 수준으로 나타나 중의존집단(39.2%)으로 명명하였다. 스마트폰 의존도 특성을 예측하기 위해 다항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고의존집단을 기준으로 중의존집단과 비교했을 때,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또래애착이 낮을수록 중의존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저의존집단과 비교한 결과에서는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친구교제시간이 적을수록, 방임의 정도가 낮을수록, 또래애착이 낮을수록 저의존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 후속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Results of the analysis have revealed that the students were basically divided into three groups depending on goodness-of-fit index and latent class division factor. Type 1 was regarded as a low dependence group (50.1%) with all low indexes while Type 2 was classified as a high dependence group (10.7%) with all high indexes. As for Type 3, it was titled intermediate dependence group (39.2%) for the indexes showed a low-to-moderate movement. A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forecast smart phone dependence characteristics and as a consequence, when the high dependence group was compared to the intermediate dependence group, as self-esteem and peer attachment increased and deceased respectively, a chance of one being classified into the intermediate dependence group rose. In an investigation to compare the high dependence group with the low dependence group, it was confirmed that the greater the self-esteem, the shorter the peer socializing time, the lower the neglect degree and the lower the peer attachment, a chance for one belonging to the low dependence group increased. This study also offered implications, limits and directions in follow-up research.

      • KCI등재후보

        장애인 가구의 보건의료비 불평등 실태에 관한 연구

        염동문(D. M. Yeum) 한국재활복지공학회 2014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Vol.8 No.4

        본 연구는 2010년부터 2012년까지의 장애인고용패널조사 자료를 적용하여 구성집단별 보건의료비 불평등을 분석함으로써 장애인 가구의 보건의료 불평등 개선정책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이행되었다. 분석결과, 지니계수에서는 여성장애인, 경제활동 미참여, 40대, 신체외부장애, 중증장애인일수록 보건의료비 지출에서 더욱더 불평등하였으며, 경북지역은 불평등이 계속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보건의료 소비가 낮은 그룹에서의 격차에 가중치를 부여한 엔트로피지수에서는 여성장애인, 경제활동 미참여, 정신적장애, 중증장애인일수록 보건의료 소비가 더욱더 불평등하였으며, 울산과 경북지역은 불평등이 심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구성집단별 요인분해에서 집단 간보다는 집단 내의 보건의료비 불평등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제한점과 함의를 제안하였다.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basic data to establish a policy for improving health and medical service inequality in the disabled’s households, by analyzing it according to composed groups through the application of data about the panel survey of the employment for the disabled, from 2010 to 2012. The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as for Gini’s coefficient, disabled women, the disabled without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the disabled in their 40s, physically handicapped people and severely disabled people had more and more inequality in expenditure of health care expenses, and inequality in North Gyeongsang Province continued to be on the rise. As for the entropy coefficient, disabled women, the disabled without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the mentally disabled and severely disabled people had more and more inequality in consumption of health care, and the inequality got severe in Ulsan and North Gyeongsang Province. And as for the decomposition of factors by composed group, inequality in health care expenses were higher inside a group than between groups. Based on these results, research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were suggested.

      • KCI등재후보

        저시력 노인의 시력보조기구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염동문(D. M. Yeum),심미영(M. Y. Sim),정상수(S. S. Jung) 한국재활복지공학회 2014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Vol.8 No.3

        본 연구는 저시력 노인의 시력보조기구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2차년도 한국노동연구원의 고령화연구패널에서 시력으로 일상생활이 어려운 만 65세 이상의 노인 384명을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은 Andersen-Newman의 서비스 이용모델을 기반으로 선행요인, 가능성요인, 욕구요인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요인들이 저시력 노인의 시력보조기 사용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선행요인에서는 교육수준이 높고 미취업상태에서, 가능성 요인에서는 주관적 계층의식이 낮을수록, 욕구요인에서는 인지기능이 높을수록 시력보조기구 사용수준이 유의미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제한점과 함의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applied the data of 384 senior citizens over 65 years old having difficulties in everyday life, among the ageing research panel of Korea Labor Institute in 2000, due to their visual impairment in the final analysis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the use of vision aids by the aged with visual impairment. The analysis was based on the service usage Andersen-Newman model and the factors were classified into preceding factors, potential factors and desire factors. To examine the effects of each factors on the use of vision aids by the aged with visual impairment,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In the analysis results, the level of vision aids usage was shown to increase significantly with unemployed status and higher education level in the preceding factors, lower subjective stratum consciousness in the potential factors, and higher cognitive function in the desire factors. The limitation and implication of this study were suggeste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 KCI등재후보

        산재장애인 재활서비스와 일상생활만족도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장유미(Y. M. Jang),염동문(D. M. Yeum) 한국재활복지공학회 2015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Vol.9 No.4

        본 연구는 산재장애인의 재활서비스와 일상생활만족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러한 관계에서 의료재활서비스와 심리사회재활서비스, 직업재활서비스 만족도가 어떻게 영향을 주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근로복지공단의 산재보험패널조사 1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조사대상자 2,000명 중에서 산재장애가 있으면서 재활서비스를 이용하는 977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제시된 3가지 모델에 대한 변인간의 관계는 SPSS Macro 및 Sobel 방법을 적용하여 산재장애인의 의료재활서비스와 일상생활만족의 관계에서 직업재활서비스의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심리사회적재활서비스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자료를 평균 중심화하여 회귀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의료재활서비스에 대한 만족이 높아지면 직업재활서비스에 대한 만족이 증가하고, 직업재활서비스에 대한 만족이 높아지면 일상생활만족이 높아지고, 심리사회재활서비스가 높아질수록 산재장애인의 의료재활서비스가 일상생활만족에 간접효과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산재장애인이 재활서비스를 통해 일상생활만족을 높이기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habilitation service and the life satisfaction of industrially injured workers and how medical rehabilitation service, psycho-social rehabilitation service,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 influence in this relation. For this, it analyzed 977 people who were using rehabilitation service with industrial disaster disability among 2,000 research subjects using the first year materials of industrial disaster insurance panel of Workers" Compensation & Welfare Service. For the relationship of variables on the suggested 3 models, the mediating effect of the occup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 in the relation of medical rehabilitation of the industrially injured workers and life satisfaction by applying SPSS Macro and Sobel method and did the regression analysis to find out the control effect of psycho-social rehabilitation service by the mean centering of the material.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ed; when the satisfaction on the medical rehabilitation service was increased the satisfaction on the voacational rehabilitation was increased, when the satisfaction on the occup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 was increased, the satisfaction on the life satisfaction was increased, and when the satisfaction on the psycho-social rehabilitation service was increased the medical rehabilitation service had a indirect effect on the daily life satisfaction.

      • KCI등재후보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무선호출기 시범사업 효과성에 관한연구

        이성대(S. D. Lee),박종옥(J. O. Park),염동문(D. M. Yeum) 한국재활복지공학회 2014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Vol.8 No.2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무선호출기에 대한 인식과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해 무선호출기 시범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청소년 606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학교폭력 피해경험 유무와 가해경험 유무에 따른 두 집단간의 통계적 차이를 확인한 결과 학교폭력 피해경험 학생과 가해경험 학생 모두 무선호출기기가 학교폭력 예방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무선호출기기를 지속적으로 사용하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선호출기기가 학교폭력 예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무선호출기 소지정도, 무선호출기 필요성향, 무선호출기 만족성향이 높을수록 학교폭력 예방과 학교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연구의 함의와 함께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In order to understand people’s ideas about radio pagers and effects of the radio pagers on school violence prevention, the study analyzed a radio pager demonstration which was being participated by a total of 606 students. According to the findings from the analysis, first, when it comes to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ith the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as either a victim or a assailant, both the victims and the assailants believed that the radio pagers is useful to prevent school violence. Both the groups were observed to be willing to use the radio pagers constantly. Second, regarding effects of the radio pagers on the school violence prevention, they were understood to have even a more positive influence both on the school violence prevention and the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ir school lives as a more number of the students possess the radio pagers, as the more the students need the radio pagers and lastly as the more the students feel content with the radio pag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mplications and limits of the study were proposed.

      • KCI등재후보

        장애인 정보화교육에 따른 인터넷 중독 현황 및 실태에 관한 연구

        이성대(S. D. Lee),홍정아(J. A. Hong),염동문(D. M. Yeum) 한국재활복지공학회 2012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Vol.6 No.2

        이동이 불편한 장애인의 정보격차 해소를 위해 실시되고 있는 장애인정보화 교육 대상자를 중심으로 인터넷 중독정도와, 사용시간에 따른 중독집단과 비중독 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방문교육을 받고 있는 30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일반 사용자군에 해당하는 31점 미만인 경우가 4명으로 나타났고, 잠재적 위험 사용자Ⅰ군에 해당하는 31∼54점 사이인 경우가 25명, 잠재적 위험 사용자 Ⅱ군에 해당하는 54∼67점 사이인 경우는 1명 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게임중독에 해당하는 67점 이상인 경우는 한명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터넷 사용시간에 따라 2.7시간 이상에 해당하는 9명의 고위험군 집단과 그 이하에 해당되는 21명의 일반사용자 집단 간 충동성, 공격성을 알아 본 결과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장애인의 경우 이용시간의 증가가 곧 중독으로 이어지지는 않는다는 것을 볼 수도 있고, 기존의 비장애인의 삶의 형태에 맞춰진 게임중독 척도가 장애인의 중독검사에는 맞지 않아 나타난 결과일 수도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The analysis was conducted for studying the degree of internet addiction and the difference between addicted group and non-addicted group based on usage time. The target group is consisted of 30 people who receive the training at home. The purpose of this training is to reduce digital divide for the disabled with reduced mobility. As a result, the typical user group, less than the 31-point appeared as 4 cases, the potentially dangerous user I group, from 31 to 54 points appeared as 25 cases, the potentially dangerous user Ⅱ group, from the 54-67 points appeared as only one person. However, there was no game addiction case, more than 67 points. In addi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mpulsivity and aggression between the high-risk group of 9 persons using internet more than 2.7 hours and the typical user group of 21 persons with less risk. From the result, there are two possibilities. On the one hand, an increase of the usage time for the disabled might not lead to addiction. Or, on the other hand, a measure of addiction for non-disabled might not suitable for the disabled addiction examination.

      • 장애인 정보화교육에 따른 인터넷중독 현황 및 실태에 관한 연구

        이성대(S. D. Lee),홍정아(J. A. Hong),염동문(D. M. Yeum) 한국재활복지공학회 2012 한국재활복지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2 No.11

        이동이 불편한 장애인의 정보격차 해소를 위해 실시되고 있는 장애인정보화 교육 대상자를 중심으로 인터넷 중독정도와, 사용시간에 따른 중독집단과 비중독 집단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방문교육을 받고 있는 30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일반사용자군에 해당하는 31점 미만인 경우가 4명으로 나타났고, 잠재적 위험 사용자 Ⅰ군에 해당하는 31∼54점 사이인 경우가 25명, 잠재적 위험 사용자Ⅱ군에 해당하는 54∼67점 사이인 경우는 1명 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게임중독에 해당하는 67점 이상인 경우는 한명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터넷 사용시간에 따라 2.7시간 이상에 해당하는 9명의 고위험군 집단과 그 이하에 해당되는 21명의 일반사용자 집단간 충동성, 공격성을 알아 본 결과 두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장애인의 경우 이용시간의 증가가 곧 중독으로 이어지지는 않는다는 것을 볼 수도 있고, 기존의 비장애인의 삶의 형태에 맞춰진 게임중독 척도가 장애인의 중독검사에는 맞지 않아 나타난 결과일 수도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 KCI등재후보

        청각장애인 보청기사용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이성대(S. D. Lee),박정배(J. B. Park),염동문(D. M. Yeum) 한국재활복지공학회 2014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Vol.8 No.2

        본 연구는 청각장애인의 보청기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4차년도 장애인 고용패널 521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은 Andersen-Newman의 서비스 이용모델을 기반으로 선행요인, 가능성 요인, 욕구요인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요인들이 청각장애인의 보청기 사용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선행요인에서는 연령과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가능성 요인에서는 총소득이 낮고 장애수용정도가 높을수록, 욕구요인에서는 장애등급이 낮을수록 보청기 사용수준이 유의미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제한점과 함의를 제안하였다. In order to understand those factors to influence the hearing-impaired in connection with their using hearing aids, this study analyzed a total of 521 hearing-impaired people examined by a fourth-year Korea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For the analysis, the study, first, used Andersen-Newman service use model to categorize any influential factors into precedence factors, possibility factors and desire factors, and second, in order to look into how these factors would work on the hearing-impaired’s using the hearing aids, the study conducted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 terms of the precedence factors, when the hearing-impaired people are older and more highly-educated, they would be happier to use the hearing aids while when it comes to the possibility factors, when the gross income of these people is lower but when they are more willing to accept the fact that they have a disability, they would have a fewer problems with using the hearing aids. In addition, regarding the desire factors, when the hearing-impaired people can hear relatively better than the other hearing-impaired, they would be more significantly willing to use the hearing aids. In the light of what has been learned, the study discussed the limits of its research and proposed implications.

      • KCI등재후보

        장애인 실업자의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강봉석(B. S. Gang),염동문(D. M. Yeum) 한국재활복지공학회 2015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Vol.9 No.2

        본 연구는 장애인고용패널조사 1차년부터 5차년도까지 자료를 사용하여 콕스비례위험모델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목적은 실업기간에 따른 장애인 실업자의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을 분석하여 장애인의 취업지원에 필요한 정책적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인구사회학적요인과 장애요인, 사회환경요인을 모두 고려한 모델이 검증되었으며, 장애인의 주관적 SES가 높을수록 장애인 실업자의 취업률이 높아지며, 중증장애인에 비해 경증장애인이 취업에 유리하였으며, 상대적으로 근로외 소득이 낮을수록 취업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제한점과 함의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applied a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for analysis, using data of the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 from the first to fifth year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make a policy suggestion necessary for the support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by analyzing important factors affecting employment of the unemployed disabled according to the unemployment period.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 model that considered all the sociodemographic, obstructive and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was verified; the higher subjective SES of the disabled, the higher employment rate of the unemployed disabled; compared to the severely disabled, the slightly disabled had more advantages for employment; and relatively the lower unearned income, the higher employment rate. This study suggested based on these results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 KCI등재

        산업재해 근로자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안성아(S. A. Ahn),염동문(D. M. Yeum) 한국재활복지공학회 2016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Vol.10 No.2

        본 연구는 산업재해 근로자의 심리사회적요인, 경제적요인, 건강관련요인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근로복지공단의 산재보험패널조사 2014년 발표한 제1차 자료를 분석하였다. 전체 조사대상자 가운데 연구목적에 부합하는 산업재해 근로자 2,000명에 대한 유효한 자료를 추출하였으며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산업재해 근로자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심리사회적 요인으로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노년준비정도가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요인으로 경제적 활동상태, 사회경제적 지위가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관련요인으로 주관적 건강상태, 타인의 도움 정도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모델의 설명력은 34%였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ffects of psychological-social factors, economic factors and Health-related factors of industrially injured workers on life satisfaction. For this study, the data of the 2014 1st Korea Panel Study of work"s compensation Insurance. From all the subjects study, 2000 industrially injured workers who were fit for the study purpose were chosen and analysis were implemented. Self efficacy, self esteem, old age preparations of psychological-social factors influenced on life satisfaction. Economic activity, socioeconomic status of economic factors influenced on life satisfaction. Subjective health status, with the help of others of Health-related factors influenced on life satisfaction. The model explained 34% of the valuab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